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최근 커피 대신 차(茶)를 찾는 MZ세대가 늘면서 홍차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녹차, 우롱차 등에 비해 진한 향미를 즐길 수 있으면서도 커피보다 카페인 부담이 덜하다는 장점이 건강과 즐거움을 동시에 추구하는 젊은 층에게 호응을 얻고 있는 배경입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홍차의 강세가 이어지면서 식품기업들이 RTD(바로 마실 수 있는 음료) 홍차음료 뿐만 아니라 홍차를 활용한 토닉워터, 가공유, 디저트 등을 선보이며 소비자를 공략하고 있습니다.
하이트진로음료는 소주나 위스키 등에 홍차를 섞어 마시는 주류 음용 트렌드를 반영해 지난해 9월 믹서 브랜드 ‘진로토닉워터’의 새로운 확장 제품으로 ‘진로토닉홍차’를 출시했습니다. 진로토닉홍차는 진로토닉워터 고유의 맛과 홍차의 풍미를 접목해 홍차 향을 느낄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진로토닉홍차와 소주를 2대1 또는 1대1 비율로 믹스하면 알코올 도수 6~9도 수준의 홍차 토닉을 만들 수 있으며 주류 없이 홍차 에이드로도 마실 수 있습니다. 여기에 진로토닉홍차 페트(300mL) 1개 열량은 10kcal로 식약처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따라 칼로리 제로(100ml당 4kcal 미만)에 해당합니다.
푸르밀은 커피 대신 마실 수 있는 ‘웰치 오렌지블랙티’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웰치 오렌지블랙티는 티 음료 제품으로 홍차에 오렌지 농축액을 가미했습니다. 이 제품의 베이스인 홍차는 세계 3대 홍차 원료지로 꼽히는 스리랑카 우바 지역에서 가져왔습니다. 85Kcal의 저칼로리로 만들었습니다.

최근 2030세대를 중심으로 홍차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닐슨IQ코리아에 따르면 지난해 4월부터 올해 3월까지 국내 RTD 차음료 시장에서 홍차 카테고리는 전년 동기 대비 52.8% 성장한 674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헛개차와 옥수수차를 제치고 2위로 올라섰습니다.
홍차는 우유에도 들어갔습니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은 지난해 9월 ‘살롱밀크티’ 우유를 멸균 제품으로 새롭게 출시했습니다. 살롱밀크티는 기존 300㎖ 대용량의 카톤 패키지에 담아 한정판으로 선보였던 가공유로, 이번에는 190㎖ 용량의 핸디형 멸균 패키지에 담았습니다.
멸균 팩은 개봉 전에는 냉장 보관이 필요 없으며 상온에서도 내용물 품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살롱밀크티 우유는 얼그레이 홍차와 아쌈 홍차의 비율로 밀크티 본연의 맛을 구현했다는 설명입니다. 또 'K-밀크' 인증을 받은 서울우유 전용 목장의 국산 원유를 사용했습니다.
엠즈베이커스는 얼그레이 침출차로 만든 ‘데르뜨 얼그레이 퐁당 케이크’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침출차는 세계 최대 차 수출국이자 세계적으로 유명한 스리랑카산 홍차를 98% 활용해 우려냈습니다. 케이크 시트에 얼그레이 찻잎이 박혀 있습니다.
엠즈베이커스 관계자는 "가장 맛있는 얼그레이 크림을 완성하기 위해 매일우유에 직접 홍차를 우렸고, 저온숙성으로 국내산 유크림 매일생크림을 사용했다"며 "얼그레이 시트에 얼그레이 크림을 더한 ‘데르뜨 얼그레이 퐁당 케이크’는 주요 편의점에서 만나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