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서울 은평구에 위치한 서울혁신파크가 '사회혁신 기지'에서 '서북권 경제 허브'로 탈바꿈합니다.
서울시는 오는 2030년까지 서울혁신파크 부지 약 11만㎡에 서울 서북지역 발전을 위한 '서울 안의 또 다른 융복합도시'를 만들겠다고 19일 밝혔습니다. 서울시는 오는 2024년 개통을 앞두고 있는 GTX-A 노선 및 9000가구 규모의 대규모 재개발 사업 등 지역 내 변화에 발맞춰 ‘직(일자리)‧주(주거)‧락(상업‧여가‧문화)'이 결합한 융복합도시를 조성한다는 계획입니다.
서울혁신파크 부지는 원래 국립보건원 부지였으나 지난 2006년 국립보건원이 이전하면서 서북권 지역에 필요한 시설 공급을 목적으로 오세훈 시장 재임 당시인 지난 2009년 서울시가 해당 부지를 전격 매입한 바 있습니다. 이후 박원순 시장 재임 시절 부지 주변의 낡은 건물을 리모델링해 서울혁신파크를 만들고 사회적 기업 및 스타트업 등이 입주하며 '사회혁신 기지'로 활용돼 왔습니다.
서울시는 융복합도시 조성의 골자로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할 업무공간과 취‧창업 기반시설('직') ▲다양한 가족형태를 수용하는 미래형 주거단지('주') ▲세대를 아우르는 상업‧문화 복합공간('락')의 3가지를 제시했습니다.
우선, DMC 및 마곡과 연계해 미디어, 생명공학 등 첨단산업을 전략적으로 유치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서울파이낸스센터(SFC)와 맞먹는 규모의 특화업무공간(15만㎡)을 조성할 예정입니다. 서울시립대학교 산학캠퍼스(서울UIC캠퍼스)도 사업지 내에 조성해 첨단산업 인재 육성 및 산학협력, 창업지원 등에 특화된 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 시킨다는 구상입니다.
주거단지의 경우 총 800가구 규모로 조성할 예정이며, 청년 1인가구 및 신혼부부, 어르신 가구 등 다양한 가족형태를 아우를 수 있도록 맞춤형으로 공급할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 주거‧의료‧편의시설이 갖춰진 다양한 가족형태를 아우르는 세대공존형 공공단지인 ‘골드빌리지’ 등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상업시설의 경우 삼성동 코엑스(46만㎡)보다 큰 총면적 약 50만㎡ 규모의 시설이 들어섭니다. 부지 중앙에는 대규모 녹지를 품은 중앙광장과 60층 높이의 랜드마크 건물이 지어지며, 가로변에는 초대형 복합문화쇼핑몰이 건립됩니다. 키즈카페, 복지시설, 반려동물시설 등 이용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여가문화시설도 함께 조성됩니다.
서울시는 부지 내 모든 시설과 기능이 통합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지상과 지하, 공중을 입체적으로 연결한다는 계획입니다. 차량은 지하로 이용할 수 있도록 지하교통체계를 구축하고, 지상부의 경우 녹지보행공간으로 꾸밀 예정입니다. 불광역과 부지를 바로 연결하는 지하연결통로를 만들어 접근성을 높이고, 공중에는 보행다리, 입체산책로, 하늘공원, 실내가로 등이 공급됩니다.
특히, 창의적인 개발을 위해 공간 범위를 필지 단위가 아닌 '슈퍼블록'으로 대형화할 방침이며, 다양한 시설을 신속히 공급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또한 '비욘드 조닝' 계획체계를 바탕으로 땅의 용도를 구분하지 않고 주거‧업무‧상업 등 다양한 기능과 용도를 복합개발한다는 구상입니다.
서울시는 올해 안에 기본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며 오는 2025년 하반기 착공에 들어간 후 2030년 융복합도시 조성을 완료할 방침입니다. 속도감 있는 사업 추진을 위해 거쳐야 하는 사업 절차는 압축적으로 운영할 예정입니다. 공사에는 SH가 참여하며, 필요한 시설의 경우 민간이 참여하는 민관협력 개발사업 방식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홍선기 서울시 미래공간기획관은 "서북권의 급격한 사회경제적 여건변화로 지역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서울혁신파크 부지의 신 경제생활문화거점 조성이 서북권을 베드타운을 넘어 자생적 경제기반을 갖춘 서울 안의 작은 도시로 거듭나게 하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