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주동일 기자ㅣ KT가 최상위 네트워크망을 메시 구조로 바꿨다. 지역 간 트래픽 연결 경로가 다양해져 지연속도를 낮추고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KT(회장 황창규)는 국내 최초로 5G 백본망에 전국 주요 도시를 직접 연결하는 메시(Mesh) 구조 적용을 완료했다고 12일 밝혔다. 고품질 초저지연 5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5G는 LTE보다 전송속도(20Gbps)가 최대 20배 빠르고 지연 시간이 10분의 1로 준다. 5G 요구사항에 맞춰 대용량 트래픽을 초저지연으로 처리하려면 무선망에서의 지연을 줄이는 것도 중요하지만, 전국 지역 간 트래픽 전달 시 발생하는 백본망에서의 지연도 고려해야 한다.

백본망은 기간망이라고도 불리며 이동통신망·인터넷·전화망 등 다양한 네트워크를 잇는 최상위 네트워크다. KT는 백본망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내 최초로 5G 백본망에 메시(Mesh) 구조를 적용해 지역 간 트래픽 전송지연을 대폭 줄였다.
기존 유무선 통신 백본망은 트래픽을 처리할 때 각 지역을 직접 연결하는 경로가 없다. 예를 들어 부산과 광주 사이 트래픽을 처리할 땐 수도권 센터를 경유 해야만 했다. 이때 트래픽 전달 거리가 증가해 전송지연이 발생한다.
하지만 KT가 5G 백본망에 적용한 메시 구조는 전국 주요 지역센터끼리 직접 연결하는 그물형 구조다. 전국 주요 지역센터 간 직접 연결 경로가 생겨 지역 간 트래픽을 전달할 때 수도권 센터를 경유할 필요가 없어 전송지연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란 기대다.
부산과 광주 간 트래픽을 처리할 경우, 수도권을 경유하는 기존 백본망에선 약 16ms 전송지연이 발생한다. 반면 메시 구조의 5G 백본망에서는 약 6ms의 전송지연으로 최대 63%까지 지연 시간이 줄어든다.
또 메시 구조에선 특정 구간에 장애가 생겨도 다른 대체 경로를 확보할 수 있다. 연결 경로가 다양해지기 때문이다. 이로써 망 생존성을 높이고 보다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T는 향후 5G 메시 백본망에 기반한 고품질 5G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서창석 KT 네트워크전략본부장 전무는 “이번 5G 백본망 Mesh 구조 적용으로 5G 시대에 고객들이 실생활에서 체감할 수 있는 고품질·초저지연 통신서비스를 더욱 안정적으로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