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폴라리스AI파마가 해외 정부조달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며 글로벌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원료의약품(API) 전문기업 폴라리스AI파마는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멕시코 정부 조달시장에 공급 계약을 체결하고 수출을 확대했다고 24일 밝혔습니다.
중국 시장 진출에 이어 신흥시장에서도 성과를 내며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를 통한 수익성 제고에 나선 겁니다.
폴라리스AI파마는 일본·중남미·동남아·유럽 등지에 수출 역량을 갖춘 API 제조 기업으로, 국내 업체 중에서는 드물게 해외 시장 개척에 일찍부터 집중해왔습니다. 특히 일본 제약사들에 ‘드록시도파’ 등 원료의약품을 장기간 공급하며 품질과 신뢰를 쌓았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일시적으로 해외 매출이 위축됐으나 최근 회복세가 뚜렷합니다. 회사는 중국 식품의약품감독관리국(NMPA)에 위·십이지장궤양 치료제 ‘록사티딘 아세테이트염산염’ API 등록을 마치고 상업화에 성공하며 중국 시장 진출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이후 러시아와 멕시코에서는 현지 고객사를 통해 정부 입찰에 연이어 성공했고,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신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이에 따라 주요 신흥시장에서의 입지를 확정지었습니다.
회사 관계자는 “해외 시장은 까다로운 품질 기준과 가격 경쟁력을 동시에 요구하는데, 이번 성과는 당사의 제품력이 국제적으로 입증된 결과”라며 “수익성이 높은 글로벌 진출 전략이 효과를 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글로벌 제약업계에서 공급망 다변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폴라리스AI파마 역시 아시아를 넘어 러시아, 중동, 중남미 등으로 영역을 넓히며 입지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폴라리스AI파마 관계자는 “특정 국가나 고객에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지역에서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해 내년에는 정부 조달시장뿐 아니라 민간 제약사 협력도 확대할 것”이며 “본업인 API 사업 외에도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을 키우고, AI 기반 신사업도 육성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폴라리스AI파마는 제네릭 기반 API와 CDMO 사업을 안정적으로 운영 중이며, 폴라리스그룹 편입 이후 폴라리스오피스와 연계해 AI 기반 제약 R&D 데이터 사업으로도 확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