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이진성 기자ㅣ한미약품그룹(회장 송영숙)은 창업주 고(故) 임성기 회장의 유지를 받들기 위해 설립된 임성기재단이 공식 출범한다고 30일 밝혔습니다.
임성기재단은 임성기 회장의 경영철학을 후대에 계승해 의약학·생명공학 분야 발전에 기여하고 인류 건강에 공헌하는 것을 목표로 설립된 공익법인입니다.
임성기재단은 임 회장 생전부터 준비돼 온 재단법인인데요. 지난해 8월 임 회장 타계 후 유지를 받들어 유족들이 최우선 순위로 설립을 진행했습니다.
재단의 초대 이사장은 임 회장과 40년 가까이 연구개발(R&D)에 매진한 이관순 한미약품 부회장이 맡았으며 이사회는 ▲이희성 이사(전 식약청장) ▲방영주 이사(전 서울대 의대 교수) ▲김창수 이사(전 중앙대학교 총장) ▲천성관 이사(전 서울중앙지검장) 등으로 꾸려졌습니다.
임 회장 뜻에 따라 임성기재단은 생명공학과 의약학 분야 원천 기술 연구를 지원하고, 전문적이고 유능한 인재를 양성하는 사업을 추진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와 관련해 재단은 생명공학, 의약학 등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 결과를 낸 연구자를 대상으로 매년 ‘임성기연구자상’ 시상을 진행합니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연구 결과로 신약개발에 기여한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임성기 연구대상’과, 만 45세 미만 젊은 연구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성기 젊은연구자상’ 2개 부문 상을 제정했는데요. ‘임성기 연구대상’ 수상자에게는 상금 3억원, ‘임성기 젊은연구자상’ 수상자 2인에게는 각각 상금 5000만원을 수여합니다.
아울러 재단은 생명공학과 의약학 분야의 다양한 학술대회를 지원합니다. 각종 포럼과 세미나, 심포지엄에 비용을 지원해 관련 분야에 대한 학문적 성취를 이루도록 돕고, 학교과 병원, 기관 등과 산·학·연 클러스터 및 네트워킹을 구축해 공동연구 및 사업 연계 등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재단은 치료제가 없는 희귀 질환 분야의 신약개발을 위한 연구비 지원에도 힘쓰기로 했습니다.
이관순 초대 이사장은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에 R&D와 글로벌 신약개발, 제약강국이란 비전을 제시한 임성기 회장의 철학과 유지를 흔들림없이 이어나가겠다”며 “고인께서 떠나시며 우리에게 남겨주신 과제를 한 마음으로 이뤄나갈 수 있도록 중심을 잡고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임성기재단은 공식 출범과 함께 제1회 임성기연구자상 수상 후보자 공모를 시작합니다. 수상 후보자는 ▲추천 마감일 기준 생존해 있는 한국인 및 한국계 인사 ▲생명공학·의약학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신약개발의 유익한 응용이 가능한 업적을 남긴 자 ▲관련 논문 5편 이하를 갖춘 자 등을 대상으로 합니다.
재단은 다음달 1일부터 8월31일까지 임성기 연구대상(1명), 임성기 젊은연구자상(2명) 후보자 추천서를 접수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