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현대바이오는 코로나19 치료용으로 개발한 경구용 항바이러스제 CP-COV03 임상2상 진행 시, 코로나19와 독감용으로 신청해 두 임상을 병행할 계획이라고 1일 밝혔다. 현대바이오는 최근 정부 당국에 CP-COV03의 코로나19-독감 임상 병행 신청의사를 전하고 관계 당국의 협조를 요청한 상태다. CP-COV03가 코로나19 치료용으로 임상1상을 마치면 독감용 임상은 1상을 거치지 않고 2상으로 직행한다. CP-COV03가 임상을 통과할 경우 유사증상 환자에게 선제적 조치로 CP-COV03 처방이 가능해져 코로나19와 독감의 동시대유행에 따른 트윈데믹(Twindemic) 우려는 물론 의료대란 해소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최근 동절기를 맞아 트윈데믹 우려가 높아지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독감과 코로나19의 동시감염 사례들이 나오고 있어 두 질환에 모두 적용 가능한 치료제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코로나19와 독감의 동시 감염시 사망률은 무감염자의 6배, 코로나19 환자의 2.3배에 달한다. 현대바이오 관계자는 “유사증세를 보이는 코로나19와 독감은 선제적 대응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CP-COV03가 코로나19와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이베스트투자증권은 1일 현대백화점에 대해 위드코로나 시행 이후 확진자 급증에 따른 우려가 있었지만 순항 중이라고 평가했다. 목표주가 11만 5000 원,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했다. 백화점 매출은 아우터를 중심으로 한 패션 부문의 회복이 양호한 실적을 이끌고 있다고 분석했다. KB증권은 올해 10월 여성패션이 지난 19년 대비 4% 성장, 남성패션 또한 10% 성장한 것으로 추정했다. 11월도 지난 19년 대비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오린아 KB증권 연구원은 “더현대서울은 내년부터 기존점에 포함돼 8000억 원 수준의 매출을 예상한다”며 “위드코로나 시행으로 사회적 모임이 재개되고 있고 F&B 매출액이 4분기 백화점 집객 및 실적에 도움을 줄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면세점도 양호한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KB증권은 현대백화점의 올해 10월 면세점 일평균 매출액은 83억 원, 11월은 80억 원대를 추정했다. 내년 MD 개편을 통한 레벨업을 바탕으로 총 매출액은 전년 대비 20% 증가, 영업이익은 흑자전환해 48억 원 수준을 전망했다. 오 연구원은 “위드코로나 이후 확진자 증가에 따른 우려가 있었지만 4분기 백화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KB증권은 1일 대한항공에 대해 항공여객 증가로 내년 역대 최대 수준의 영업이익이 기대된다며 목표주가를 3만 8000 원에서 4만 원으로 상향했다.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최근 항공여객 수요의 회복세가 두드러진다는 분석이다. 강성진 KB증권 연구원은 “항공여객의 회복 모습이 아직 미주노선에 국한돼있지만 비관광승객, 장거리노선을 중심으로 여객 수요회복이 나타나고 있다”며 “화물에만 의존하는 해운사와 차별되는 포인트”라고 설명했다. 이를 바탕으로 대한항공이 역대 최대 수준의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KB증권은 내년 대한항공의 영업이익을 1조 2000억 원으로 예상하며 시장 컨센서스를 15.6% 상회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제 여객 수송량이 전년 대비 654% 가량 증가하며 3조 원의 영업이익 개선효과를 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 연구원은 “내년 1분기부터 아시아나 항공 연결 편입을 이유로 연간 2832억 원의 연결자회서 영업이익 증가도 예상된다”며 “항공여객의 회복과 예상보다도 훨씬 강한 항공화물 업황 등을 반영해 목표주가를 상향했다”고 말했다.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유안타증권은 1일 LG생활건강에 대해 견고한 수요 대비 과도한 하락을 겪고 있다며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했다. 목표 주가는 145만 원을 유지했다. 전일 LG생활건강의 주가는 5.3% 하락했다. 유안타증권은 12개월 예상 PER 20배를 깨고 내려와 중국의 강한 수요가 나타나기 이전으로 기업가치가 회귀했다고 설명했다. 박은정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하지만 지난 11월 중국 광군제 시기 총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한 3294억 원을 기록할 만큼 브랜드 후의 중국 수요는 여전히 견고하다”며 “견고한 수요 대비 현재의 주가 수준은 과도하다”고 판단했다. 