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롯데마트는 과일의 맛과 품질을 위해 AI(인공지능) 선별 시스템을 도입했다고 22일 밝혔습니다.
식품소비행태조사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소비자들이 과일류 구입 시 중요하게 고려하는 기준은 ‘맛(40.8%)’과 ‘품질(22.8%)’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롯데마트는 상품성 향상을 위해 이달부터 대형마트 최초로 ‘AI 선별 시스템’으로 선별한 과일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AI 선별 시스템은 기존에 사용하던 ‘비파괴 당도 선별기’에서 한 단계 더 진화된 시스템으로, 중량과 당도 뿐만 아니라 수분 함량과 후숙도까지 측정할 수 있습니다. 특히 메론의 고객 불만 사례 대부분을 차지했던 내부 갈변, 과숙 등 내부 결함을 선별하는 게 가능해졌습니다.
먼저 10개의 렌즈에서 근적외선을 쏘아 대량의 화상 데이터를 얻고 이를 분류하는 데 사용하는 기술인 딥러닝으로 이미지를 분석합니다. 다양한 메론 품종에 따라 투광을 조정하는 것은 물론 복숭아의 꼭지 사이 빈틈으로 들어가 과육을 상하게 하는 ‘핵할’ 검출이 가능하다는 설명입니다.
현재 롯데마트는 AI 선별기로 선별한 ‘황금당도 머스크 메론’ 등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지난 18일부터 판매한 신품중 ‘하미과’ 멜론의 경우 선별기를 도입한 진주원예농협의 오프라인 물량을 계약했습니다. 수박·사과·배 등 과일류는 당도를 나타내는 단위인 ‘브릭스’ 표기 등 맛 표기제도 강화했습니다.
또 당도만으로 맛을 표현하기 어려운 딸기의 경우 ‘달콤함·새콤함·단단함’ 3가지 척도를 1~3단계까지 바코드 높이로 표현한 ‘맛표기 바코드’ 시스템을 운영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맛표기 스티커 상품은 토마토와 감귤 일부 품목에 적용해 운영 중입니다.
정혜연 롯데마트 과일팀장은 "지속적으로 최첨단 선별 시스템 운영 품목을 늘려나가 더욱 균등한 품질의 상품을 선보이겠다"며 "맛표기 바코드 확대를 통해 롯데마트만의 신선식품 경쟁력을 확보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