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Estate 건설/부동산

7월 분양, 올해 최다물량...전국 81곳 5만1263가구 예정

URL복사

Wednesday, July 01, 2020, 10:07:23

수도권 2만6973가구·지방 2만4290가구 예정
전월 대비 전국 138.3%, 수도권 113.3%, 지방 174.2% 각각 상승

 

인더뉴스 이재형 기자ㅣ오는 8월부터 수도권 대부분과 지방광역시 내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이 기존 6개월에서 소유권 이전 등기시까지 강화되면서 규제 시행 전 건설사들의 막바지 물량 공급으로 7월 분양시장의 열기는 매우 뜨거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7월 전국에서는 8만1273가구(임대 포함, 오피스텔 제외)가 공급되며 이 중 5만1,263가구가 일반분양 될 예정입니다. 수도권의 일반분양 물량은 2만6973가구(52.6%)를 차지했고 지방은 2만4290가구(47.4%)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지난 6월 일반분양 실적 대비(6월 30일 기준, 전국 2만1,508가구, 수도권 1만2648가구, 지방 8860가구) 138.3% 상승해 전국적으로 분양물량이 대거 늘어납니다. 앞서 올해 1월에는 4617가구가 분양됐으며 ▲2월 4514가구 ▲3월 7937가구 ▲4월 1만130가구 ▲5월 1만2811가구가 분양됐습니다.

 

이달 전국의 일반분양 물량은 권역별로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물량(1만2648가구→2만6973가구)이 113.3%가 늘어났고, 지방도 지난달(8860가구→2만4290가구) 대비 174.2% 상승했습니다.

 

따라서 7월은 전국적으로 분양 물량이 쏟아져 수요자들의 선택의 폭이 넓어질 전망입니다.

 

 

◇수도권

 

수도권에서는 롯데건설이 서울과 경기에서 각각 분양을 앞두고 있습니다.

 

먼저 서울시 성북구의 길음역세권 재개발을 통해서 ‘길음역 롯데캐슬 트윈골드’를 분양할 예정인데요. 단지는 지하 5층~지상 35층 2개동, 전용면적 59, 84㎡ 총 395가구 규모로 조성됩니다.

 

길음역 롯데케슬은 전 가구가 수요자들의 선호도가 높은 전용면적 84㎡ 이하의 중소형으로 구성되고 이 중 약 55%에 해당하는 218가구를 일반에 분양합니다. 4호선 길음역이 단지와 연결되는 초 역세권 단지로 높은 호응이 예상됩니다.

 

두번째로 서울시 노원구 상계동 95-3번지 일원에 짓는 ‘노원 롯데캐슬 시그니처’를 분양 예정입니다. 지하 3층~지상 29층, 10개 동, 전용면적 21~97㎡, 총 1,163가구 중 721가구가 일반에 분양됩니다.

 

노원 롯데캐슬은 도보권 내 초ㆍ중ㆍ고교가 위치해 있고, 유명 학원들이 밀집된 중계동 학원가도 가깝습니다. 또 롯데마트, 롯데백화점, 상계백병원, 노원구청 등 대형 마트와 병원, 관공서 등 생활 인프라도 인근에 들어서 있어 편의성이 좋습니다.

 

교통은 지하철 4호선 상계역과 당고개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는 도보역세권 단지이며, 7호선 환승역인 노원역도 단지와 가깝습니다.

 

세번째로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토당동 251-12번지 일대에 ‘대곡역 롯데캐슬 엘클라씨’를 분양할 예정입니다. 지하 2층~지상 29층, 12개 동, 전용면적 59~84㎡, 총 834가구 중 254가구가 일반 분양됩니다.

 

단지는 지하철 3호선·경의중앙선 환승역인 대곡역과 경의중앙선 능곡역이 인근에 위치해 있고, GTX-A(2023년말 개통)와 서해선(2021년 개통)도 예정돼 있어 향후 쿼드러플(4개) 노선이 구축될 계획입니다.

 

특히 서해선(대곡~소사)이 개통될 경우 5·9호선·공항철도 환승역인 김포공항까지 한 정거장이면 닿을 수 있어 마포, 공덕, 여의도, 강남 등에 30분대 이동이 가능합니다.

 

SK건설은 인천에 ‘운서 2차 SK VIEW Skycity’를 공급할 예정입니다. 인천시 중구 운남동 1598-1번지 일원으로 지하 1층~지상 20층, 12개 동, 전용면적 70~84㎡, 총 909가구로 조성됩니다.

