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박경보 기자ㅣ현대·기아자동차가 인공지능 기반의 부분 자율주행 기술을 독자 개발했지만, 전반적인 자율주행기술은 여전히 선진국보다 크게 뒤처져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한 수 아래라고 여겼던 중국마저 우리보다 자율주행 기술이 높다는 평가마저 나온다.
현대차는 21일 보도자료를 내고 인공지능 기반의 부분 자율주행 기술 최초 개발해 양산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첨단 운전자보조 시스템(ADAS)의 핵심인 스마트 크루즈 컨트롤(SCC)에 인공지능 기술을 입혀 운전자의 주행성향과 비슷하게 달리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자동 차로 변경이 가능한 HDA(고속도로 주행보조)II와 함께 적용돼 자율주행 레벨 2.5 수준을 구현한다는 게 현대차의 설명이다. 인공지능이 적용된 SCC와 HDAII는 다음달 출시될 제네시스 GV80에 최초로 탑재될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첨단기술의 집약체인 고급브랜드에 이제야 레벨 2.5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된다는 점이다. 다른 선진국 제조사들은 레벨3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해 상용화를 저울질 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자동차공학회(SAE)는 자율주행 기술을 6단계로 구분하고 있는데, 레벨3부터 운전자의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앞서 GM의 고급브랜드인 캐딜락은 지난 2017년부터 2세대 CT6에 ‘슈퍼크루즈’ 기능을 적용하고 있다. 자율주행 레벨3 수준을 달성했다고 평가받는 슈퍼크루즈 기능은 고속도로는 물론 일반 도로에서도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뿐만 아니라 미국의 전기차업체인 테슬라는 이미 4년 전부터 모든 모델에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ACC), 자동 차선 변경 등을 지원하는 ‘오토파일럿’ 기능을 적용하고 있다. 테슬라의 오토파일럿은 제네시스 GV80에 들어가게 될 HDAII와 거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실제로 현대·기아차는 자율주행차 부문에서 선두주자와의 격차가 매년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현대차그룹은 미국의 시장조사업체 내비건트리서치가 매년 발표하는 자율주행차 리더보드에서 지난 2017년 10위에 올랐다. 하지만 2018년 15위로 급추락하더니 올해도 같은 순위에 머물렀다.
반면 포드와 GM, 폭스바겐그룹 등은 매년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는 중이다. 2017년 7위였던 구글의 웨이모가 2년 만에 1위로 뛰어오른 것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미국의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업체인 앱티브가 4위로 껑충 뛰었고, 심지어 중국의 IT업체 바이두도 8위에 올랐다.
이항구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국내 자율주행차 기술 경쟁력은 선진국보다 여전히 떨어지는 것이 사실”이라며 “100을 기준으로 비교하면 내연기관차(독일)와 전기차는 각각 95와 90까지 따라왔지만, 자율주행차(미국)는 82 수준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80 이하는 사실상 경쟁력을 상실한 상태라는 점을 고려하면, 국내 자율주행 기술은 아직 걸음마 단계라는 뜻으로 읽힌다.
특히 내연기관차 시장에서 경쟁력이 없었던 중국이 자율주행차 시장에서 우리나라를 추월하고 있다는 점도 우려스러운 대목이다. 지난 4월 중국에서 열린 상하이모터쇼에선 신생 전기차 업체인 ‘니오’가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된 신차를 발표했다.
또 현지업체인 샤오펑도 상하이모터쇼 당시 자율주행 레벨3 수준을 달성한 전기차 P7을 전시했으며, 두 차종 모두 올해 말에 출시될 것으로 알려졌다. 바이두 역시 아폴로라고 이름 붙인 자율주행 플랫폼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김필수 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는 “현대차그룹은 자율주행차 기술 선점을 위해 2조 4000억원을 들여 앱티브와 합작법인을 설립하는 등 고군분투하고 있지만 현재 기술 수준은 선진국 대비 3~4년 뒤처져 있다”며 “자율주행 기술은 미국이 가장 고도화돼 있고, 중국도 우리보다 1~2년 앞서 있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자율주행차 기술 개발은 협업이 중요한데, 우리나라는 융합 기반의 협업 시스템이 갖춰져 있지 않은 게 가장 큰 문제”라며 “정부는 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해 관련 규제도 네거티브 정책으로 전환해야 하고, 아직까지 핵심부품을 수입해 쓰는 제조사도 국산화 및 생태계 조성에 더욱 힘써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한국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글로벌 자율주행차 시장은 2020년을 기점으로 크게 확대될 전망이다. 운전자 개입이 필요없는 레벨4 수준의 자율주행차는 2025년 60만대, 2035년엔 전체 신차 시장의 절반 수준인 2100만대까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