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지난 9월, 서울 25개 자치구 중 6개 구의 하락률이 1%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경기도는 13년 8개월 만에 1%대 아파트 값 하락률을 기록하며 내림세가 고조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17일 한국부동산원의 '2022년 9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은 -0.75%를 기록했습니다. 경기 아파트값은 -1.04%의 하락률을 나타내며 지난 2009년 1월 -1.17%의 변동률을 기록한 이후 첫 1%대 내림폭을 올린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인천 또한 -1.28%의 내림세로 아파트 값 낙폭이 심화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서울 자치구 가운데서는 최대 하락폭을 기록한 노원구(-1.37%)를 비롯해 도봉구(-1.35%), 종로구, 서대문구(-1.07%), 은평구(-1.03%), 성북구(-1.00%) 등 6개 자치구가 1%대 내림률을 나타내며 아파트 값이 적잖게 떨어졌습니다. 중구, 송파구(이상 -0.99%) 또한 1%에 가까운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
노원구는 구축 아파트 단지가 밀집해 있는 상계동을 비롯해 중계동, 월계동 일부 단지서 가격이 떨어지며 자치구 가운데 가장 큰 하락폭을 나타냈습니다. 도봉구와 서대문구, 은평구 또한 일부 단지서 하락세가 지속되며 내림세가 크게 확대됐습니다.
송파구의 경우 잠실동, 문정동 내 일부 대단지를 중심으로 가격이 내려가며 전체적인 아파트 가격 변동률이 하강곡선을 그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서초구(-0.21%), 강남구(-0.43%), 용산구(-0.44%)는 서울 자치구 중 가장 내림폭이 적은 구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3년여 만에 1%대 내림폭을 기록한 경기도의 경우 양주시(-1.77%), 광명시(-1.74%), 의왕시(-1.63%), 오산시(-1.55%), 화성시(-1.52%), 의정부시(-1.45%)를 비롯한 대부분 지역에서 아파트 값이 떨어졌습니다. 이천시(0.10%), 여주시(0.04%)는 경기도 내 유일한 상승세를 나타냈으나, 전월인 8월과 비교할 경우 상승폭이 크게 줄었습니다.
인천은 동구를 비롯한 전 자치구서 1%대 하락률을 나타내며 아파트값 내림세 심화가 커진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연수구의 경우 -1.49%의 변동률로 인천 8개 자치구 가운데 최대 하락폭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9월 지방 아파트 가격 변동률은 -0.60%로 하락세로 전환한 지난 5월에 이어 5개월 째 내림세가 이어졌습니다. 세종시(-1.66%)가 지방권 최대 하락폭과 동시에 16개월 연속 내림세를 나타냈으며 대구(-1.05%), 대전(-1.23%), 울산(-0.88%) 등 주요 광역시 또한 하락세가 지속됐습니다. 수도권과 지방의 내림세 심화로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또한 -0.78%로 전월(-0.51%)보다 하락폭이 확대됐습니다.
아파트 전세가격의 경우 전국 -0.78%, 수도권 -1.03%을 기록하며 내림세 심화가 지속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수도권만 볼 경우 인천이 -1.34%로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으며 경기 -1.15%, 서울 -0.67%로 집계됐습니다. 지방권에서는 세종(-1.83%), 대구(-1.26%), 대전(-1.13%)이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아파트를 비롯해 빌라, 다세대 등을 합친 전국 주택종합 매매가격지수는 -0.49%를 기록하며 4개월 연속 내림세가 지속됐습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금리인상과 주택가격 추가 하락 우려로 매수심리가 급감한 가운데 매물가격 하향조정이 지속되고 급매물 위주의 거래 진행 등 요인으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아파트 가격 하락세가 심화됐다"며 "지방은 매물 적체가 심화된 지역 및 거래 심리가 위축된 지역을 중심으로 가격이 내려갔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