 

단지는 인근에 롯데마트, 메가박스를 비롯해 근린공원, 해안테마공원 씨사이드파크, 백운산 등이 있습니다. 주변 인프라로는 영종고와 인천하늘고, 인천과학고, 인천국제고 등이 인접해 있고, 공항철도 운서역을 통해 서울 마포권역까지 40분대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지방

 

동원개발은 대구시 동구 효목동 637-1번지 일원에서 ‘동대구2차 비스타동원’을 분양할 예정입니다. 단지는 지하 3층~지상 15층, 12개 동, 전용면적 50~84㎡, 총 627가구 중 405가구가 일반에 분양됩니다.

 

동대구2차 비스타동원은 단지 바로 옆에 효목초가 위치해 있어 어린 자녀들이 안심하고 통학을 할 수 있고, 중학교의 경우 수성구와 더블학군을 갖춰 교육환경이 우수합니다.

 

인근에는 동촌유원지, 망우공원 등이 있어 쾌적한 주거환경과 취미, 여가활동을 누릴 수 있고 주변으로는 이마트, 동구시장, 신세계백화점이 있습니다. 또 공연 및 전시, 문화센터 등 레저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아양아트센터가 위치해 있습니다.

 

삼성물산과 대림산업∙HDC현대산업개발은 부산시 연제구 거제2동 791-10번지 일원에 ‘레이카운티’를 분양할 예정입니다. 지하 3층~지상 35층, 34개동, 전용 39~114㎡, 총 4470가구 중 2,759가구가 일반분양 됩니다.

 

주변 생활 인프라로는 부산지하철 3호선 종합운동장역이 인접해 있고, 종합운동장역에서 1∙2호선 환승역인 서면역과 2∙3호선 환승역인 수영역까지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홈플러스(아시아드점), 부산의료원, CGV, 아시아드 주경기장, 사직종합운동장이 단지 인근에 있고, 거제초, 창신초, 거제여중, 거성중이 인접해 있습니다.

 

대림산업은 경상남도 밀양시 내이동 133번지 일원에 짓는 ‘e편한세상 밀양 나노밸리’를 분양할 예정입니다. 지하 1층~지상 29층, 4개 동, 총 560가구 규모로 공급됩니다. 단지 인근에 밀양시청, 한국농어촌공사 밀양지사, 창원지방법원 밀양지원, 창원지방검찰청 밀양지청 등 관공서가 밀집돼 있습니다. 인근의 밀양IC를 통해 대구, 부산으로의 이동도 자유롭습니다.

 

호반건설은 충청남도 당진시 수청동 수청2지구 RH-1블록에 ‘호반써밋 시그니처’를 분양할 예정입니다. 단지는 지하 2층~지상 최고 29층, 12개 동, 총 1,084가구이며 전용 84㎡ 단일면적으로만 구성됐습니다.

 

호반써밋 시그니처는 당진시청이 바로 맞은편에 위치하고, 당진교육지원청, 대전지방법원당진등기소 등의 공공기관과 롯데마트, 당진국민체육센터, 당진시립중앙도서관 등의 쇼핑, 문화, 교육 시설을 가깝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인근에는 현대제철, 석문국가산업단지, 송산일반산업단지, 아산국가산업단지, 서산오토밸리, 서산테크노밸리, 서산인더스밸리 등도 위치해 출퇴근 여건이 우수합니다.

 

롯데건설은 강원도 속초시 동명동 436-1번지 일원에 짓는 ‘속초 롯데캐슬 인더스카이’를 분양할 예정입니다. 지하 2층~지상 29층, 8개 동, 전용면적 59~128㎡, 총 568가구 규모로 공급됩니다.

 

전 세대는 동해 바다, 청초호, 영랑호, 설악산 조망을 누릴 수 있고 바다 조망을 만끽하며 운동하는 부대시설 등도 적용될 계획입니다. 중앙초교와 해랑중이 도보권에 있고 속초중앙시장(속초관광수산시장)과 설악로데오거리, 하나로마트, 속초시청, 춘천지방검찰청 속초지청, 속초문화회관 등도 가깝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이재형 기자 silentrock@inthenews.co.kr

배너

신한금융 ESG 가치 5.5조 창출…진옥동 회장 “지속가능 사회 만들기 진력”

신한금융 ESG 가치 5.5조 창출…진옥동 회장 “지속가능 사회 만들기 진력”

