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코스피가 장 초반 상승세를 지켜내지 못하고 하락 마감하며 2500선을 회복한 지 하루 만에 2400선으로 내려왔다.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시행 기대감에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낮은 업종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다. 하지만 최근 반등을 이끌던 외국인이 8거래일 만에 순매도로 전환하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실적 시즌이 이어지는 가운데 자산 저평가 종목에 관심이 커지며 종목별 차별화 장세가 짙어졌다.
30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07% 내린 2498.81에 거래를 마쳤다. 0.92% 상승 출발한 지수는 장초반 1.1%대까지 올랐지만 오후 들어 상승분을 반납한 뒤 하락 전환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정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시행 기대감에 저PBR 업종들의 강세가 두드러졌다"며 "외국인 순매수세 축소 속에서 시총 상위단에 있는 반도체, 인터넷, 자동차가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다"고 말했다.
금융당국은 지난 24일 10개 증권사 대표와 함께 개최한 간담회에서 기업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도입·운용하겠다고 밝혔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에는 ▲시가총액별·업종별 주요 투자지표 비교 공시 ▲기업가치 개선 계획 공표 권고 ▲기업가치 제고노력 우수 기업으로 구성된 ETF 출시 등이 포함될 것으로 추정된다. 구체적 내용은 2월 중에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작년부터 배당공시 개선 등 준비를 해오고 있었기에 실현 불가능한 목표는 아닐 것"이라면서도 "정책의 구체화 정도 및 기업들의 시행 의지를 확인하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수급적으로는 외국인이 136억원, 개인이 1850억원 순매도했고 기관이 1918억원 순매수했다.
업종별로는 혼조세를 보이는 가운데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과 배당에 대한 기대감으로 보험 관련주가 2% 넘게 올랐다. 미래에셋생명 13.1%, 한화생명 8.4%, 한화손해보험 6.7%, 흥국화재 5.6%, 동양생명 4.7% 상승 마감했다. 부국증권 7.4%, 키움증권 3.1%, 미래에셋증권 2.4%, 교보증권 2.4% 등 증권 관련주도 1.6% 올랐다.
자산 대비 저평가 매력이 부각되며 한화, 두산, LG, 삼성물산, 롯데지주 등 대형 지주사들도 강세를 이어갔다. 비금속광물, 의료정밀, 의약품, 통신업, 금융업, 유통업, 음식료품 등도 빨간불을 켰다.
반면 전일 급등했던 유틸리티주는 파란불을 켰다. 대성에너지 5.6%, 한국전력 1.6%, 지역난방공사 1.3% 하락 마감했다. 이차전지주는 약세를 이어갔다. 포스코퓨처엠 1.5%, 삼성SDI 1.1%, LG에너지솔루션 0.6% 하락 마감했다. 이 외 운수장비, 기계, 운수창고, 서비스업, 화학, 제조업 등이 파란불을 켰다.
시가총액 상위 10개사는 하락세를 보였다. 주주환원 정책 확대 소식에 전일 6% 가까이 올랐던 기아는 이날도 장 초반 4% 가까이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했지만, 개인을 중심으로 차익 매물이 쏟아지며 1.9% 하락 마감했다.
외국인 매도세에 현대차와 삼성전자가 각각 2.8%, 0.1% 하락했다. LG에너지솔루션, 셀트리온, 네이버도 파란불을 켰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8% 올랐고, 포스코홀딩스, SK하이닉스가 빨간불을 켰다.
이날 거래량은 4억7613만3000주, 거래대금은 8조6292억원을 기록했다. 상한가 4개를 포함해 497개 종목이 상승했고 하한가 없이 386개 종목이 하락했다. 보합에 머무른 종목은 54개였다.
한편, 코스닥은 0.03% 내린 818.86을 기록했다. 1월 미국발 AI 훈풍에 힘입어 급등세를 기록했던 반도체, 소프트웨어, IT하드웨어가 하락 마감했다. 종이·목재, 방송서비스가 2% 넘게 하락했고 운송장비·부품, 일반전기전자, 기계·장비, 통신방송서비스, 인터넷, 금융이 파란불을 켰다.
반면 HLB생명과학 16.5%, HLB 10.6% 등 HLB그룹주가 급등세를 보였다. 정부의 게임산업법 개정 추진 소식에 게임주도 강세를 보였다. 컴투스 3.8%, 위메이드 3.1%, 카카오게임즈 2% 상승 마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