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이진솔 기자ㅣ 거동이 불편한 중증 장애인들이 음성명령으로 콜택시를 부르고 긴급신고를 할 수 있게 됐다.
LG유플러스는 인공지능(AI)을 이용한 장애인 대상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5일 밝혔다. 이는 정보통신기술로 장애인을 돕는 ‘행복한 나라 만들기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예정된 서비스는 ▲장애인 콜택시 호출 ▲교통약자용 지하철정보 확인 AI서비스다. LG유플러스는 추후에 위급상황에서 활용할 수 있는 ▲119 문자신고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장애인 콜택시 호출 서비스는 음성명령으로 서울시설공단 장애인 콜택시를 부를 수 있게 해준다. 이용자는 “클로바, 장애인 콜택시 불러줘”라고 AI 스피커에 얘기하는 방식으로 콜택시를 호출할 수 있다.
미리 등록한 목적지·최근 목적지 중 원하는 목적지를 선택하면 콜택시가 접수된다. 대기자수와 미세먼지 수준을 알려주는 기능도 있다. 배차가 되면 택시 도착 예정시간도 확인할 수 있다.
서비스는 네이버 클로바 앱 ‘스킬 스토어’ 메뉴에서 계정 연동 후 이용할 수 있다. 콜택시를 부를 때는 서울시설공단 장애인 콜택시 앱에 로그인하면 된다.
이 서비스는 LG유플러스와 네이버가 함께 만들었다. 네이버 인공지능 플랫폼 클로바가 탑재된 스마트홈 서비스 ‘U+우리집AI’나 클로바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에서 이용할 수 있다.
교통약자용 지하철 정보 확인 서비스는 클로바 플랫폼이 탑재된 AI 스피커에 “클로바, 지하철 정보에서 신용산역 알려줘”라고 말하면 수도권 1호선부터 9호선까지 ▲지상 엘리베이터 위치와 작동 여부 ▲장애인 화장실 위치 ▲전동휠체어 급속 충전기 위치를 알려준다.
이외에 출시 예정인 119 문자신고는 응급상황 시 AI 스피커와 네이버 클로바 앱에 “119 신고해줘”라고 말하면 소방청과 보호자에게 메시지가 전달되는 서비스다.
최원혁 LG유플러스 AIoT상품2담당은 “출시에 앞서 지체장애인이 일상생활에서 가장 불편한 점을 조사했더니 이동과 위급상황 대처에 가장 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며 “이런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음성으로 이용할 수 있는 지체장애인 전용 AI 서비스를 기획했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서울시설공단과 함께 AI 스피커 보급사업도 추진한다. 지원 대상은 장애인 콜택시 회원 300명으로 장애 정도와 콜택시 이용 빈도 등을 고려해 선정한다.
신청은 오는 22일까지 서울시설공단 홈페이지(http://www.sisul.or.kr) 공지사항을 참고해 접수하면 된다. 대상자 선정과 AI 스피커 보급은 4월 장애인의 달에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