내년 영업실적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유안타증권은 LG생활건강의 4분기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각각 전년 동기 대비 4% 증가한 2조 2000억 원, 2700억 원으로 예상했다. 부문별로는 화장품은 4%, 생활용품 6% 등의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분석했다. 박 연구원은 “이제 시장 우려는 9부 능선에 와있으며 과거 LG생활건강은 외부 충격 요소에 낮은 이익 변동성으로 견고한 이익 체력을 보였다”며 “오미크론에 대한 우려 완화 시 LG생활건강의 낮은 주가 수준은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코스피가 2.4% 급락하며 연중 최저치로 주저앉았다.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출현으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투자심리가 급랭한 모습이다. 30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70.31포인트(2.42%) 내린 2839.01에 거래를 마쳤다. 간밤 뉴욕 증시 강세에 장 초반 기세가 좋았지만, 오미크론 확산 우려에 장중 내내 매도심리가 우세하며 하향 곡선을 그렸다. 나정환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모더나 CEO의 발언과 일본 확진자 발생 등으로 오미크론 변이 불확실성이 증대됐다”며 “유가도 하락했고 국채금리도 떨어지면서 위험자산 회피심리가 강화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스테판 방셀 모더나 CEO는 “현재 백신으로 코로나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대응이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업종별로는 의료정밀 업종을 제외하고 모두 파란불을 켰다. 특히, 음식료품, 종이·목재, 금융업, 은행 등이 4% 이상 급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10개사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소폭 상승한 것을 제외하고 모두 하락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네이버는 1%대 하락했고 삼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엔지켐생명과학이 중증 구강점막염(CRIOM) 치료제 임상2상에서 중증 지속기간 100%감소와 발생률 감소를 확인했다. 앞으로 임상3상을 위해 글로벌제약회사들과 협력한다는 방침이다. 엔지켐생명과학은 30일 항암화학방사선요법 유발 구강점막염(CRIOM) 치료제의 임상 결과 발표회를 열었다. 엔지켐생명과학에 따르면 EC-18 임상 2상에서 1차 평가지표인 중증 구강점막염(CRIOM) 지속기간은 위약군 13.5일 대비 투약군 0일(중앙값)로 100% 감소했다. 또, 2차 평가지표인 중증 구강점막염 발생률은 위약군 70% 대비 투약군 45.5%로 35%가 개선된 것으로 확인됐다. 구강점막염 치료제는 아직까지 개발된 치료제가 없는 의료적 미충족 수요가 높은 시장이다. 엔지켐생명과학은 EC-18이 동일한 치료제 임상 중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고 설명했다. 엔지켐생명과학은 해당 결과를 토대로 지난 11월 5일 FDA 혁신신약 지정 신청을 완료했다고 전했다. 혁신신약 지정은 심각한 중증질환의 치료를 위해 기존 치료법 대비 임상적 유효성이 현저히 개선된 치료제를 대상으로 약물의 개발과 심사를 촉진시켜 주는 제도다. 임상3상에 대해서도 글로벌 제약회사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바이오리더스가 개발중인 감마PGA(γ-PGA) 물질기반의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가 오미크론, 델타변이에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30일 밝혔다. 세계적 학술지 ‘네이처(Nature)’에 지난 10월 25일 독일 샤리테 의과대학 연구팀이 발표한 바에 따르면 경미한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경우 NK세포가 감염된 폐 세포를 제거해 치료 효율을 높인다. 하지만 상태가 위중한 경우 과발현된 티지에프-베타(TGF-β)에 의해 NK 세포에 의한 방어반응이 손상된다고 보고했다. 연구팀은 바이러스 감염 후 적절한 TGF-β 억제 또는 NK 세포를 직접 활성화해 SARS-CoV-2에 감염된 세포를 제거하는 능력을 회복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바이오리더스는 서울대와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공동 연구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네이처에 발표된 논문을 뒷받침하는 결과를 확인한 바 있다. 