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안정호 기자ㅣ미국 국제무역미원회(ITC)의 배터리 영업비밀 침해 최종 판결 이후 SK이노베이션과 LG에너지솔루션의 갈등은 더욱 고조되고 있습니다.
SK-LG 양사는 미 ITC 판결에 대한 바이든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 여부에 따라 최종 승자가 가려질 것으로 예상되나 내달 최종 결정이 나올 때까지 설전이 오가고 있는 모양새입니다.
먼저 SK이노베이션(대표 김준)은 16일 입장문을 통해 ITC의 최종 결정 후 LG에너지솔루션이 미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를 저지하고 있다며 미국 사회의 거부감만 불러일으킬 것이라고 꼬집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은 최근 LG에너지솔루션이 투자 결정 공시도 없이 5조원 규모를 신규 투자한다는 발표와 조지아주 출신의 상원의원에게 서한으로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공장 인수 가능성을 내비쳤다는 보도에 대해 “이는 언론 분석과 같이 ‘미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에 영향을 주기 위해 만들어진 것’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SK이노베이션은 “LG가 미국이든 어디든 더 많은 투자를 하려고 하는 것은 그 회사의 결정인 바, SK가 관여할 바가 아니다”며 “실체도 제시하지 못한 투자를 발표하는 실제 목적이 경쟁 기업의 사업을 방해하기 위해 미국 정부의 거부권 행사를 저지하는데 있다는 것은 미국 사회도 이미 잘 알고 있으므로 이는 오히려 미국 사회의 거부감만 증폭시킬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은 특히, LG에너지솔루션이 이런 식의 투자를 발표하면서까지 대통령 거부권 행사를 저지하려고 하는 것에 대해 “겉으로는 대통령 거부권 행사가 없을 것이라고 주장하면서도 속으로는 거부권 행사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우려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이날 LG에너지솔루션(대표 김종현)은 SK이노베이션 이사회가 배터리 영업비밀 침해 소송 관련한 LG측의 요구 수용이 어렵다는 입장에 대해 “문제해결에 대한 진정성이 결여되어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LG측은 입장문을 통해 “공신력 있는 미국 국제무역위원회에서 배터리 전 영역에 걸쳐 영업비밀을 통째로 훔쳐간 것이 확실하다고 최종결정이 났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인정하지 못하는 인식의 차이가 아쉽다”며 “증거를 인멸하고 삭제하고 은폐한 측에서 이러한 결정을 인정하는 것이 합의의 시작일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아울러 “글로벌스탠다드라고 할 수 있는 미국 연방영업비밀보호법에 근거한 당사의 제안을 가해자 입장에서 무리한 요구라 수용불가라고 언급하는 것도 어불성설”이라고 꼬집었습니다.
LG측은 “당사는 해당 기준에 따라 경쟁사와 협상을 진행해 왔으며 그런 기준이 향후에도 일관되게 유지될 것”이라며 “경쟁사가 진정성 있게 협상 테이블에 와서 논의할 만한 제안을 하고 협의를 한다면 최근 보톡스 합의사례와 같이 현금, 로열티, 지분 등 주주와 투자자들이 충분히 수긍할 수 있는 다양한 보상방법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