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미국 소비자물가 상승률과 국제 유가가 상승하며 인플레이션 압력이 강해지면서 주식 시장에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는 전망이다. 이로 인해 코스피의 반등 시점은 연기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14일 한화투자증권은 지난달 미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8.6%로 높아졌고 국제 유가도 배럴 당 120달러에 근접했다고 전했다. 코스피 지수도 미 물가 충격으로 전날 3.52% 하락해 2504.51포인트까지 밀렸다.
박승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의 긴축 강도가 강해질 것으로 예상한다”며 “하반기에 글로벌 인플레이션 압력이 더 높아지고 Fed가 기준금리 인상 폭을 25bp로 축소하지 못하면 코스피의 3000포인트 탈환은 어려워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화투자증권은 전날 주가 급락을 미국의 인플레이션 피크아웃 시기가 미뤄진 영향이라고 해석하며 코스피 반등 시기도 그만큼 미뤄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다만, 하반기 방향성에 대한 시각까지 수정할 필요는 없다고 전망했다.
박 연구원은 “하반기 주식시장 전망의 축은 인플레이션의 피크아웃, 중국의 경기 회복, 양호한 실적이 될 것”이라며 “특히,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순환적 경기둔화를 반영해 하반기에 피크아웃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