바이오리더스가 개발중인 감마PGA(γ-PGA) 물질기반의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를 5일간 1일 1회씩 경구 투여한 마우스 모델에서 TGF-β 발현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바이오리더스 관계자는 “오미크론, 델타 등 변이 바이러스 돌파감염 및 중증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쿠콘이 국내 최대 규모의 SW 전시인 ‘소프트웨이브 2021’에 참가한다고 30일 밝혔다. 소프트웨이브 2021은 국내를 대표하는 IT·SW 기업들이 참가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클라우드, 블록체인 등 주요 기술과 서비스를 공개한다. 국내·외 SW 산업을 이끌 신기술과 비전을 제시하며 소프트웨어 트렌드를 소개하는 자리다. 쿠콘은 이번 전시에서 2021년 12월 시행되는 마이데이터 시대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마이데이터 플랫폼과 쿠콘이 제공하는 데이터 API, 기업 활용 사례 등을 선보인다고 전했다. 쿠콘은 마이데이터 사업자와 개인신용정보 보유기관 중 자체 마이데이터 시스템 구축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 및 기관에 플랫폼을 구축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우정사업본부, 우리카드, NH농협캐피탈 등 여러 금융기관에서 쿠콘의 마이데이터 플랫폼을 도입했다. 김종현 쿠콘 대표는 “국내 최대 규모의 SW 전시인 소프트웨이브 2021에 쿠콘이 참가하게 돼 기쁘다”며 “비즈니스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핀테크 기업, 마이데이터 사업을 준비하는 기업들이 쿠콘과 함께 마이데이터 비즈니스의 해법을 발견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오미크론 변이의 등장으로 지난 금요일 미국 증시가 2%대 하락하는 등 공포 장세를 연출했지만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현재의 매파적 행보를 이어갈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델타변이는 수요보다 공급에 더 큰 차질을 일으켰고 이전 경험과 비교해 오미크론 변이에도 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 주요한 이유다. 신한금융투자는 30일 오미크론 변이 소화 이후 Fed의 정상화 속도가 증시 방향성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분석했다. 신한금융투자는 오미크론 변이의 위중증 비율이 크지 않다는 관측과 더불어 관련 불확실성이 추가적으로 소화돼야 한다고 전망했다. 이를 배제해도 주요국 신규 확진자가 증가해 변동성은 당분간 지속될 공산이 크다고 예측했다. 김성환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오미크론 변이 소화 이후 Fed의 정상화 속도가 증시 방향성을 결정한 변수”라며 “경기 기대감이 낮아지는데 긴축우려가 지속될 경우 증시가 재차 취약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델타 변이 경험 상, 수요에 큰 영향을 주지 않고 물가 압력이 지속된다면 Fed의 매파적 행보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 연구원은 “오미크론 변이가 대봉쇄로 이어지지 않고 델타
인더뉴스 이수민 기자ㅣLG전자[066570]가 내년 1월 5일부터 8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전시회 CES 2022에 참가해 고객들에게 새로운 디지털 경험을 선보인다고 30일 밝혔습니다. 이전 CES 전시회와는 다르게 LG전자는 이번 전시를 온·오프라인을 병행한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참가할 계획입니다. LG전자 부스는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과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을 활용해 제품을 체험하고 볼거리를 즐기는 공간으로 꾸며집니다. 관람객은 부스에 설치된 뷰 포인트에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사용해 LG 올레드 TV, LG 오브제컬렉션 얼음정수기냉장고, 식물생활가전 LG 틔운(tiiun) 등을 비롯해 이전 CES에서 선보였던 초대형 올레드 조형물을 가상으로 체험해볼 수 있습니다. LG전자는 누구나 쉽게 관람할 수 있는 온라인 전시관도 운영합니다. 오프라인 부스에도 관람객들이 스마트 기기로 QR코드를 스캔해 간편하게 온라인 전시장을 둘러볼 수 있는 공간을 별도로 마련했습니다. LG전자는 ESG 경영의 일환으로 2천제곱미터(㎡) 규모의 전시 공간을 재활용 자재를 사용해 조성했습니다. 부스 디자인도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아이티센 그룹의 바이오인증 전자서명 서비스 기반 핀테크 보안기술 전문기업 시큐센은 신한은행이 회사의 ‘멀티모달 바이오인증 플랫폼’을 적용한 시스템을 오픈했다고 30일 밝혔다. 