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BNK금융그룹[138930]은 세계적인 탄소중립 흐름에 동참하고 저탄소 경제 전환에 앞장서기 위해 8일 '지역사회와 함께하는 넷제로 부스터키트(BNK, Boosting Net-zero Kit)'를 슬로건으로 삼고 탄소중립 목표를 선언했습니다.
탄소중립이란 인간의 활동에 의한 탄소 배출을 최대한 줄이고 남은 탄소는 흡수, 제거해서 실질적인 배출량을 0으로 만든다는 개념입니다. 순(Net)배출을 0(Zero)으로 만든다는 의미에서 '넷제로' 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우선 BNK금융은 '내부 탄소배출량(Scope 1, 2)'을 통해 오는 2045년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탄소 배출량을 ▲2030년 37.8% ▲2040년 79.8% 감축할 계획입니다. BNK금융은 글로벌 온실가스 산정 기준(GHG Protocol)에 따라 본점과 영업점에서 사용하는 전기·도시가스·차량용 연료 등의 배출량을 측정했습니다.
아울러 BNK금융은 '자산 포트폴리오 탄소배출량(Scope 3)'을 통해 오는 2050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2030년 34.6%, 2040년 66.4%를 감축해 나갈 예정입니다. BNK금융은 글로벌 표준인 탄소회계금융협의체(PCAF)가 제시하는 방법론을 적용해 ▲상장주식 및 채권 ▲비상장주식 및 대출 ▲발전 PF ▲상업용부동산 ▲모기지 ▲차량 대출 등 6대 자산에 대한 배출량을 포함했다고 밝혔습니다.
BNK금융은 이같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친환경전환(Greening) ▲투자우대(Positive Screening) ▲투자배제(Negative Screening) ▲참여촉진(Engagement)의 4대 전략방향을 수립했습니다.
또한 친환경차 전환(EV100)·재생에너지 활용(RE100)·저탄소 생활 실천 강화·석탄산업 투자 제한·ESG 평가 우수기업 투자 확대 등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BNK금융의 탄소중립 실천 계획에 대한 정보는 BNK금융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BNK금융 ESG추진단 단장을 맡은 BNK경제연구원 정영두 원장은 "그룹의 탄소중립 목표 뿐만 아니라 동남권의 저탄소 경제 전환에 기여할 수 있도록 세부 이행 방안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