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현대엔지니어링은 '2024 중앙아 3개국 경제사절단'의 주요 참가 기업으로 투르크메니스탄 주요 국영기업들과 가스 및 석유화학 등 화공플랜트와 관련한 2건의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습니다.
'2024 중앙아 3개국 경제사절단'은 산업통상자원부 및대한상공회의소, 한국무역협회 등 정부 주요 관계부처 주관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중앙아시아 순방 목적 중 하나인 경제협력을 담당할 주요 기업들이 포함됐습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경제사절단 일정 첫 날인 지난 10일 수도 아쉬하바트에 소재한 오구즈칸 대통령궁에서 진행된 대한민국-투르크메니스탄 간 '공동성명 및 MOU서명식'에 참석해 투르크메니스탄 국영가스공사 투르크멘가스와 '갈키니쉬 가스전 4차 개발 사업'에 대한 기본합의서(FA)를 체결했습니다.
체결식에는 양국 정상인 윤석열 대통령과 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 대통령이 임석하고, 홍현성 현대엔지니어링 대표를 비롯 막삿 바바예프 투르크멘가스 회장이 참석했습니다.
'갈키니쉬 가스전 4차 개발 사업'은 투르크메니스탄 정부가 최우선 순위로 선정한 사업입니다. 투르크메니스탄 수도 아쉬하바트에서 동남쪽 약 350km 지점에 위치한 갈키니쉬 가스전 내 30개의 가스정 개발과 연 100억 입방미터(10BCMA) 규모의 천연가스 처리시설 및 부대시설 공사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이번 기본합의서(FA) 체결을 통해 기본설계용역(FEED)을 포함한 설계·구매·시공(EPC)에 대한 본 계약 수주에 한 발 더 다가서게 됐습니다.
이와 함께, 현대엔지니어링은 투르크메니스탄 국영화학공사 투르크멘히미야와 '키얀리 폴리머 공장 정상화 사업 2단계'에 대한 협력계약(CA)도 체결했습니다.
본 체결식 역시 양국 정상이 임석한 가운데 홍현성 현대엔지니어링 대표와 도브란겔디 사바예프 투르크멘히미야 회장이 서명했습니다.
'키얀리 폴리머 공장'은 아쉬하바트 북서쪽 약 500km 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지난 2018년 준공됐으나 현재는 운전을 멈춘 상태입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키얀리 폴리머 공장' 정상 가동을 위해 1단계 사업인 기술 감사를 이미 진행 중이며, 기술감사의 결과를 토대로 연내 복구사업(2단계)에 착수할 계획입니다. 복구사업 종료 후에는 운전원 양성, 운전 매뉴얼 정립 등 다방면의 지원을 포함한 운영·유지보수(O&M) 사업(3단계)도 진행할 예정입니다.
아울러, 이번 협력계약을 통해 '키얀리 폴리머 공장 정상화 사업 2단계'의 본 계약 체결과 3단계 O&M 사업 연계 수주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현대엔지니어링 관계자는 "중앙아시아에서 오랜 기간동안 축적한 사업수행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대한민국-중앙아시아 간 경제협력 관계 강화에 일조할 것"이라며 "이번 업무협약 관련 사업의 본 계약을 성사시켜, 글로벌 플랜트 건설 강자의 면모를 입증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