시큐센의 ‘멀티모달 바이오인증 플랫폼’은 전자서명법 제2조 제2호에 따라 별도의 인증서 없이 바이오정보를 전자문서에 첨부하거나 논리적으로 결합해 전자서명을 생성 및 검증하는 ‘바이오인증 전자서명’ 플랫폼이다. 이번에 신한은행에 적용한 얼굴인식 시스템은 모바일 운전면허증 등에 적용된 메사쿠어컴퍼니 엔진 및 후지쯔의 손바닥정맥 본인 확인 기술이 탑재됐다. 신한은행의 디지털라운지는 신규 계좌 개설, 카드 발급 등 업무를 할 수 있는 ‘스마트 키오스크’와 실시간 화상통화로 직원과 금융 상담이 가능한 ‘디지털데스크’ 등으로 구성됐다. 금융소비자가 얼굴과 손바닥 정맥의 생체정보를 등록해 본인 확인을 하고 출금·이체 등의 은행 업무를 할 수 있다. 시큐센 관계자는 “멀티모달 바이오인증 플랫폼과 바이오인증 전자서명의 안정성과 편리성을 인정받았으며 최근 은행권의 확대와 더불어 타 제2금융권으로 확대하고 있다”며 “금융권 서비스기관의 확대는 물론 비금융권의 두가지 산업분야에서 안면인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나이벡이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일본 다이치산쿄로부터 유전자 약물을 전달받아 신약 개발에 착수했다고 30일 밝혔다. 나이벡은 다이치산쿄와 정식 킥오프 미팅을 진행하고 다이치 산쿄의 후보물질 유전자 약물을 수령했다. 이번 공동 연구는 나이벡의 'NIPEP-TPP 기반 표적 조직 투과 약물전달시스템'에 다이치산쿄의 유전자 후보물질을 접목해 신약 개발을 진행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NIPEP-TPP에 다이치산쿄의 후보물질을 접합해 안정성과 세포 투과 등 시험관 실험(in-vitro) 단계의 검증이 진행될 예정이다. 나이벡 관계자는 “다이치산쿄와의 킥오프 미팅은 성공리에 진행됐으며 다이치산쿄 뿐 아니라 다수의 글로벌 제약사와도 미팅을 함께 진행하며 전략협의를 했다"며 “나이벡은 다이치산쿄에서 곧 1차 연구개발비를 수령할 예정으로 최상의 결과를 도출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신세계백화점은 ‘수면 경제(슬리포노믹스)’라는 말이 나올 만큼 커지고 있는 수면 관련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콘텐츠를 다양화·세분화해 선보이고 있다고 30일 밝혔습니다. 신세계백화점에 따르면 지난해 침대 매출이 20% 증가한 것에 더해 올해는 27.8% 오르면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최근 대전신세계 Art & Science는 업계 처음으로 수면과 관련된 용품만 모아놓고 판매하는 숙면 전문 편집샵인 ‘사운드 슬립 갤러리’를 오픈했습니다. 침대와 토퍼·베개·조명과 침실에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홈 IoT 서비스 등을 소개합니다. 지난 8월 오픈한 이후 3개월 만에 매출 목표 대비 20%를 초과 달성했다는 설명입니다. 주요 브랜드로는 베개와 토퍼 전문샵 ‘슬립앤슬립’, 스마트 IoT ‘헤이홈’, 매트리스 커스터마이징을 제공하는 ‘씰리’ 등이 있습니다. 신세계 타임스퀘어점과 하남점도 최근 신규 브랜드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신규 출시한 매트리스 브랜드 ‘지누스’는 미국 아마존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제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롤팩 매트리스로 배송기사 없이 직접 설치가 가능해 간편함이 특징입니다. 대표 상품은 포레스트워크 매트리스 등이 있습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유안타증권은 30일 GS건설에 대해 견조한 주택·건축 시장을 바탕으로 실적이 개선되고 신사업의 가시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목표주가는 5만 7000원,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유안타증권은 내년 GS건설이 주택과 건축을 중심으로 실적 개선을 이룰 것으로 예상했다. 유안타증권은 GS건설의 내년 연결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2.6%, 38.4% 증가한 10조 2000억 원, 9751억 원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했다. 지난 19년 저점으로 한 주택 분양 증가 기조가 이어지며 주택, 건축 부문 중심의 매출 확대와 낮아진 원가율 기조가 내년에도 유지될 것으로 분석했다. 김기룡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올해 싱가폴 본드콜 관련 Mariana South (537억 원), 바레인 LNGIT (1430억 원)등 해외 비용과 플랜트 인력 조정에 따른 일시적 비용 1000억 원 반영에 따른 기저효과와 고정비 부담이 축소 될 것”이라며 “내년 실적 개선폭을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시장 수주 성과와 더불어 신사업의 가시성도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 연구원은 “GS건설의 해외수주 전략은 기존 중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DB금융투자는 30일 이녹스첨단소재에 대해 OLED 부품의 고객과 아이템의 확대로 최대 실적을 이어갈 것이라고 평가했다. 