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박호식 기자ㅣ삼성자산운용은 6일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의 순자산이 5080억을 기록하며 5000억원을 돌파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연말 기준 순자산 1323억원에서 약 283% 성장한 셈입니다.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는 2022년 9월 서학개미 투자자에게 잘알려진 미국 ‘DIVO’ETF를 복제해 국내에 상장됐습니다. 삼성자산운용은 미국에서 DIVO ETF는 ▲1개월 0.14% ▲3개월 7.34% ▲연초이후 9.26% ▲1년 15.94% 수익률로, 지난 4일 기준 SCHD(미국배당다우존스) ETF의 ▲1개월 -2.71% ▲3개월 3.09% ▲연초이후 -0.75% ▲1년 2.45% 수익률을 크게 앞서는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의 순자산 성장세 또한 우수한 수익률에서 비롯됐다는 설명입니다. 연초 이후 미국 배당 ETF들의 수익률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지난 5일 기준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는 1개월 2.05%, 3개월 7.98%, 6개월 0.13%, 연초이후 1.90%, 1년 18.31%를 기록했습니다.
삼성자산운용은 "수익률의 상대적 우위를 앞세워 한국 투자자들에게 미국 배당형 상품 중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잡은 것으로 분석된다"며 "여기에 더해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는 상장 초기 월분배율 0.47%를 시작으로 최근 0.82%까지 꾸준히 늘려 최근 연 9.6%수준까지 연간 분배율을 높여 왔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에 따라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는 올들어 개인 순매수가 3072억원에 달하며 국내 상장된 미국배당다우존스형 ETF 11종을 앞셨습니다. 6월 이후 현재까지 약 2개월간 개인 매수세는 715억입니다.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는 탄력적 옵션 전략으로 시장 변동성이 높을때 하방위험 축소는 물론 액티브한 종목 선별로 배당주의 한계를 뛰어넘고 있다는 설명입니다.
삼성자산운용은 "일례로 미국배당다우존스(SCHD) ETF의 경우 유니버스내 배당수익률 상위 50% 이상 종목을 편입하게 되어있는 패시브 ETF이기 때문에 배당이 성장하는 테크주는 편입 가능성이 낮으며, 주가 성장이 빠른 주식은 배당수익률이 내려가 편출된다는 단점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대표적으로 미국배당다우존스(SCHD)는 2024년 3월에 AI 반도체로 상승세를 타고 있는 ‘브로드컴’을 주가상승으로 인한 배당수익률 하락으로 편출한 선례가 있는 반면에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는 ‘마이크로소프트’와 ‘메타’등 배당이 성장하는 테크주를 시장 하락시기에 빠르게 편입 및 비중확대를 하면서 성과 회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겁니다.
삼성자산운용 마승현 매니저는 “KODEX 미국배당커버드콜액티브의 연 9% 수준의 높은 월분배율을 비롯해 기존 미국배당주 상품과 차별화된 수익률 성과를 직접 확인한 개인 투자자들이 ‘한국판 DIVO’인 이 상품을 꾸준히 순매수 중인 것으로 보인다”며 “이 ETF는 탄력적인 액티브 커버드콜 전략뿐 아니라 기존 배당주의 한계를 뛰어넘는 종목 선정 등 안정적인 현금흐름과 더불어 주가 상승까지 원하는 투자자들에게 좋은 투자 수단이 될 것”이라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