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은 보험설계사·칼럼니스트ㅣ한국은행(이하 한은)이 기준금리를 또 다시 내렸다. 지난달 28일 금통화위원회에서 예상과 달리 기존 연 3.25%에서 3.00%로 깜짝 인하를 단행한 것이다. 한은이 2회 연속으로 금리를 낮춘 건 2008년 하반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2021년 8월부터 꿋꿋하게 3.50%를 지켜오던 기준금리가 38개월 만에 통화 긴축 기조를 마무리하고 완화 기조로 전환한 셈이다.
기준금리의 연속적 인하는 과연 경기 활성화의 마중물이 되어줄 수 있을까? 대출금리도 떨어질까? 게다가 나는 금리 소식에 민감한 보험업에 종사하고 있어 여러모로 마음이 복잡해졌다.
한국은행이 금리를 인하한 주된 목적은 경기부양에 있다. 한은의 연속 금리 인하 조치가 저성장 늪에 빠지고 있는 한국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어주길 바라지만, 사실 보험사 입장에서는 금리 인하 소식이 덮어놓고 반가운 것만은 아니다.
은행에 이율이 존재하듯 보험사에도 예정이율이 있다. 예정이율이란 고객이 낸 보험료를 운용해 얻을 수 있는 예상 이익률을 의미하며 보험상품 가격을 결정하는 중요한 수치다. 계약자가 보험을 체결하면 보험사는 보험료 중 일부는 사업비로 쓰고 일부는 적립한다. 계약자는 이후 발생한 이자를 더해 훗날 돌려받을 수 있게 되는데 이를 '환급금'이라 하며 이때 적용되는 이율이 바로 예정이율이다.
즉, 예정이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같은 금액의 보험료를 내더라도 더 많은 환급금을 받을 수 있는 뜻이 된다. 예정이율은 일반적으로 과거 3년간의 평균 공시이율 또는 시중금리를 기준으로 삼아 각 보험사에서 자체적인 경험 통계를 활용해 산정해 보험사마다 예정이율이 다르다.
2023년 7월, 금융감독원의 권고에 따라 각 생명보험사는 예정이율을 기본보다 0.25%에서 최대 0.5%까지 낮췄다. 이렇게 되면 동일한 조건의 보험상품이라도 이전보다 더 많은 보험료를 내거나 연금과 환급금이 줄어들게 된다. 예정이율은 보험계약 체결 당시의 이율을 끝까지 가져가게 되기 때문에 체결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가 되어 현장 영업을 하는 보험설계사는 예정이율 변동 소식에 귀 기울일 수밖에 없다.
아니나 다를까 얼마 전 2025년 1월부터 보험사의 예정이율 인하를 확정했다는 소식이 있었다. 이를 간단히 해석하면 2025년부터 보험료가 인상된다는 뜻이 된다. 연금보험의 환급률은 더 낮아질 테니 쉽게 권하기 어렵고 높은 적립률을 보증하던 상품 판매도 위축될 전망이다.
순수보장성 상품의 보험료 인상도 예정되어 있어 내년 영업도 녹록지 않아 보인다. 비슷한 시기에 일본 최대 생명보험사인 일본생명보험이 40년 만에 일부 보험상품을 대상으로 예정이율을 인상한다는 NHK의 보도를 접했다. 일본생명의 예정이율 인상 배경에는 일본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이 있다. 앞서 일본은 2024년 3월 17년 만에 기준금리를 올려 마이너스 금리정책을 종료했고 7월에도 한 번 더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지난 40년간 이자의 의미가 무색했던 일본에 금리 있는 세상이 도래한 것이다.
영업은 세상의 변화에 기민하게 반응해야 한다.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예정이율 하락으로 보험료가 높아질 테지만 이에 한숨 쉬며 의욕을 놓을 일이 아니다. 종종 사람들이 내게 하는 보험 가입에 가장 적당한 시기는 언제인가? 라는 질문에 늘 '바로 지금'이라고 답한다.
무엇보다 기준금리와 이에 따른 예정이율에 일희일비 하기보다는 '바로 지금' 내게 가장 유용한 방법을 찾는 일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2024년이 한 달을 남겨두고 있다. 유의미한 시작을 위해서는 제대로 된 마무리가 필요하다. 끝과 시작은 늘 동전의 앞면과 뒷면처럼 붙어서 다가온다. '지금'은 먼 훗날의 과거이자 오래전의 미래였음을 기억해야 한다.
■서지은 필자
하루의 대부분을 걷고, 말하고, 듣고, 씁니다. 장래희망은 최장기 근속 보험설계사 겸 프로작가입니다.
마흔다섯에 에세이집 <내가 이렇게 평범하게 살줄이야>를 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