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삼성SDS[018260]는 생성형 인공지능(AI) 기반 초자동화(하이퍼오토메이티드) 엔터프라이즈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솔루션 '브리티 코파일럿'과 플랫폼 '패브릭스'를 12일 공개했습니다.
황성우 삼성SDS 대표이사는 이날 서울 강남구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리얼서밋2023' 기자간담회에서 "거대 언어모델(LLM)은 변동성이 많은 인간 언어를 잘 이해하기 때문에 기존에 할 수 없었던 초자동화를 가능하게 하는 길을 열어줬다"면서 "기업이 생성형 AI를 도입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함께 협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삼성SDS 임직원들은 이미 생성 AI를 활용해 업무 지식을 축적하고 생산성을 향상하는 여정을 시작했다"고 강조했습니다.
삼성SDS는 지적 작업을 자동화하는 솔루션 ‘브리티 코파일럿’을 공개했습니다. 브리티 코파일럿은 단순 반복 업무만 자동화하는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RPA)에서 더 나아가 메일, 메신저, 영상회의, 데이터 저장 등 공통 업무 시스템에서 진행되는 지적 업무에 생성형 AI를 접목한 솔루션입니다.

송해구 삼성SDS 솔루션사업부장(부사장)은 "생성 AI의 등장으로 데이터를 받아서 해석, 분석, 설명하는 일이 가능해졌다"면서 "단순 반복작업 처리가 아니라 창작과 생성, 분석, 해석, 문제 해결에 자동화가 이뤄져야 초자동화 엔터프라이즈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브리티 코파일럿은 영상회의 회의록을 작성하거나 실행 방안을 도출해 담당자에게 메일을 보내는 등 생성형 AI를 통해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기업이 원래 사용하던 기존 시스템과도 연계가 가능하며 프라이빗 클라우드 환경도 지원해 보완 기능을 강화했습니다.
송 부사장은 "생성 AI 개념은 '코파일럿'이라는 말에 잘 담겨있다"면서 "나를 도와주는 보조 조종사로 고객관리, 공급망관리, 인사관리 등 코어 업무에서도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삼성SDS 측은 자체적으로 솔루션을 시범 적용한 결과 개발자 개발 속도는 30% 가량 향상됐고, 성능 검증 속도는 2배 빨라졌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전사적 자원 관리(ERP) 운영에서 운영 업무 문서 작성 시간은 75%가량 줄어들었고 고객 요청사항 대응 처리 자동화율은 60%를 달성했다고 강조했습니다.
MS365 코파일럿과 차별점으로 '결재 프로세스'를 꼽았습니다. 결재를 위해서 한국에 특화된 업무 시스템을 반영했다고 덧붙였습니다.
보안 기능도 갖췄습니다. 이름뿐만 아니라 직책, 직급 등 상세 조정을 통해 자료에 대한 범위를 상세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권한 여부에 따라 한정된 범위의 자료만 모아 코파일럿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외부로 기업 자료가 반출되지 않도록 하는 필터링 기능도 탑재됐습니다.
사람의 판단이 필요로 하는 '공급망 관리'도 자동화가 될 전망입니다. 송 부사장은 "데이터 관리, 이슈탐색, 계획분석, 시나리오계획, 리포트 생성까지 자동화가 가능해진다"면서 "계획을 빨리 세운 만큼 시장에 빠르게 대응 할 수 있어 비용 절감으로 이어진다"고 말했습니다.
시스템 변경 없이 LLM에 연결 돕는 플랫폼 '패브릭스' 공개
삼성SDS는 시스템을 건드릴 필요 없이 사내 데이터를 LLM에 입력하는 플랫폼 '패브릭스'도 함께 선보였습니다.
구형준 삼성SDS클라우드서비스사업부장(부사장)은 "기업 생성 AI의 핵심은 연결이라고 할 수 있다"면서 "연결을 시켜서 시스템을 통해 서로간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게 2년전부터 개발에 나섰다"고 말했습니다.

'패브릭스'는 본인들이 필요한 LLM을 자체적으로 구축하거나 외부에서 가져와서 일을 진행 할 때 발생하는 LLM과 데이터간의 연결 문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카탈로그'는 사내 데이터를 분류하는 방식입니다. 기존에 있는 데이터에 색인을 만드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는 '플러그 인 스튜디오', '레그(RAG) 플러그인', 'API 에이전트' 등에서 활용됩니다.
구 부사장은 "사내 데이터와 사내 시스템을 LLM에 적용 해야지만 생산성 향상이라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면서 "복잡한 시스템을 건드릴 필요 없이 카탈로그를 통해 입력하면 인식하는 방식"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자체 개발 보다 얼마나 비용이 절감되냐는 질문에 송해구 부사장은 "비용을 계산하기 위해선 LLM비용과 GPU 비용이 종합적으로 계산돼야하는데 원가 구조가 확정된 상태는 아니다"면서 "생성형 AI를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는 아키텍쳐와 구조를 만들어 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삼성SDS는 생성형 AI도입을 원하는 기업은 패브릭스를 통해 오픈 AI의 챗GPT,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 등 다양한 건대 언어 모델을 쉽고 간편할게 연결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데이터 수집, 저장, 전처리 등 삼성클라우드 플랫폼(SCP)을 통해 보안성도 확보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삼성SDS는 이날 리얼 서밋 2023 행사에서 ▲AI&데이터 ▲클라우드 ▲엔터프라이즈 솔루션 ▲공급망&물류 ▲금융 등을 테마로 사업 사례를 공유하는 24개 세션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세션에서는 대한항공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사업, 아모레퍼시픽 클라우드 전환을 포함한 디지털 전환 사례 등이 발표됐습니다.
황 대표는 "기업이 생성 AI를 도입하고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삼성SDS가 함께 협력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