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 #. “골목마다 들어온 편의점에서도 커피를 파는데, 바리스타까지요? 테이크아웃 고객들이 더 줄어들게 생겼네요.“
해방촌에서 5년 넘게 카페를 운영하고 있는 A씨는 한숨이 늘었다. 해방촌이 지금처럼 알려지기 전 이태원하면 떠오르는 '해밀턴 호텔'과 '경리단길'에서 멀찌감치 떨어진 곳에 카페를 열었다. 주로 외국인과 해방촌 토박이들이 단골손님이었다.
이곳에 변화의 바람이 불어든건 2~3년 전부터다. 카페와 식당이 하나둘씩 생겨났고, 사람들로 붐비기 시작했다. 동네 분위기도 달라졌다. 오랫동안 운영해 온 동네슈퍼가 하나둘씩 편의점으로 바뀐 것. 크지 않은 해방촌엔 편의점 4사가 모두 들어와 있다.

지난 3일 오후에 방문한 해방촌은 GS25를 시작으로 100m 간격으로 CU, 이마트24, 세븐일레븐 점포가 나란히 위치해 있다. 특히 GS25 편의점의 경우 해방촌 터줏대감이었던 '고바우 슈퍼'가 운영되던 자리. 아직까지 해방촌엔 대형 프랜차이즈 카페가 진입하지는 않았다.
그런데, 최근 해방촌의 카페가 들썩이고 있다. 편의점에서 원두커피를 파는 데 이어, 바리스타가 있는 편의점까지 등장했기 때문이다. 이마트24는 지난 2일 해방촌에 '바리스타'가 직접 만든 커피를 제공하는 편의점을 오픈했다. 바리스타 편의점으로는 첫번째 직영점이다.
지난 2년 사이 편의점 커피는 급성장하고 있다. 커피 머신에서 버튼을 눌러 내려 마시는 방식으로 1000원대로 원두커피를 즐길 수 있는 ‘가성비‘가 최대 장점이다. 해방촌에 편의점이 하나씩 생기면서 개인이 운영하는 카페에 '테이크아웃' 손님이 줄었다.
여기에 바리스타가 있는 편의점까지 등장하면서 소규모 카페를 위협하고 있다. 실제 해방촌에 위치한 카페 주인들은 '테이크아웃' 손님이 더 줄어들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A까페 주인은 “주말엔 다른 지역에서 온 손님들이 있지만, 우린 주로 단골장사다”면서 “편의점은 그나마 스스로 커피를 내려 마시는 번거로움이 있었는데, 바리스타가 내려주는데 가격까지 낮으면 시간이 흐르면서 손님이 자연스럽게 빠지지 않겠나”고 토로했다.

이마트24 편의점 오픈을 미처 몰랐던 카페 아르바이트생도 우려하긴 마찬가지였다. B카페에서 근무한 아르바이트생은 “주말에만 일을 해서 바리스타 편의점이 오픈했다는 소식을 못 들었다”면서도 “이 사실을 (카페)사장님이 아시면 걱정이 클 것 같다”고 말했다.
바리스타 편의점에 대한 네티즌들의 반응도 엇갈린다. 우선, “가격이 저렴하고, 맛있는 커피를 살 수 있어 좋다“며 긍정적인 반응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해방촌과 같은 작은 상권에 대기업 편의점이 카페 역할까지 하는건 골목상권 침해다“라는 부정적인 반응도 적지 않다.

한편, 이마트24는 '바리스타가 있는 편의점' 운영에 대해 골머리를 앓고 있다. 바리스타가 내려준 커피를 앞세워 편의점을 운영 중인데, 바리스타(점장)가 퇴근한 후에도 커피를 판매하면서 편의점 콘셉트에 어긋난다는 비판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해당 편의점 계산대에는 '바리스타가 부재중이어도 커피를 판매합니다'라는 안내 문구가 있다. 버튼만 누르면 커피가 내려지는 반자동 시스템이기 때문에 어느 누구나 커피를 내려고 맛의 차이는 없다는 게 이마트24 관계자의 설명이다.
이마트24 관계자는 “바리스타는 점장이기 때문에 오전에 출근해 저녁에 퇴근한다”면서 “저녁에도 커피를 판매하지만 상대적으로 손님이 많지 않은데, 일각에서 바리스타 편의점 콘셉트와 맞지 않는다는 얘기가 나와 커피 매출 상황을 지켜본 후 개선할 예정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