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한국 라면과 김치가 올해 펄펄 날았습니다.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한국 영화와 노래, 음악 등 K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음식으로까지 퍼지며 역대급 수출 기록을 썼습니다. 한류 인기에 힘입어 한국 음식에 도전하거나 한국 음식을 일상식에 포함하는 이들이 늘어난 덕분입니다.
특히 코로나19를 거치며 글로벌에서 K푸드 수요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건강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된 팬데믹 기간 시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간편함이 산업계 전반에 화두로 떠올랐고 편리함 또는 면역을 무기로 갖춘 한국 라면과 김치는 성장세를 거듭했습니다.
22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해 출시 60주년을 맞은 한국 라면의 수출액이 사상 처음으로 1조원을 돌파했습니다. 올해 1월~10월 라면 수출액은 7억8525만달러(1조208억원·환율 1300원 기준)를 기록했습니다 10개월 만에 이미 사상 최대치였던 지난해 수출액(7억6541만달러)를 넘어섰습니다.
농심, 오뚜기 등 해외 공장을 보유한 라면업체들이 현지에서 생산해 판매하는 라면까지 더할 경우 글로벌 수출 금액은 2조원에 달할 거란 계산이 나옵니다. 한국 라면의 글로벌 수요 확대에는 한류 효과가 지대했습니다. 최근 10여년간 한국 콘텐츠 인기와 함께 한국 식품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습니다.
2014년 불닭볶음면 챌린지를 시작으로 2019년 영화 기생충에 등장한 짜파구리(농심 짜파게티+너구리)가 큰 관심을 받았습니다. BTS와 블랙핑크 맴버들이 TV나 개인 SNS 채널에서 라면을 먹는 모습은 글로벌 홍보 효과가 컸습니다. 코로나19와 고물가 속 대용식으로 한국 라면을 택하는 현지인도 늘었습니다.

삼양식품의 성장세가 뚜렷했습니다. 불닭볶음면으로 전 세계 매운맛 라면 열풍을 일으킨 삼양식품은 올 3분기 해외 매출이 2398억원으로 사상 첫 2000억원을 돌파했습니다. 3분기 누적 라면 수출액은 5876억원으로 지난해 전체 수출 규모(6057억원)에 근접한 만큼 최대 수출액 달성이 무난할 전망입니다.
수출 초 아시아 위주였던 해외 진출 국가는 미주, 중동, 유럽까지 확대됐습니다. 2019년부터 일본과 중국, 미국에 법인을 설립하며 현지 영업 및 마케팅을 강화했습니다. 그 결과 미국 월마트 주류 채널에 입점했고 중국에서는 온라인 판매 채널을 넓히는 성과를 냈습니다.
지난해에는 해외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2400억원을 들여 밀양 공장을 설립했습니다. 삼양식품은 농심, 오뚜기와 달리 해외에 공장이 없고 매출의 70% 이상이 수출에서 발생하는 만큼 수출의 중요성이 큰 상황입니다. 연간 최대 6억개의 라면을 생산하는 이곳을 수출 전진기지로 삼아 수출 물량을 늘리고 있습니다.
삼양식품 관계자는 "예전에 불닭볶음면이 해외에서 많이 팔릴 당시 해외 공장 설립을 검토하기는 했으나 논의 끝에 국내 생산을 결정하고 밀양에 공장을 지었다"며 "내년 1분기 밀양 2공장 착공 예정으로 아직 해외 공장 건립 계획은 없다"고 말했습니다.
농심은 지난해 미국 2공장 완공으로 생산능력을 70% 끌어올렸습니다. 현지 공급량이 늘면서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은 600% 넘게 급증했고 올 3분기 영업이익 중 절반 이상을 해외에서 거뒀습니다. 미국, 중국 등 해외법인에서만 200억원을 넘게 벌었습니다. 이르면 2025년 미국 제 3공장을 착공할 예정입니다.

K푸드가 세계적으로 인정을 받기 시작한 가운데 코로나19를 거치며 한국의 김치도 떠올랐습니다. 김치가 면역력 강화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가 국내외에서 이어졌고 정부 역시 발효식품인 김치의 건강한 이미지를 강조하는 마케팅으로 힘을 보태며 김치 수출에 적극 나섰습니다.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국내 김치 수출액은 2016년 7900만달러에서 2021년 1억5992만달러로 5년 새 2배 이상 증가하며 역대 최대 수출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올해 1~10월 김치 수출국도 사상 최대인 93개국입니다.
대상의 김치 브랜드 종가는 국내 포장김치 수출세를 견인하고 있습니다. 올해 1~3분기 국내 김치 수출액(1억2000만달러)에서 대상 종가의 비중은 52%(6500만달러)에 달합니다. 지난해 종가 김치 수출액은 7100만달러로 6년 전보다 2.4배 증가했습니다. 이 역시 사상 최고치입니다.
글로벌 김치 인기에 힘입어 대상 종가는 김치 수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종가 김치는 현재 미주와 유럽, 아시아를 포함해 전 세계 60여국에 진출해 있습니다. 일본 수출 물량의 90%, 홍콩·대만·싱가포르 등 아시아권 수출 물량의 80% 이상을 현지인이 소비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대상 관계자는 "미국 코스트코에서 종가 맛김치 2.5㎏짜리가 많이 팔리고 있는데 이렇게 큰 통을 구매한다는 것은 한 번 경험 삼아 먹어보기보다 식사와 같이 먹는다는 얘기"라며 "그 정도로 매출이 늘어 지금은 글로벌에서 미국 매출은 2위"라고 말했습니다.
과거 50%를 넘나들던 일본 매출이 현재 30~40%대로 내려온 대신 미국 매출이 가파르게 성장했습니다. 올해 1~10월 종가 김치의 미국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30% 이상 증가했습니다. 2018년과 비교하면 5년 만에 7배 넘게 성장했습니다.
지난해에는 국내 식품업계 최초로 미국 현지에 대규모 김치 공장을 지었습니다.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LA) 공장은 연간 2000톤의 김치 생산이 가능한 제조라인과 원료창고를 갖췄습니다. 자동화 설비 등을 확충해 2025년까지 미국 현지 식품사업 연매출 1000억원을 달성한다는 목표입니다.
임정배 대상 대표는 "K푸드의 대표 음식인 김치가 국내를 넘어 전 세계의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는 가운데 종가 김치가 김치의 우수성과 정통성을 세계에 알리는 데 앞장설 것"이라며 "한국 김치가 세계인의 식탁에서 사랑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글로벌 활동을 전개하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