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 SK텔레콤이 세계 1호 5G 스마트폰 출격 준비를 완료한 가운데, 정부에 5G이동통신 요금약관을 제출했다. 우리나라가 세계 최초 5G 사용화를 이루기 위해선 통신망, 단말기, 요금제 포함 상품 등 3가지 조건이 충족돼야 한다.
이번 SKT의 5G 요금약관이 정부의 심사를 거쳐 인가를 받게 되면 경쟁업체가 이를 바탕으로 이용요금을 재편할 것으로 보인다. 통신 3사 중 5G 요금 인가를 먼저 받게 되면, 나머지 통신사는 요금약관 신고를 통해 관련 요금제를 출시할 수 있다.
25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이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5세대 이동통신 요금약관을 제출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5G 요금약관에는 중간 가격인 5만원대 요금 상품도 포함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안팎에 따르면 5G 중가요금제는 월정액 5만원 중반에 10기가바이트(GB)미만의 데이터를 제공하는 수준으로 예상된다. 현재 SK텔레콤 LTE 요금제의 경우 월 5만원대에 4GB~6GB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앞서 과기정통부에 신청한 SK텔레콤 5G 요금약관은 데이터 150GB 기준 7만원 5000원부터 시작했다. 데이터 200GB 기준 9만 5000원, 300G는 12만 5000원 3가지 요금제로 구성됐다. 여기에 과기정통부 요청에 따라 10GB 미만 5만원대 요금제가 추가된 것으로 알려졌다.
SK텔레콤은 5G 이용약관 인가 신청서 내용에 대해 조심스러운 입장이다. 회사 관계자는 “세계 최초 5G 출시를 위해 (5G)요금제 인가를 받아야 한다”면서도 “요금약관의 세부적인 내용은 보안상 확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
향후 과기정통부는 ‘이용약관심의자문위원회’의 심사를 통해 SK텔레콤이 제출한 5G 이용약관 인가신청서를 심사할 예정이다. 앞서 지난 5일 과기정통부는 SK텔레콤의 5G 요금제의 중가 요금제가 없다는 이유로 인가를 한 차례 반려한 것으로 알려졌다.
SK텔레콤이 중가 요금제를 포함한 5G 요금 상품안을 내놓으면서 이르면 다음주 중 요금 인가를 받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오는 4월 5일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를 목표로 두고 있는 만큼 과기정통부도 조속히 심사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5G 요금제를 승인하는대로 SK텔레콤은 세계 최초의 5G 서비스 출시의 막바지 준비에 몰두할 예정이다.
한편, 통신 3사 중에서 SK텔레콤이 5G 요금 신청서를 제출하면서 경쟁업체인 KT와 LG유플러스에서도 요금제 출시를 준비 중이다. SK텔레콤이 5G 요금을 인가받으면 KT와 LG유플러스는 이용약관의 요건을 맞춰 신고만 하면 된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이동통신사 버라이즌이 오는 4월 11일 5G 상용서비스 시작을 예고하면서 국내 업체들도 세계 최초 타이틀을 뺏기지 않기 위해 잰걸음이다”며 “5G요금 인가 과정이 지나면 5G 서비스 상용화 조건을 모두 충족하게 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