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김진희 기자ㅣ‘국민 과자’인 ‘새우깡’ 논란이 뜨겁다. 농심이 자사 상품인 ‘새우깡’의 원료를 기존 군산 꽃새우에서 수입산 새우로 변경하자, 전북 군산 어민들과 지역 정치권이 반발했다. 논란이 커지자 군산을 지역구로 둔 국회 김관영 의원은 농심 관계자와 어민들의 긴급 면담을 진행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농심은 기존 미국산 새우 50%, 국산 새우 50%였던 새우깡의 제조 원료 비율을 미국산 100%로 바꾸기로 결정했다. 서해바다 환경 오염으로 꽃새우 품질이 예전 같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농심에 따르면 폐플라스틱 등 각종 폐기물이 섞인 새우가 납품되는 사례가 늘어난 것. 그간 원료 선별 과정에서 이물질을 골라냈으나, 생산품에 이물질이 섞여 들어갈 가능성을 완전히 배재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농심은 매년 6월에 1년 간 사용할 새우를 매입해 왔으나, 국산 새우는 작년을 끝으로 올해 추가 매입하지 않았다. 농심 관계자는 “정확한 시점은 알 수 없지만, 비축한 국산 새우가 모두 소진되는 내년쯤 부터는 100% 미국산 새우를 사용하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농심의 이 같은 결정이 알려지자 꽃새우 채취 어민 50여 명은 지난 29일 군산시청 앞에서 농심 규탄하고, 군산시에는 판로 확보 등 대책을 요구했다. 앞선 25일에는 꽃새우 채취 어민으로 구성된 군산연안조망협회 회원들은 군산시 수협을 찾아가 꽃새우 가격 폭락에 대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기도 했다.
협회는 농심이 새우깡의 주원료를 꽃새우에서 수입산으로 돌리자, 한때 1상자당(14∼15㎏들이) 9만원을 넘어섰던 꽃새우 위탁판매 가격이 최근 2만 7000∼2만 8000원까지 급락했다고 하소연했다.
농심은 한 해 300~500여 톤의 군산 꽃새우를 원료로 사용했던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군산 꽃새우 전체 생산량의 60~70% 가량이다.
군산시의회는 이날 군산시청 브리핑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농심이 서해 환경오염을 핑계로 새우깡의 원료인 꽃새우 구매선을 변경해 지역 어민은 물론 전북 어민들의 생존권마저 박탈당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새우깡은 48년간 군산 앞바다에서 잡힌 꽃새우를 사용해 국민의 사랑을 받는 국민 과자인데도 근거 없는 서해 환경오염을 이유로 수매를 중단한 것은 값싼 수입산으로 주원료를 대체하려는 대기업의 얄팍한 수작”이라고 비판했다.
논란이 커지자 군산을 지역구로 둔 바른미래당 김관영 의원은 지난 29일 어민·농심 관계자들과 함께 긴급 면담을 진행하고, 사태 해결을 위한 ‘상생협의체’ 구성을 논의하기로 했다.
농심 관계자는 “수입산 새우 사용은 완제품(새우깡)의 완성도를 위한 결정이었고, 국산 꽃새우의 품질이 회복되면 다시 사용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앞으로 어민 분들과 상생협의체 운영을 통해 해결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