2025.07.01 16:30:26

인더뉴스 문승현 기자ㅣ신한금융그룹(회장 진옥동)이 2024년 한해 창출한 ESG 가치(ESG Value Created)가 5조4545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1일 신한금융이 발간한 '2024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436개 ESG 프로그램을 통해 창출된 순수 사회적 가치는 2조9590억원입니다. 여기서 환경적비용(91억원)과 사회적비용(542억원)을 차감한 뒤 배당·납세 등 주요 이해관계자 대상의 환원성과(2조5589억원)을 더한 수치입니다. 신한금융은 ESG 활동성과 정량화와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연세대 ESG·기업윤리센터와 협력해 글로벌 금융회사 최초로 ESG 활동성과 측정모델 즉 '신한 ESG 가치 인덱스(Value Index)'를 개발했습니다. ESG 활동 효과를 '화폐가치'로 측정하는 것으로 2019년부터 그 결과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ESG 가치를 처음 측정한 2019년과 비교하면 측정 대상 ESG 활동은 93개에서 436개로, 순수 사회적 가치는 7907억원에서 2조9590억원으로 279% 큰폭 증가했습니다. 신한금융의 주요 ESG 활동 중에서도 눈에 띄는 건 '브링업(Bring-Up) & 밸류업(Value-Up) 프로젝트' 입니다. 신한저축은행 중신용 고객이 낮은 금리의 신한은행 '신한상생 대환대출'로 갈아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게 핵심입니다. 저축은행 우량고객이 이탈한다고 볼 수 있지만 은행 거래 유입을 통해 신용등급 상향이나 금융비용 감면까지 지원해 그룹 전체 우량고객을 늘리고(Bring-Up), 고객이 스스로 가치를 높이는(Value-Up) '고객상생'의 선순환 구조를 실현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금융위원회가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한 것도 취약계층에 대한 신용개선과 금융비용 절감, 나아가 가계부채 부담완화에 기여하고 있다는 점을 인정한 결과로 여겨집니다. 신한금융은 지난 6월 기준 신한상생 대환대출을 통해 574명의 고객에 102억원의 대환대출을 실행했고 이들 고객은 평균 4.8%p 이자절감(누적 이자경감액 9억8000만원) 효과를 누렸습니다.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은 브링업&밸류업 프로젝트 100억원 돌파에 대해 "신한이 고객 이자감면에 따른 이익축소에도 중·저신용 고객의 신용 상향지원을 통해 상생을 실현한 의미있는 결과"라며 "그룹 미션인 '따뜻한 금융' 실천의지를 담아 고객과 상생을 위한 금융사다리 역할을 더 적극적으로 수행하겠다"고 의지를 밝혔습니다. 이번 보고서에는 TCFD(기후), TNFD(생물다양성) 등 글로벌 주요이슈와 관련해 그룹 차원의 대응현황을 심층적으로 다룬 '스페셜 리포트'도 담겼습니다. 신한금융은 글로벌 공동의 목표 '2050 넷제로(Net Zero)' 달성을 위해 2020년 동아시아 금융그룹 최초로 탄소중립전략인 '제로 카본 드라이브(Zero Carbon Drive)'를 선언하며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녹색금융과 전환금융을 중심으로 한 '친환경 금융' 누적 실적은 2024년말 기준 총 18조7000억원에 달합니다. 2030년 30조원 달성목표의 62.3%에 해당하는 진도율입니다. 탄소배출 많은 산업의 친환경 전환을 위한 자금을 제공해 지속가능한 경제로 점진적 탈탄소화를 지원하는 전환금융 실적은 9605억원 규모로 집계됩니다. 이와 함께 TNFD 보고서에서는 그룹의 금융자산뿐 아니라 유형자산까지 포함해 '자연자본' 의존도와 영향 분석을 고도화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자연자본은 토양, 공기, 물, 광물 등 자연이 인류에 혜택을 제공하는 모든 자원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신한금융은 보고서에서 "금융업 특성상 직접적으로 자연자본과 관련된 의존도와 영향, 리스크 및 기회는 상대적으로 미미한 수준"이라며 "대부분의 자연자본 이슈는 투자 포트폴리오 즉 다운스트림 가치사슬(downstream value chain)을 통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신한금융은 이러한 구조를 반영해 그룹 운영은 물론 투자 포트폴리오에 대해서도 자연자본 이슈가 투자기업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신한금융은 특히 올해로 20번째 발간된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서 글로벌 지속가능개발목표(SDGs)에 기반해 신한금융만의 독자적인 SDGs 전략 프레임워크를 수록하고 목표달성을 위한 지표·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하는 등 ESG 실행력을 강조했습니다. 진옥동 신한금융 회장은 "신한금융그룹은 '멋진 세상을 향한 올바른 실천' 이라는 슬로건 아래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금융이 할 수 있는 역할에 더욱 힘써서 탄소중립, 포용, 협력이라는 3대 전략방향에 따라 지속가능경영을 보다 체계적으로 펼쳐가겠다"고 말했습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