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이진솔 기자ㅣ인공지능(AI)과 로봇업부자동화(RPA) 기술이 급여대장 문서를 읽고 이체까지 알아서 해주는 서비스가 출시됐습니다. 단순 반복이 대부분이던 해당 업무를 AI 로봇이 대신해주면서 은행 직원들의 업무 부담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됩니다.
LG CNS는 RPA와 AI를 결합해 자동 급여이체 기술을 개발하고 국내 최초로 ‘자동 급여 이체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4일 밝혔습니다. KB국민은행 영업점에서 상용화합니다.
RPA는 사람이 하는 단순업무를 로봇이 대신하는 기술입니다. LG CNS는 여기에 AI를 접목해 자동 급여이체 서비스를 선보였습니다. 회사 측은 “RPA에 AI가 더해지면서 보다 복잡한 업무도 자동화가 가능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서비스에서 AI는 분석을, RPA는 입력을 담당합니다. 기업별 급여대장은 양식과 표현이 제각각인데요. AI는 이중에서 필요한 데이터만 골라냅니다. 숫자가 나열된 데이터를 분석해 계좌번호와 급여액을 구분하고 직원명과 예금주가 다른 경우에도 실제 지급처를 찾는 등의 업무를 수행합니다. AI는 이를 문서 형태로 정리해 RPA에게 보냅니다.
RPA는 문서를 은행의 급여이체시스템에 입력합니다. 이후 은행 담당자가 데이터만 확인하면 급여지급이 이뤄집니다.
LG CNS는 KB국민은행과 협력해 올해 연말까지 전국 영업점으로 서비스 도입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한 번에 늘리지 않고 점진적으로 확대해 특이 사례를 수집하고 서비스를 개선하는 절차를 거칠 예정입니다. 현재는 엑셀 문서 분석만 지원하지만 향후 워드와 한글 문서도 처리할 수 있도록 개발할 방침입니다.
이호군 LG CNS 개발혁신센터 담당은 “이번 KB국민은행 프로젝트처럼 RPA에 AI, 빅데이터, 챗봇 등 다양한 신기술을 결합해 서비스 적용 범위를 넓히겠다”고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