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금리인상 여파와 주택시장에서 수요자들의 관망세가 지속되는 상황 속에 전국 주택가격이 34개월 만에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서울 아파트 가격의 경우 지난 2월 내림세를 보인 이후 5개월 연속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15일 한국부동산원이 내놓은 '2022년 6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전국 주택종합(아파트, 빌라, 다세대 등) 매매가격지수는 -0.01%를 기록하며 지난 2019년 8월 하락 이후 2년 10개월 만에 하향세를 나타냈습니다. '부동산 바로미터'라 할 수 있는 아파트의 경우 -0.10%로 지난달에 이어 내림세가 지속됐습니다.
수도권의 주택종합 매매가격지수는 -0.04%로 2달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도권 아파트는 -0.15%의 하락률을 나타낸 가운데 서울은 -0.08%, 인천은 -0.26%, 경기는 -0.16%로 나타나며 수도권 세 곳 모두 5개월 연속 아파트 값이 떨어졌습니다.
서울 내 아파트 가격이 가장 많이 떨어진 곳은 '영끌족'이 몰린 노원구로 -0.21%의 아파트값 하락률을 나타냈습니다. 노원구는 지난 달에도 -0.13%의 하락률로 서울 25개 자치구 중 최대 하락폭을 기록한 바 있으며 이번달 하락폭이 더욱 심화되며 2달 연속 자치구에서 가장 큰 폭으로 아파트 값이 내려갔습니다.
노원구를 비롯해 성북구, 서대문구(이상-0.17%), 은평구(-0.16%), 중구, 강서구(이상 -0.14%), 종로구(-0.13%) 등 서울 21개 자치구 또한 아파트 가격이 내림세를 나타냈습니다. 서초구(0.09%), 용산구(0.02%), 강남구(0.01%) 세 자치구 만이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으며, 동작구는 서울권 유일 보합을 기록했습니다.
서초구는 정부가 재건축 활성화 정책을 내놓으며 정비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상승하는 노후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올랐으며, 용산구 또한 지역 내 주요 노후 아파트에서 가격이 오르며 자치구의 상승세를 이끈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강남구는 대형 면적의 노후 아파트가 밀집한 압구정동에서 가격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도의 경우 매수세 감소가 지속되는 시흥시(-0.66%)가 2달 연속 도 최대 아파트 가격 하락폭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화성시(-0.59%), 광명시(-0.41%), 수원시(-0.40%), 용인시(-0.29%) 등 대부분 시군에서도 아파트 가격이 떨어졌습니다. 비규제지역인 이천(1.10%)의 경우 큰 폭의 상승세로 경기 대부분 지역과 대조되는 흐름을 보였습니다.
지방 아파트값 변동률은 -0.06%로 하락세로 전환한 지난 달에 이어 2달 째 내림세가 이어졌습니다. 입주물량 적체가 지속되는 세종시(-0.81%)가 지방권 최대 하락폭과 동시 13개월 연속 내림세를 보였으며, 대구(-0.74%), 전남(-0.26%), 대전(-0.23%), 충남(-0.13%)도 지속적인 하락 행보를 이어갔습니다.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국 -0.08%, 수도권 -0.11%로 나타났습니다. 수도권만 볼 경우 인천이 -0.49%로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으며 경기 -0.07%, 서울 -0.04%로 집계됐습니다. 지방권에서는 세종(-1.13%), 대구(-1.04%)가 큰 폭으로 전세가가 내려갔습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추가 금리인상과 경기침체 우려 등으로 매수세가 감소하며 주요 지역 집값 변동률에도 영향을 미치는 모습"이라며 "전세도 매매와 마찬가지로 매물 적체 현상 및 금리인상 부담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지속되는 하락세를 나타낸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