목표주가는 5만 5000원, 투자의견은 ‘매수’를 유지했다. DB금융투자는 4분기 비수기에도 이녹스첨단소재의 호실적이 이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어규진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이녹스첨단소재의 4분기 실적은 매출액 1395억 원, 영업이익 294억 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63.3%, 143% 증가한 수치를 예상한다”며 “비수기에도 호실적이 지속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DB금융투자는 ▲LG디스플레이 WOLED TV용 패널 공급증가 ▲신규 아이폰 및 삼성전자 폴더블 스마트폰 판매 호조 ▲중국향 중소형 부품 판매 증가 등의 영향으로 OLED관련 부품의 재고조정이 예년대비 완만할 것으로 판단했다. 고객과 아이템의 확대로 올해와 내년 각각 최대 실적 행진을 이어갈 것으로 분석했다. 대형 OLED TV용 봉지소재 공급 증가와 중소형 OLED용 제품 및 고객 확대가 전체 성장을 이끌 것이라고 분석했다. DB금융투자는 올해 연간 실적은 매출액 4846억 원, 영업이익 937억 원으로 각각 전년 동기 대비 44.1%, 114% 증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지난 21일부터 내수 경기 활성화를 위한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이 시작됐습니다. 유통·식품업계는 프랜차이즈 외식업체, 편의점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을 앞세워 홍보에 나서고 있습니다. 다만 업종이 같아도 실제 쿠폰 사용 가능 여부는 브랜드별로 다를 수 있어 확인이 필요합니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두 차례에 나눠 국민 1인당 25만원에서 최대 55만원의 소비쿠폰을 지급합니다. 쿠폰은 대형마트나 백화점, 유흥업소 등을 제외한 연매출 30억원 이하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애초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매출 확대가 정책의 취지인 만큼 직영점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연매출 30억 이하 가맹점'만 가능..매장 내 안내 포스터 부착 매출 규모를 충족하는 많은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들이 소비쿠폰 수혜를 누릴 것으로 보입니다. 대표적으로 BBQ·bhc·교촌치킨 등 치킨 프렌차이즈는 대부분 매장이 쿠폰 사용처에 해당합니다. 세 곳의 가맹점 비율은 96~100%에 육박합니다. 교촌치킨은 전국 가맹점에 소비쿠폰 사용 가능한 매장이라는 안내 포스터를 부착할 예정입니다. 또 고객이 매장에 전화하면 벨소리로 들리는 비즈링에도 관련 안내멘트를 넣어 홍보하고 있습니다. BBQ와 bhc도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한 가맹점임을 알리는 홍보물을 순차적으로 비치합니다. bhc 관계자는 "코로나19 시기 재난지원금 사용처 중 식음료 비중이 높았던 점을 감안할 때 이번에도 지원금이 가맹점 매출 증대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실제로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코로나 1차 재난지원금 지급 당시 추적이 가능한 신용·체크카드 충전금(9조5591억원) 중 마트·식료품 비중이 26.3%로 가장 컸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후 음식점(24.3%), 병원·약국(10.6%) 순으로 집계됐습니다. 카페 프렌차이즈 중에서는 중·저가 커피 전문점들로 수요가 집중될 전망입니다. 메가커피·컴포즈·빽다방 등 '저가커피 3대장'을 포함해 엔제리너스, 투썸플레이스 등 가맹점에서 쓸 수 있습니다. 특히 전체 점포의 99%가 가맹점인 메가커피와 이디야커피는 매장 내외부에 민생쿠폰 사용처를 알리는 홍보물을 부착하는 데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국내 카페 프렌차이즈업계 1위인 스타벅스는 2000개 이상의 점포를 전부 직영점으로 운영하고 있어 이번 대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패스트푸드업계는 브랜드별로 직영·가맹 비율 편차가 큰 편입니다. 맘스터치와 롯데리아는 가맹점 비율이 각각 99%, 90%로 거의 대부분 점포가 소비쿠폰 사용처에 해당됩니다. 이와 달리 KFC, 맥도날드, 버거킹 등은 가맹 비율이 8~23% 수준으로 낮아 대다수 매장에서 쿠폰 사용이 제한됩니다. 도미노피자 전 가맹점에서는 자사앱 주문 시 현장결제로 신청하면 소비쿠폰을 쓸 수 있습니다. 자사앱 및 통신사 프로모션 적용도 가능합니다. 신세계푸드 노브랜드 버거는 '와페모 데이' 행사를 열고 가맹본부가 행사 비용 전액을 부담하기로 했습니다. 