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ar 자동차

‘시동꺼짐’ 르노삼성 XM3, 결국 리콜...캡처 포함 2만여대

URL복사

Friday, July 17, 2020, 09:07:43

1.3ℓ 가솔린 터보모델 연료펌프 결함..상용차 마스터도 ‘시동꺼짐’
국토부, 카니발·아반떼·프리우스 등 총 3만 4000여 대 리콜 결정

 

인더뉴스 박경보 기자ㅣ‘시동꺼짐’ 결함으로 논란을 빚었던 르노삼성 XM3와 캡처가 결국 리콜(시정조치)됩니다. 리콜 대상 차량은 모두 2만여 대에 달하는데요. 이 밖에 구형 카니발·아반떼·쏘울EV·프리우스 등도 리콜 목록에 올랐습니다.

 

1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번에 리콜이 결정된 차량은 총 3만 4268대입니다. 르노삼성, 현대·기아차, 토요타, 메르세데스-벤츠, 푸조, BMW 등이 판매한 23개 차종인데요. 이 가운데 1만 9993대는 르노의 차세대 가솔린 터보엔진(TCe260)을 탑재한 XM3와 캡처입니다.

 

신차인 XM3와 캡처는 1.3ℓ 가솔린 터보 모델에서 시동이 꺼질 가능성이 확인됐는데요. 연료펌프 내 임펠러 손상으로 연료 공급이 중단되는 결함이 확인돼 리콜이 결정됐습니다. 르노삼성이 수입 판매하는 상용차 마스터도 연료 누유로 시동이 꺼질 수 있어 리콜을 받게 됐습니다.

 

 

기아차의 카니발(YP) 4230대는 발전기의 B+단자 너트가 제대로 체결되지 않아 접촉부 과열로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쏘울 EV(PS EV) 2078대는 차량이 완전히 정지되지 않은 상태에서 변속레버를 P단으로 변경할 경우 감속기 내부 부품이 마모되어 주차 시 차량이 밀릴 가능성이 확인됐습니다.

 

현대차의 아반떼(HD) 2730대는 충돌 사고로 인한 운전석 에어백 전개 시 인플레이터 내부 가스가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않아 운전자가 상해를 입을 가능성이 확인됐습니다. 또 유니버스(PY) 47대는 클러치부스터의 고정볼트 조립 불량으로 부품 파손 및 파편 이탈 가능성이 있어 리콜에 들어갑니다.

 

토요타코리아의 프리우스 등 2개 차종 3689대는 하이브리드 시스템 제어프로그램 오류로 주행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확인됐습니다. 메르세데스-벤츠코리아의 AMG G 63 등 3개 차종 383대는 차동기어 잠금장치 결함으로 ABS가 작동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 AMG GLC 43 4MATIC 등 3개 차종 15대는 뒤쪽 좌측 좌석 등받이 잠금장치의 강도 부족으로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힐 가능성이 확인됐습니다.

 

한불모터스가 판매한 푸조 508 2.0 BlueHDi 등 4개 차종 331대는 자기진단 커넥터와 전자제어장치(ECU)를 연결하는 배선이 짧게 제작돼 합선 및 시동이 꺼지는 결함이 있습니다. 끝으로 BMW 330i xDrive 등 4개 차종 239대는 거친 노면을 주행하거나 배기가스의 높은 온도가 가해질 경우 타이로드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편, 이번 리콜과 관련해 해당 제작사에서는 자동차 소유자에게 우편 및 휴대전화 문자로 시정방법 등을 알리게 됩니다. 결함시정 전에 자동차 소유자가 결함내용을 자비로 수리한 경우에는 제작사에 수리한 비용에 대한 보상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박경보 기자 kyung2332@inthenews.co.kr

배너

GC 자회사 메이드 사이언티픽, 美 프린스턴에 세포치료제 생산 거점 짓는다

GC 자회사 메이드 사이언티픽, 美 프린스턴에 세포치료제 생산 거점 짓는다

2025.08.20 15:52:00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GC(녹십자홀딩스)의 미국 자회사 메이드 사이언티픽은 지난 13일(현지시간)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에서 신규 GMP 제조시설과 미국 본사 개소 기념식을 열었다고 20일 밝혔습니다. 이번 시설은 연면적 6만 제곱피트(약 5570㎡) 규모로 조성됐습니다. 이번 행사에는 뉴저지주 노동청장, 주 하원의원, 지방 정부 인사 등 미국 연방·주·지방 정부 관계자와 허일섭 GC 회장, 허용준 GC 대표 등 GC 경영진이 참석했습니다. 미 연방 의원단은 기념 선언문을 전달하며 개소를 축하했습니다. 메이드 사이언티픽은 2022년 GC와 GC셀이 공동 인수한 세포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으로, 글로벌 상업화 지원 역량 강화를 목표로 지속적인 투자를 이어가고 있는 회사인데요. 이 회사는 1200만 달러 규모 1단계 투자를 통해 시설 업그레이드, 첨단 장비 도입, 업무 시스템 디지털화를 진행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임상부터 상업화까지 전 주기 세포치료제 생산 역량을 갖췄으며, 2단계 확장 시 연간 최대 2000배치를 추가로 생산할 수 있습니다. 프린스턴 시설에는 ISO 7 등급 클린룸 5개, 품질관리 실험실, 공정·분석 개발 기능이 포함됐습니다. ERP, QMS, MES, LIMS 등 글로벌 디지털 관리 시스템을 도입해 개발부터 제조, 품질관리까지 전 과정을 실시간 통합 관리합니다. 이날 행사에서는 FDA 및 유럽 기준을 충족하는 추가 GMP 클린룸 확장 계획도 발표됐습니다. 고속 자동화 기술이 적용된 확장 시설이 완공되면 프린스턴 본사는 세포치료제 임상·상업 생산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잡게 됩니다. 필 머피 뉴저지 주지사는 “이번 시설은 지역 일자리를 창출하고 차세대 세포치료제를 공급하는 동시에 뉴저지 혁신경제 성장을 가속화할 것”이라며 적극 지원 의지를 피력했습니다.. 사이드 T. 후세인 메이드 사이언티픽 대표는 “이 시설은 임상부터 상업화까지 한곳에서 지원할 수 있는 인프라와 세계적 생산 역량을 제공한다”며 “파트너들의 혁신 치료제 상업화를 뒷받침하겠다”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