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lumn 칼럼

[박경보의 CAR-톡] 캐리어 못 싣는 국내택시...대안은 ‘QM6 LPG’

URL복사

Tuesday, June 11, 2019, 17:06:46

택시 쓸 수 있는 유일한 국산 SUV.. 연료탱크 숨겨 트렁크 ‘넉넉’
해외 택시들도 SUV로 변화 추세...세단보다 넓은 적재공간 장점

 

[인더뉴스 박경보 기자] 해외여행을 가본 사람이라면 공항을 오갈 때 한 번쯤은 택시를 이용해 봤을 겁니다. 하지만 정작 국내 택시들은 대형 캐리어를 트렁크에 싣기 쉽지 않습니다. 적재공간에 큼지막하게 자리잡은 LPG 연료탱크 때문이죠.

 

LPG 탱크 탓에 가뜩이나 비좁은 택시 트렁크는 이미 기사들의 개인 짐으로 가득찬 경우도 많습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여러 명이 탑승할 경우 승객이 캐리어를 품에 안아야 하는 경우도 종종 생기곤 합니다.

 

이처럼 쏘나타와 K5 등 중형세단으로 대표되는 국내 택시들은 짐이 많은 승객들에게 기대만큼의 편익을 주지 못했습니다. 이를 의식한 듯 MPV 모델인 카렌스와 올란도가 한동안 택시로 보급됐지만, 두 차종 모두 단종되는 운명을 맞았습니다.

 

공항을 중심으로 렉스턴 스포츠, 스타렉스 등의 콜밴들이 있긴 하지만 요금이 비싸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특히 일부 콜밴들이 외국인들에게 바가지 요금을 씌운 것이 알려져 썩 손이 가지 않는 선택지입니다.

 

다른 나라들의 택시는 어떨까요. 일본은 세단 모델인 ‘크라운 컴포트’를 단종시키고 왜건·미니밴을 택시전용 모델로 보급하는 데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2020년 도쿄 올림픽에 대비해 여행객들의 편의를 높이기 위해서겠죠.

 

특히 영국은 ‘블랙캡’으로 불리는 상징적인 택시모델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클래식한 외형의 이 택시는 차체는 작지만 왜건형이라 큰 캐리어를 실어나르기엔 충분합니다.

 

이 밖에 프랑스도 왜건 모델인 푸조 308SW을 택시로 쓰고 있습니다. 미국도 최근 포드 이스케이프나 닛산 바네트, 토요타 시에나 같은 다목적 차량들이 기존 세단 택시를 대체하고 있다고 하네요.

 

해외 택시들이 왜건과 미니밴, SUV로 옷을 갈아입고 있는 지금, 국내 택시 시장에도 지각변동이 감지되고 있습니다. 르노삼성차가 곧 출시하는 QM6 LPG 모델 때문이죠. 설레발(?)일지도 모르겠습니다만, 르노삼성은 QM6 택시모델 출시를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합니다.

 

QM6는 국내 유일의 LPG SUV 모델입니다. 올란도와 카렌스가 없기 때문에 널찍한 트렁크를 제공하는 국산 LPG 모델은 QM6 밖에 없죠. 코나 전기차가 택시로 간혹 보이지만, 좁디 좁은 소형차라 택시로서의 활용성은 QM6보다 훨씬 떨어집니다.

 

특히 QM6 LPG 모델에서는 트렁크에 떡하니 자리잡은 연료탱크를 찾아볼 수 없습니다. 르노삼성의 독자적 기술인 ‘도넛탱크’를 적용해 연료탱크를 트렁크 밑 스페어 타이어 공간에 탑재했기 때문이죠. 좁은 트렁크를 가진 LPG 세단보다 공간 활용성이 월등히 좋은 셈입니다.

 

QM6 LPG 모델이 택시로 등장한다면 단조로운 국내 택시 시장에 새로운 활력이 될 것이 분명합니다. 르노삼성이 개발을 주도하고 부산공장에서 전량 생산되는 QM6는 한국을 대표하는 택시 자격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고 봅니다.

 

QM6(수출명 꼴레오스)는 개발과 생산은 물론 판매도 대부분 한국에서 이뤄지고 있습니다. 르노삼성의 대표모델이기도 한 QM6가 택시로 판매량을 늘린다면 어려움에 빠진 부산공장도 다시 일어설 동력을 얻게 되지 않을까요.

 

QM6 택시 모델은 르노삼성 뿐만 아니라 침체기를 맞은 택시업계에도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습니다. 차량 가격이야 쏘나타나 K5보다 조금 비싸겠지만, 짐이 많은 여행객들을 중심으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도심형 SUV인 QM6는 잘 생겼을 뿐만 아니라 승차감도 세단 못지 않습니다. 무엇보다 공간 활용성이 뛰어난 모델이라 대형 트렁크를 몇 개씩 실어도 넉넉하죠. 택시로서의 성공 가능성이 충분한 QM6. 이제 르노삼성의 ‘결단’만이 남았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박경보 기자 kyung2332@inthenews.co.kr

배너

LG전자-SK이노베이션, AI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 수주 확대 나선다

LG전자-SK이노베이션, AI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 수주 확대 나선다

2025.09.18 10:35:34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LG전자가 SK이노베이션과 공동으로 급성장하는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와 발열을 줄이는 고효율 HVAC(냉난방공조) 솔루션 수주 확대에 나섭니다. LG전자[066570]는 17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SK이노베이션[096770]과 'AI 데이터센터 에너지-냉각 통합 솔루션 공동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습니다. LG전자는 칠러와 팬 월 유닛(FWU) 등 공기 냉각 솔루션과 냉각수 분배 장치(CDU)인 액체 냉각 솔루션을 공급해 AI 데이터센터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 솔루션 기술 실증 및 고도화할 예정입니다. SK이노베이션은 전력 공급 및 운영 최적화를 담당하며 ▲AI 기반 데이터센터 에너지 관리 시스템(DCMS) ▲보조전원(ESS 및 연료전지) 설계 ▲전력 피크 저감 솔루션 등을 제공합니다. 양사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AI 기반의 실시간 에너지 분석을 통해 자동으로 냉각 시스템을 제어하는 차세대 솔루션도 공동 개발합니다. LG전자와 SK이노베이션은 폐열을 활용한 HVAC 솔루션과 ESS를 활용한 전력 피크 관리 등 에너지 서비스(EaaS) 분야도 협업합니다. 연료전지를 발전원으로 하고 폐열을 활용해 AI 데이터센터를 냉각하는 방식을 검토합니다. 이를 통해 탄소 배출과 에너지 사용 절감을 위한 레퍼런스를 확보하고 냉각·에너지 솔루션에 서비스까지 패키지로 제공하는 에너지 서비스 사업을 글로벌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김무환 SK이노베이션 에너지솔루션 사업단장은 "이번 협약으로 양사의 최적화된 기술력을 통합해 고객에게 검증된 데이터센터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턴키(Turn-key) 사업자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전략적 협력을 토대로 다가오는 AI 시대에 발맞춰 에너지 산업 전반의 경쟁력 제고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재성 LG전자 ES사업본부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뿐만 아니라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통합 솔루션에 이르기까지 양사의 기술 시너지를 바탕으로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