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주동일 기자ㅣ LG전자가 웹OS를 확대 적용하고 타사도 쉽게 쓸 수 있도록 지속 개발할 예정이다.
LG전자는 독자 플랫폼 webOS(웹OS)를 자동차·로봇·스마트홈 등에도 확대하겠다고 6일 밝혔다. LG전자는 이미 webOS를 스마트 TV·디지털 사이니지·스마트 가전에 적용한 바 있다.
webOS는 2014년부터 스마트 TV 등 LG전자 스마트 기기에 탑재돼 안정성을 검증받은 플랫폼이다. 새 서비스와 기술을 적용하기 쉬운 소프트웨어 구조로 설계해 다양한 제품에 활용하기 좋다. 외부 개발자들이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게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도 제공한다.
LG전자는 5~6일 베를린에서 열린 ‘큐티(Qt) 월드 서밋 2018’에 참가해 기조연설·기술발표를 했다. Qt는 그래픽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해 응용 프로그램을 쉽고 빠르게 개발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도구다. webOS는 Qt를 활용해 고객에게 직관적이고 간편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해왔다.
행사에서 LG전자는 ▲독자 인공지능 플랫폼·구글 어시스턴트·아마존 알렉사 등을 적용한 인공지능 ▲5G 등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연결성 ▲디스플레이 기기에 구애받지 않는 멀티미디어 등을 지원하는 webOS 전략을 소개했다.
앞서 LG전자는 지난 3월 개발자 사이트에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webOS Open Source Edition(웹OS 오픈소스에디션)’을 공개했다. 또 개방형 전략을 바탕으로 글로벌 기업·연구소 등과 협업해 webOS를 다른 회사 제품에 쉽고 편리하게 탑재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 중이다.
박이령 LG전자 사장은 “webOS를 진화시키고 생태계를 점차 확장해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로 고객들에게 최적화된 인공지능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