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김현우 기자ㅣ 국내 증시에서 무상증자 이슈가 주목받고 있다. 최근 들어 무증을 실시하는 상장사들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주가 흐름도 일제히 급등세를 연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무증은 통상 유통 물량 확대 요인으로 작용해 호재로 받아들여지곤 하지만, 펀더멘털과 직접적인 관련은 크지 않은 만큼 기업의 실적 추이를 면밀히 따져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이달 들어서만 11곳의 상장사가 무상증자를 결정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3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전달에 비해서도 2배 이상 증가했다.
이들 기업 대부분은 공시 당일 주가가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16일 무증 결정을 발표한 포시에스는 장중 한 때 18% 이상 급등하며 52주 신고가를 갈아치웠다. 하루 앞서 무증을 발표한 에스제이그룹은 종가 기준 12.5% 급등했다.
에스제이그룹과 같은 날 공시한 파멥신을 비롯해 지난 한 주 간 무상증자를 결정했던 제테마, 와이엠티, 힘스, 레고켐바이오, 오스테오닉 등 6곳은 모두 무상증자결정 소식이 전해지고 난 후 상한가를 찍기도 했다.
이같은 주가 흐름은 유통 주식수가 적은 기업들이 무상증자를 통해 시장의 유동성을 흡수하며 거래 활성화에 나서는 행위를 시장에서 호재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주식 수가 늘며 주가가 낮아지면서 가격이 싸졌다는 착시 효과도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일부 기업들이 이를 악용해 일시적인 주가부양이나 대주주 지분확대의 기회로 삼기 위해 무상증자를 실시하는 경우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통상 무상증자는 시장에서 호재로 인식되곤 한다”며 “국내 증시에서 특히 개인투자자들의 돈이 넘치는 요즘, 무상증자는 그들을 유인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엄밀히 말하면 무상증자는 주가와 관련이 없지만 투자자들은 해당 이슈에 반응한다. 이에 일부 기업들은 단기적인 주가 부양과 대주주 지분확대 기회로 삼기 위해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며 “투자자들은 각 기업의 상황과 펀더멘탈 등을 고려한 신중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실제로 국내 증시에 돈이 넘쳐나는 상황에서 무상증자를 실시하는 기업들이 그 덕을 톡톡히 보는 양상이다. 유동성이 크게 증가한 국내 증시는 코로나19 이후 반등장을 거치면서 거래대금도 급증한 상태다. 지난 15일 유가증권시장 거래대금은 18조 2425억원을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여기에 코스닥시장과의 합산 거래대금은 30조원을 넘어선 바 있다.
한편 무상증자는 기업이 자본금(주식)을 늘리면서 새로 발행하는 주식을 주주에게 공짜로 나눠주는 증자 방식이다. 주식수가 늘어난 만큼 권리락을 통해 주가도 하향 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