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 작년 실적을 두고 신세계가 남매의 명암이 엇갈렸다. 정유경 신세계백화점 총괄사장이 이끄는 신세계는 백화점과 면세점, 자회사 실적 호조로 사상 최대 매출을 올렸다. 반면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이 수장인 이마트는 할인점 부진 등으로 실적 쇼크를 기록했다.
이마트와 신세계는 지난 14일과 15일 각각 작년 실적을 발표했다. 우선 신세계의 작년 매출은 5조 1819억원으로 전년 보다 33.9%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3970억원으로 전년 같은 기간(3457억원)보다 14.8% 늘었다. 당기순이익은 전년 보다 32% 상승한 2819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자회사 매출이 대폭 늘었다. 신세계디에프의 경우 인천공항 1터미널에 면세점이 오픈하면서 작년 매출이 2조 84억원으로 전년 보다 118.3% 급증했다. 영업이익은 378억원으로 집계됐다.
신세계인터내셔널도 대폭 성장했다. 화장품 사업 호조로 매출을 1조 2633억원을 기록, 전년 보다 14.6%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18.3% 증가한 555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센트럴시티는 공사 관련 판관비 증가로 영업이익이 31.5% 감소했으며, 까사미아도 판관비가 늘면서 31억 영업 손실을 기록했다.
신세계 관계자는 “면세점 신규 매장의 성공적 안착, 신세계인터내셔날 화장품 사업 고성장, 백화점 대형점포 중심의 견고한 매출로 분기와 연간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다“면서도 “면세점 신규 매장에 대한 초기 투자비 등으로 영업이익은 전년 보다 소폭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반대로 이마트엔 예상보다 이른 한파가 찾아왔다. 대형마트의 실적 부진이 가장 큰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작년 4분기의 경우 대형마트 영업이익이 53.1% 감소해 어닝 쇼크를 기록했다. 명절 연휴 효과에 따른 부담과 소비경기 부진으로 인한 집객력 감소가 동시에 나타났다는 분석이다.
앞서 이마트는 지난해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전년 보다 20.9% 줄어든 4628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공시했다. 다만, 작년 매출은 17조 49억원으로 전년과 비교해 9.9% 늘었다. 연결실적엔 대형마트, 온라인몰, 트레이더스, 노브랜드, 이마트24, 신세계푸드 등이 반영된다.
사업부별로 이마트 매출은 11조 5223억원으로 1.4% 줄었고, 영업이익은 25.4% 감소했다. 오프라인 기존점 성장률은 트레이더스를 제외하면 8% 역신장했다. 트레이더스 성장률 역시 2.4%에 그쳐 성장이 둔화되는 흐름이다.
올 한해 전망도 밝지 않다. 앞서 이마트는 트레이더스와 이커머스 독립법인을 앞세워 외형성장과 수익성 개선에 주력한다고 발표했다. 특히 온라인 통합법인의 총매출이 작년보다 30% 가량 증가한 3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트레이더스에 대한 기대감도 크다. 단독상품 등 차별화 경쟁력을 강화해 기존점 매출을 늘린다는 계획이다. 여기에 월계, 부천옥길, 부산명지 3개 신규 점포 출점을 통해 트레이더스의 성장성 강화에 더욱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업계는 온라인 외형 확장을 위해선 비용 발생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마트가 온라인 사업 30% 성장을 목표로 한 만큼 공격적인 프로모션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여기에 고객 수를 확보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는 게 중론이다.
남성현 한화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여러 요인으로 올해 실적개선 폭이 제한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외형확대보다는 수익성 개선에 집중할 시기로, 신 사업부의 성장성에 대한 기대가 있지만, 할인점 의존도가 높다는 점에서 본업에 대한 부진 만회가 쉽지 않을 것 같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