더본코리아는 빽다방, 새마을식당, 역전우동, 홍콩반점, 롤링파스타 등 자사 20여개 브랜드 가맹점에 소비쿠폰 사용 가능 매장임을 알리는 홍보물을 부착했습니다. 이번 쿠폰은 매장 내 키오스크나 직원 대면 주문을 통해 사용 가능합니다. 빽다방은 키오스크 이용 시 멤버십 스탬프 적립도 할 수 있습니다. 가맹점 비중이 99%로 압도적인 편의점 역시 대표적인 소비쿠폰 사용처로 꼽힙니다. 베이커리 프랜차이즈인 파리바게뜨, 뚜레쥬르 등에서도 소비쿠폰으로 제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동네 가게나 전통시장, 일부 지역 중소형 식자재마트 등에서 쿠폰을 쓸 수 있습니다. 다이소 480여개만 사용처 해당..배달앱 '만나서 결제' 시 가능 생활용품점 다이소는 전체 매장(1576개) 가운데 30%가량인 480여개 가맹점에서만 소비쿠폰을 쓸 수 있습니다. 다이소 측은 "사용 가능 매장에 대해 별도 안내 포스터를 배포하고 있다"며 "다이소몰 '매장 위치 찾기' 서비스를 통해 소비쿠폰 사용 가능 매장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배달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일부 서비스에서는 쓸 수 있습니다. 온라인 앱에서 소비쿠폰으로 배달 음식을 주문하는 건 불가능하지만 소비자가 배달 기사를 직접 만나 가맹점 자체 단말기를 사용해 결제하는 '만나서 결제' 방식을 통하면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반면 대형마트나 기업형 슈퍼마켓(SSM), 면세점 등에서는 소비쿠폰 사용이 불가합니다. 하지만 대형마트에 입점한 안경점, 미용실, 약국 등 일부 테넌트는 소비쿠폰 사용이 가능해 확인이 필요합니다.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들은 정부 정책에 맞춰 소비자들의 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프로모션을 함께 전개합니다. 원앤원이 운영하는 원할머니 보쌈족발은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에서 신규 추가하면 5000원 할인 쿠폰을 제공하며 오는 27일까지 민생회복 소비쿠폰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노브랜드 버거는 오는 27일까지 NBB앱을 통해 시그니처, 메가바이트 등 행사 버거 5종을 구매하면 동일 버거 단품을 무료로 추가 증정합니다. 더본코리아는 8월 4일부터 31일까지 배달플랫폼 땡겨요를 통해 홍콩반점과 빽보이피자 메뉴를 주문할 경우 각각 4000원, 5000원 할인 프로모션을 진행합니다. 한 카페 프랜차이즈 관계자는 "정부에서 민생회복지원금을 소비 진작의 마중물이 될 거라고 표현했는데 아무래도 없던 돈이 돌면 가맹점 매출이 조금이나마 활성화되지 않을까 기대하는 측면이 크다"며 "특히 카페는 여름이 성수기라 사람들의 소비심리가 회복되면 매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LG AI연구원이 22일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LG AI 토크 콘서트 2025'를 열고 진화한 '엑사원 생태계'를 처음으로 공개했습니다. LG AI연구원은 지난 5년간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을 산업 전반에 적용해 글로벌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날 임우형 LG AI연구원 공동 연구원장은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하고 AI 모델 개발을 넘어 다양한 산업 현장 적용을 통해 범용성과 전문성을 모두 갖춰 나가며 글로벌 파트너사와 함께 AI 생태계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이홍락 공동 연구원장은 세계 최고 수준 성능의 하이브리드 AI 모델 '엑사원 4.0'과 정밀 의료 특화 모델 '엑사원 패스 2.0'을 소개했습니다. '엑사원 4.0'은 세계 최고 수준 성능의 국내 첫 하이브리드 AI 모델이며 '엑사원 패스 2.0'은 질병 진단 시간을 2주에서 1분 이내로 단축할 수 있는 정밀 의료 AI 모델입니다. LG AI연구원은 멀티모달 AI 모델 '엑사원 4.0 VL'도 공개했습니다. 복잡한 문서부터 이미지, 분자 구조식까지 처리 가능한 이 모델은 메타의 최신 모델과 비교해 성능 우위를 보였다고 LG는 강조했습니다. '엑사원 4.0 VL'은 엑사원의 시각적 이해 기능을 담당하는 모델로 향후 다양한 전문 영역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음으로 최정규 LG AI연구원 AI에이전트그룹장은 LG 내부에서 검증을 마친 기업용 AI 에이전트 '챗엑사원'과 '엑사원 데이터 파운드리', '엑사원 온프레미스' 등 실사용 단계의 솔루션을 차례로 소개했습니다. 최정규 AI에이전트그룹장은 "LG 임직원의 AI 에이전트인 '챗엑사원'은 국가핵심기술 문서까지 사용할 수 있는 ISO 인증을 획득해 높은 보안성이 요구되는 기업 전용 서비스로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입증했다"라며 "엑사원 4.0 공개 이후 모델 라이선스 범위를 교육 목적까지 확대했으며 초등학생부터 대학생까지 자유롭게 엑사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LG AI연구원은 엑사원 모델의 교육용 라이선스를 초등학생부터 대학생까지 확대해 활용도를 넓히겠다는 방침도 전했습니다. 