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현대백화점은 더현대 서울이 개점 이후 1년 6개월간 총 150여개 신진 토종 패션 브랜드를 선보였다고 7일 밝혔습니다.
더현대 서울은 지난해 오픈 당시 ‘쿠어’, ‘디스이즈네버댓’ 등 온라인 시장에서 인기를 끈 국내 패션 브랜드 13개를 업계 최초로 입점시킨 것을 비롯해 지난달까지 약 140개 국내 신진 패션 브랜드 팝업스토어를 열었습니다.
MZ세대(1980년~2000년대 초반 출생) 선호 브랜드가 잇따라 들어서며 고객층도 젊어졌습니다. 더현대 서울 연령대별 매출 분석에 따르면 2030이 차지하는 비중은 54.2%로 더현대 서울을 제외한 현대백화점 15개 점포의 2030 매출 비중(25.3%)보다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현대백화점은 더현대 서울 출점 전부터 MZ고객 맞춤 콘텐츠 발굴에 집중했습니다. 먼저 기존에는 입점 희망 브랜드의 제품 경쟁력과 더불어 매출과 영업망 등 안정적인 운영성과를 주요 기준으로 삼아 왔던 반면, 지난해부터 신진 디자이너 브랜드의 경우 제품력과 차별성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신진 디자이너 브랜드 맞춤형 컨설팅도 제공합니다. 현대백화점은 정규 매장 입점에 앞서 신진 브랜드 특성에 맞는 신촌점(영고객), 무역센터점(고소득층 및 직장인), 판교점(3040세대 IT직장인) 등 핵심 점포에서의 팝업스토어 운영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인테리어 공간도 호텔 라운지 콘셉트의 조명과 바닥재 등을 적용하고, 다양한 브랜드를 전시·체험할 수 있는 상설 공간을 마련하는 등 기존 백화점과의 차별화에 주력했다는 설명입니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국내 신진 브랜드 육성은 현대백화점의 MZ세대를 겨냥한 콘텐츠 차별화 전략의 일환”이라며 “현대백화점 주요 점포에서 영고객이 즐겁게 쇼핑과 문화를 즐길 수 있는 신진 브랜드를 지속적으로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