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저출산 고착화로 유가공업체 수익 구조의 근간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수입산 제품의 국내 유입 속도는 빨라졌고 고물가·고환율에 물류비, 원자잿값 부담은 높아지고 있습니다. 유가공업체들은 이처럼 생산비 증가 요인이 산적한 가운데 새로운 수익원 창출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됐습니다.
유가공업체들의 사업 포트폴리오는 크게 분유 사업 강화와 신사업,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롯데웰푸드는 주력인 분유 사업을 투 트랙으로 나눠 진행합니다. 출생아 수 정체와 모유 수유율 증가로 국내 분유류 판매 전체 규모는 줄고 있지만 적은 자녀 수, 주부 커뮤니티 활성화 등으로 기능성 고급 유제품에 대한 수요는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롯데웰푸드 파스퇴르는 변화하는 출산 환경에 맞춰 제왕절개로 태어난 아이를 대상으로 기능성을 첨가한 '위드맘 제왕'을 선보였고 주부들에게 입소문이 나면서 저출산에도 롯데웰푸드 분유 매출 신장을 이끌었습니다. 전 월령으로 확대 출시한 위드맘 제왕은 8월 기준 누적 판매량이 110만개를 넘었습니다.
'K-분유' 수출 확대에도 공을 들이는 롯데웰푸드입니다. 한중 관계 경색, 규제 강화 등을 이유로 세계 최대 분유 소비국인 중국 수출이 부진하면서 동남아 지역으로 대상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해 베트남 분유 수출 매출은 전년 대비 82% 증가한 데 이어 올해도 25%가량 신장했습니다.
롯데웰푸드 관계자는 "동남아 지역에서 한국산 분유가 인기 있는 이유는 한국산 분유의 우수한 품질과 안전한 생산 과정에 대한 현지 소비자의 신뢰도가 높기 때문"이라며 "베트남의 경우 롯데 브랜드에 대한 가치가 높아 롯데웰푸드 제품 선호도가 높다고 여겨진다"고 말했습니다.
남양유업 역시 지난해 분유 수출 확대로 반등의 계기를 마련했습니다. 지난해 분유 매출은 1926억원으로 전년 대비 약 150억원 증가했는데 이 중 분유 수출 매출은 396억원으로 전년 대비 49% 늘었습니다. 남양유업은 중국을 포함해 대만, 베트남, 캄보디아 등에 분유를 수출하고 있으며 수출 물량은 전체 분유 생산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합니다.
지난해 기준 분유 수출 국가별로 매출 상승률은 대만이 130%로 가장 높았고 이어 캄보디아 50%, 중국 20%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남양유업은 현재 대만에 대만 임패아·대만 XO 등을, 캄보디아에는 스타그로우 등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 중 대만은 2019년 국내 분유사 중 남양유업이 유일하게 시장에 진출했으며 지속적인 판매 증가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캄보디아에서도 현지 시장 점유율(M/S) 3등을 유지하며 다양한 마케팅을 추진 중입니다. 분유 시장 성장 잠재력이 높은 동남아 국가를 겨낭한 수출 전략 제품 출시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비건(채식주의) 시장 확대에 맞춰 유업체 간 식물성 음료 출시 경쟁도 치열합니다. 다이어트, 친환경, 가치소비 등의 이유로 국내에서도 비건 시장 규모가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채식연합은 지난해 국내 채식 인구가 최대 250만명에 달했을 것으로 추정하기도 합니다.
매일유업은 매일두유, 아몬드브리즈, 귀리음료 어메이징 오트 등 총 15종의 식물성 음료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카페에서는 기존 식물성 음료에 더해 지난해부터 귀리(오트)를 넣은 어메이징 오트 활용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지난해 매일유업 식물성음료 판매수량은 전년보다 30% 늘었습니다.
남양유업은 지난해 9월 캘리포니아 아몬드를 담은 아몬드데이를 출시했습니다. 브랜드 캐릭터 ‘몬디’를 통한 캐릭터 굿즈, 컬러링 이벤트 등 젊은 소비자층을 대상으로 비건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아몬드 외 다른 소재의 식물성 음료 출시도 검토하고 있습니다.
남양유업 관계자는 "학교 우유 급식 납품, 카페 경로 우유 납품에 이어 파트너사의 OEM(주문자상표 부착생산), ODM(제조업자 개발생산) 등 B2B 경로 확대로 매출 증대를 추진할 계획"이라며 "B2C 경로와 함께 B2B, 수출 물량을 늘려 저출산 현상에 따른 시장 위기를 극복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