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LG유플러스[032640]는 스트리밍 솔루션 전문업체 '온넷시스템즈코리아'와 디지털 저작권 보호 기술인 '웹 기반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에 대한 특허를 출원했다고 10일 밝혔습니다.
'웹 기반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은 웹 3D 가상공간에 암호화된 영상을 표시하는 기술로, 3D 메타버스에서 재생되는 영상 미디어의 디지털 저작권을 보호합니다. 크롬, 사파리, 엣지, 카카오인앱 브라우저 등 웹 3D 가상공간에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LG유플러스는 "웹 기반 3D 가상공간에서 재생되는 영상 미디어의 디지털 저작권을 보호하는 기술에 공백이 있었다"면서 "웹 기반의 메타버스에서 콘텐츠 제작사의 IP가 있거나 영상 보안이 필요한 콘텐츠까지 제공이 가능해져 고객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웹 기반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은 ▲DRM 방식으로 암호화된 영상 파일 실시간 다운로드 ▲암호화된 영상 해독 위해 라이선스 서버로 키 요청 ▲제공받은 키로 암호화된 영상 해독 ▲해독된 영상을 재생가능하도록 가공 ▲디코딩된 영상을 웹 브라우저 내 메타버스 화면에 표시 등의 단계를 거칩니다.
'웹 기반 영상 표시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브라우저에서 모두 적용이 가능한 멀티 DRM 방식으로 구현됩니다. 디바이스의 운용체제나 이용하는 브라우저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습니다.
LG유플러스는 미디어 업계의 저작권을 보호하는 것은 물론, 웹 기반 메타버스에서 다양한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시청 경험을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입니다.
LG유플러스는 이밖에도 AI를 융합한 메타버스 기술 분야에서 관련 연구와 개발을 지속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김민구 LG유플러스 메타버스개발랩장은 "웹 기반 3D 메타버스를 이용하는 고객에게 원활한 시청 경험을 제공하는 등 고객의 최신 멀티미디어 시청 경험을 지속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