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주동일 기자ㅣ KT의 2018년 매출은 2017년보다 1.6% 증가한 반면 영업이익은 11.4%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아현지사 화재 요금감면을 반영한 4분기 매출은 2017년 4분기보다 1.8% 감소했다.
KT(회장 황창규)는 2018년 연결기준(K-IFRS 1115호 신수익회계기준) 매출 23조 4601억원, 영업이익 1조 2615억원을 기록했다고 12일 밝혔다. 구 회계 기준으로 보면 매출은 전년 대비 1.6% 증가한 23조 7517억원이다.
아현지사 화재로 인한 요금감면 비용은 4분기에 모두 반영됐다. 4분기 매출은 5조 9945억원이었다. 2017년 4분기 매출인 6조 1066억원보다 1.8% 감소했다. 4분기 영업이익은 958억원으로 2017년 4분기 1337억원보다 28.4% 줄었다.

서비스 매출은 3년 연속 20조원을 돌파했다. 무선 서비스 매출은 줄었지만 핵심 사업인 초고속인터넷·IPTV 사업이 성장하고 그룹사 매출 기반이 확대된 결과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1.4% 감소한 1조 2184억원을 기록했다. 인건비 증가와 무선 매출 감소가 큰 영향을 미쳤다.
무선사업 매출은 선택약정할인·취약계층 요금감면 확대·와이브로 서비스 종료로 전년 대비 2.3% 감소한 7조 409억원이었다. 하지만 데이터ON·로밍ON 등 고객 맞춤형 신규 요금제가 큰 호응을 얻으며 무선 가입자는 2017년보다 5.5% 늘어난 2112만명을 기록했다.
일반이동통신(MNO) 순증은 91만 7000명으로 2017년보다 17% 증가했다. 이 중 휴대전화 가입자 순증은 14만명이었다. 또 유선사업 매출은 2.1% 감소한 4조 7990억원을 기록했다. 유선전화 매출이 줄고 있지만 초고속인터넷사업이 지속 성장해 매출 감소를 방어했다.
특히 기가인터넷 가입자 수는 2017년보다 95만명 늘어난 489만명으로 전체 인터넷 가입자의 56% 수준으로 성장했다. 초고속인터넷 매출은 기가인터넷 가입자 확대로 전년 대비 1.9% 성장한 2조 501억원을 달성했다.
미디어·콘텐츠사업 매출은 2017년보다 9.4% 증가한 2조 4492억원이었다. IPTV 가입자는 38만명 늘어나 국내 최대 가입자 785만명을 달성했다. 이를 기반으로 플랫폼 매출이 함께 성장해 별도 기준 IPTV 매출은 15.8% 성장한 1조 4102억원을 기록했다.
금융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2.4% 줄어든 3조 4449억원으로 나타났다. 기타서비스 매출은 부동산과 인터넷데이터센터(IDC)의 사업 호조로 전년 대비 6.7% 증가한 2조 4036억원이었다.
KT는 지난해 12월 5G 주파수를 송출하고 오는 3월 본격적인 일반 고객 대상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다. 수도권과 전국 6대 광역시를 시작으로 전국 85개 도시·도서지역까지 5G 네트워크를 전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특히 KT는 풀 메시(Full Mesh) 구조의 IP백본망, 에지 클라우드 센터(Edge Cloud Center) 등 KT만의 강점으로 초저지연 5G 서비스를 제공한다. 실감형 미디어 등 개인형 서비스뿐 아니라 5G를 산업에 접목해 효율을 높이는 B2B 서비스에도 집중한다.
또 KT는 5G 네트워크 기반 신사업에서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 지난해 139만 가입자를 돌파한 인공지능(AI) 서비스 기가지니·네트워크 블록체인·KT-MEG(스마트 에너지)·기가 아이즈(보안)·커넥티드카 등 지능형 네트워크 기반 플랫폼 사업으로 새 성장 기반을 확보할 계획이다.
윤경근 KT CFO는 “지난해 통신 시장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 KT만의 차별화된 서비스로 핵심 사업에서 고객 기반을 확대해 안정적인 실적을 올렸다”며 “KT가 보유한 세계 최고 수준의 5G 기술과 서비스로 색다른 경험과 가치를 제공해 5G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