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교보생맹이 출연한 대산문화재단이 문학 지원 외길 30년을 자축하며 향후에도 한국 문학의 발전을 위한 후원자의 길을 걷겠다고 공언했습니다.
대산문화재단을 30년째 이끌고 있는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은 재단 창립 30주년을 맞은 29일 "문학이 사회구성원 나아가 인류 전체를 위한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재단을 운영해왔다"며 "예술과 문화를 지원하는 일은 인내심을 가지고 일관성 있게 시행해야 하기에 그동안 걸어왔던 길을 앞으로도 계속 걸어가겠다"고 소회와 각오를 밝혔습니다.
이어 "재단의 사명을 '모든 사람이 다양한 문학적 경험을 통해 자신과 타인, 그리고 세상을 이해하며 성숙한 세계시민(글로벌 시티즌)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는 것'으로 새롭게 정했다"면서 "가장 소중한 문학적 경험을 전하는 문화재단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대산문화재단은 교보생명 창립자인 고 신용호 전 교보생명 회장의 호 '대산'을 따 1992년 12월 만들어졌습니다.
창작문화 창달, 한국문학 세계화, 청소년 육성 등 다양한 문학 지원사업을 통해 우리사회의 문화적 역량을 높이고 우리문학이 세계로 뻗어나가는 기틀을 마련하자는 것이 창립 취지였습니다. 신창재 교보생명 회장은 1993년 선친의 뜻에 따라 대산문화재단 이사장을 맡아 30년간 재단을 이끌어왔습니다.
대산문화재단은 지난 30년간 서울국제문학포럼, 동아시아문학포럼 등 국제행사를 통해 르 클레지오, 오르한 파묵, 오에 겐자부로, 모옌 등 세계 저명작가와 소통하며 한국문학이 세계와 교류할 수 있는 장을 마련했습니다.
또한 국내 최대 규모의 종합문학상을 제정하고 한국 문학의 번역·연구·출판지원에도 나서는 등 30년간 총 582억원에 달하는 한국 문학 지원사업을 펼쳤습니다. 기업이 출연한 국내 민간 단체 가운데 문학에 방점을 찍은 재단은 대산문화재단이 유일합니다.
재단의 노력으로 박경리, 황석영, 이승우 등 한국을 대표하는 문인들의 작품이 세계 각국 언어로 번역·출판될 수 있었습니다. 작가 한강의 '채식주의자'가 영국에서 출판될 수 있도록 지원해 세계 3대 문학상인 '맨부커상'을 한국인 최초로 수상하는데 힘을 보태기도 했습니다.
길러낸 인재는 적지 않습니다. 종합문학상 수상작가는 147명, 창작 지원을 받은 신진 문인은 310명, 대학생을 위한 문학상으로는 113명의 신인 작가를 발굴했습니다.
'두근두근 내 인생'의 소설가 김애란, '2021 영국 대거상' 번역추리소설상 수상작가 윤고은을 비롯해 김연덕, 전삼혜, 정한아 등 한국 문단에서 활약하고 있는 작가들이 재단의 후원으로 창작의 길을 걸을 수 있었습니다.
대산문화재단 관계자는 "재단의 한국문학 번역·출판 지원사업은 우리문학과 세계를 연결하는 '창'이 되었다"며 "교보문고와 함께 대산문화재단은 교보생명 창업주인 신용호 전 회장의 유지를 대표하는 문화사업이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