이날 공개한 '엑사원 데이터 파운드리'는 전문가 60명이 3개월 동안 작업해야 생성할 수 있는 데이터를 하루 만에 완료할 수 있게 해주는 데이터 생성 플랫폼으로 데이터 생산성과 품질을 획기적으로 높인다고 강조했습니다. '엑사원 생태계'의 마지막 순서로 AI 반도체부터 모델까지 순수 국산 기술로 완성한 '엑사원 온프레미스'를 소개했습니다. '엑사원 온프레미스'는 기업들이 보안 걱정 없이 엑사원 모델을 사용할 수 있도록 외부로부터 독립된 환경에서 기업용 에이전트를 구축하는 풀스택(Full-Stack) 솔루션입니다. 이날 행사에서는 협업 중인 외부 전문가들도 참여해 활용 사례를 공유했습니다. 백민경 서울대 교수는 '차세대 단백질 구조 예측 AI'를, 런던증권거래소 그룹은 엑사원으로 만든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서비스를 소개했습니다. 이홍락 공동 연구원장은 "에이전틱 AI의 진화는 곧 현실 세계를 바꾸는 기술인 피지컬 AI로 연결된다"라며 "AI가 현실을 인식하고 판단하며 실제 환경을 바꾸는 피지컬 AI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습니다.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삼성전자[005930]는 15일부터 21일까지 1주일간 진행한 '갤럭시 Z 폴드7·Z 플립7' 국내 사전판매가 104만대 판매를 달성했다고 22일 밝혔습니다. 104만대는 역대 갤럭시 폴더블 사전판매 중 최다 판매 신기록입니다. 이전까지 갤럭시 폴더블 최다 사전판매 기록은 '갤럭시 Z 폴드5·Z 플립5'로 2023년 8월 1주일간 진행한 사전판매에서 102만대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갤럭시 Z 폴드6·Z 플립6'는 2024년 7월 사전판매 1주일간 진행해 91만대가 팔렸습니다. '갤럭시 Z 폴드7'과 '갤럭시 Z 플립7'의 사전 예약은 판매 비중이 각각 60%와 40%이며 폴드 비중이 지난해 40% 수준에서 60%로 늘어났습니다. 색상은 '갤럭시 Z 폴드7'는 제트블랙, 블루 쉐도우 선호도가 높았습니다. '갤럭시 Z 플립7'은 블루 쉐도우와 코랄레드가 인기를 끌었습니다. 업계에서는 신제품의 하드웨어 디자인, 강화된 갤럭시 AI 기능 등이 사전판매를 견인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갤럭시 Z 폴드7'은 접었을 때 8.9㎜, 펼쳤을 때 4.2㎜ 두께에 215g의 가벼운 무게와 21:9 화면비로 접은 상태에서도 바(Bar)형 스마트폰과 유사합니다. '갤럭시 Z 플립7'은 1.25㎜ 슬림 베젤을 적용한 전면 플렉스윈도우와 한 손에 들어오는 사이즈를 결합해 휴대성과 사용 편의성을 강화했습니다. 한편, 삼성닷컴에서 사전 구매한 고객 중 절반 이상은 'New 갤럭시 AI 구독클럽'에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New 갤럭시 AI 구독클럽'은 '갤럭시 Z 폴드7·Z 플립7' 자급제 모델을 구입 후 가입하면 ▲1년후 기기 반납 시 최대 50% 잔존가 보장 ▲'삼성케어플러스 스마트폰 파손' 제공 ▲정품 모바일 액세서리 30% 할인 쿠폰 혜택을 제공하는 구독형 프로그램입니다. 사전 구매 고객은 오늘부터 제품 수령과 개통이 가능합니다. '갤럭시 Z 폴드7·Z 플립7'은 25일부터 한국, 미국, 영국 등을 시작으로 전 세계에 순차 출시됩니다.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현대차·기아는 '2025 레드 닷 어워드: 콘셉트 디자인(Red Dot Award: Contcept Design 2025)'에서 최고상인 최우수상(Best of the Best) 2개와 본상(Winner) 9개 등 11관왕을 달성했다고 21일 밝혔습니다. 독일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 디자인센터(Design Zentrum Nordrhein Westfalen)가 주관하는 레드 닷 어워드는 세계 3대 디자인상 중 하나로, 매년 제품 디자인,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디자인 콘셉트 부문으로 나눠 우수 디자인을 선정합니다. 이번에 발표된 콘셉트 부문에서 현대차·기아는 ▲City-Pod, Urban-Pod ▲PV5 위켄더 콘셉트(WKNDR Concept)로 자율주행(Autonomous)과 자동차 및 모터사이클(Cars and Motorcycles) 분야에서 각각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현대차의 ▲City-Pod, Urban-Pod은 작년 CES와 ADEX 2023에서 각각 선보인 미래 물류 시스템입니다. 스마트 시티를 구현하는데 중점을 둔 혁신적인 운송 솔루션으로 디지털 트윈, 자율주행 등 최첨단 기술을 적용해 실시간 추적이 가능하고, 산업현장뿐 아니라 고객의 일상에서도 다용도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기아의 ▲PV5 위켄더(WKNDR) 콘셉트는 자유로운 아웃도어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는 다목적 EV 밴입니다. 모듈형 콘셉트 적용으로 실내·외를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으며, 태양광 패널 등 자체 에너지 솔루션을 장착해 고객에게 지속가능한 여정을 제시합니다. 또한 리프트업 가능한 차체와 오프로드 타이어는 험준한 지형에서도 역동적인 주행이 가능합니다. 이와 함께 현대차·기아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우수한 콘셉트 디자인으로 총 9개의 본상을 수상했습니다. 제네시스 ▲엑스 그란 쿠페(X Gran Coupe)와 ▲엑스 그란 컨버터블(X Gran Convertible) ▲엑스 그란 이퀘이터(X Gran Equator) 제네시스의 디자인 철학인 '역동적인 우아함(Athletic Elegance)'을 극대화한 디자인으로 자동차 및 모터사이클 분야에서 본상을 수상했습니다. 기아는 ▲PV1 ▲PV5 ▲PV7 콘셉트는 사용 환경에 최적화된 디자인으로 본상을 차지했고 기아의 전동화 디자인 노하우가 집약된 소형 SUV ▲EV2 콘셉트도 본상을 수상했습니다. 현대차의 ▲나노 모빌리티(Nano mobility)와 ▲마이크로 모빌리티도 본상 수상작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이 밖에도 현대차·기아 로보틱스랩의 ▲전기차 자동충전로봇 서비스(Automatic Charging Robot Service)도 서비스 디자인 분야에서 본상을 수상했습니다. 전기차 자동충전로봇 서비스는 차량의 주차 상태를 스스로 판단해 충전을 시작하는 자동화된 서비스로, 사용자는 차량에서 내리지 않은 채 전체 충전 과정을 실시간으로 편리하게 모니터링 할 수 있습니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현대차·기아의 지속가능한 미래에 대한 임직원들의 집요한 고민과 각 브랜드의 디자인 철학이 결합돼 높은 성과를 낼 수 있었다"며 "차별화된 모빌리티 경험이 고객에게 닿을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삼성생명(대표이사 사장 홍원학)은 공식 유튜브 채널 구독자가 연초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26만1000명으로 집계됐다고 20일 밝혔습니다. '보험을 넘어서는 보험'이라는 슬로건에 아래 기존 보험 콘텐츠 틀에서 벗어나 젊은 세대 삶과 정서에 깊이 공감하는 메시지를 담아낸 결과라고 삼성생명은 의미를 부여합니다. 올해 2분기부터는 '젊음과 가능성이 길어진 시대에 맞춰 개인의 도전과 성장을 응원하는 보험'이라는 메시지를 전면에 내세우며 슬로건에 담긴 브랜드 철학을 구체화하고 있습니다. 보험상품과 보장에 대한 단순안내를 넘어 시대변화에 따라 재정의된 보험의 역할과 의미를 콘텐츠에 담아내고 있는 것입니다. 시대적 공감을 이끌어내고자 하는 콘텐츠에 2030세대도 적극 화답하고 있습니다. 연초 12만명에 머물던 삼성생명 공식 유튜브 채널 구독자는 7개월여만에 26만명을 돌파했습니다. 유튜브 콘텐츠 관련 상호작용(좋아요·댓글·공유등)은 700여건에서 8000여건으로 11배가량 큰폭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삼성생명 공식 인스타그램 채널 팔로워는 연초 대비 2배 이상 늘어나 9만명을 넘었고 콘텐츠에 대한 반응(좋아요·댓글·저장등) 또한 30% 증가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같은 성과의 중심에는 유튜브 웹예능 '망중왕전'이 있다고 삼성생명은 설명합니다. 망중왕전은 '망해야 우승하는 오디션'이라는 역발상에 토대를 둔 콘텐츠입니다. 다양한 실패를 겪은 참가자 사연을 중심으로 진행되며 최종우승자는 100만원의 '갱생지원금'을 받습니다. '실패해도 괜찮다'는 시대적 정서를 위트있게 반영해 젊은세대 구독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이밖에도 길거리 인터뷰를 통해 세대간 공감을 이끌어내는 '과거의 오늘 뭐하셨나요', 2030세대 딸의 시선으로 보험설계사 엄마의 하루를 담은 '내일은 FC', 금융상식을 알아보는 게릴라 퀴즈쇼 '보험 들고 챌린지', AI 캐릭터를 활용해 일상생활과 관련된 보험정보를 알기 쉽게 전달하는 '궁금해리 알려달리' 등 다양한 포맷의 콘텐츠를 선보이며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삼성생명 '별리' 캐릭터를 활용한 인스타그램 콘텐츠도 브랜드 정체성을 2030세대에 더욱 가깝고 친숙하게 풀어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랜덤 음료 뽑기', '직장인 명언시리즈' 등 직장인의 일상과 감정을 유쾌하게 풀어낸 콘텐츠는 수차례 공유되며 높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삼성생명 관계자는 "보험이라는 어려운 주제를 젊은세대가 공감할 수 있는 콘텐츠 언어로 쉽게 풀어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고객 일상에 응원과 감동을 전하는 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라이프파트너'로서 삼성생명의 이미지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