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안정호 기자ㅣ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명예회장이 세계 자동차산업 최고 권위의 ‘자동차 명예의 전당’에 한국인 최초로 헌액됐습니다.
‘자동차 명예의 전당’은 22일(현지시간) 미국 디트로이트에서 ‘2020·2021 자동차 명예의 전당 헌액식’을 열고 정몽구 명예회장을 자동차 명예의 전당에 헌액했다고 23일 밝혔습니다.
1939년 설립된 미국 ‘자동차 명예의 전당’은 세계 자동차 역사에 길이 남을 뛰어난 성과와 업적을 토대로 자동차산업과 모빌리티 발전에 중대한 역할과 기여를 한 인물을 엄선해 ‘명예의 전당’에 헌액합니다.
자동차 명예의 전당 측은 지난해 2월 정몽구 명예회장을 ‘2020년 명예의 전당 헌액자’로 선정하며 “현대자동차그룹을 성공의 반열에 올린 글로벌 업계의 리더”라면서 “기아차의 성공적 회생, 글로벌 생산기지 확대, 고효율 사업구조 구축 등 정몽구 명예회장의 수많은 성과는 자동차산업의 전설적 인물들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고 말했습니다.
정몽구 명예회장은 2001년 ‘자동차 명예의 전당’으로부터 ‘자동차산업 공헌상’을 수상했으며 2020년 ‘자동차 명예의 전당’ 헌액으로 또 세계 자동차산업에서의 공로를 인정받게 됐습니다.
◆ 정의선 회장, 정 명예회장의 헌액 소감·업적·철학 소개해
정의선 회장은 시상을 맡은 K.C.크래인 오토모티브 뉴스 발행인으로부터 정몽구 명예회장의 ‘명예의 전당 헌액’ 기념패를 받았습니다. 정의선 회장은 대리 헌액 연설을 통해 정 명예회장의 소감과 함께 정 명예회장의 업적과 철학, 인간적 면모에 대해 말했습니다.
정의선 회장은 “정몽구 명예회장은 세계 자동차 산업에서 최고 권위를 가지는 ‘자동차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것을 영광스러워하셨다”면서 “헌액은 현대차그룹의 성장과 함께 한 전세계 직원, 딜러뿐 아니라 현대차, 기아를 신뢰해 준 고객들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말씀하셨다”고 정 명예회장의 소감을 전했습니다.
아울러 정 회장은 “현대차그룹은 새로운 도전과 기회에 직면해 있다. 하지만 우리는 최고의 모빌리티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멈추지 않겠다”며 “기존의 틀을 과감히 탈피하고 ‘인류를 위한 진보’라는 사명을 실현시켜 나가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자동차 명예의 전당’은 헌정 영상에서 존 크래프칙 전 현대차 미국판매법인 CEO가 “정 명예회장은 모든 직원들이 최고 품질의 자동차 기업이라는 목표를 향해 자신감을 갖고 업무를 추진하도록 만들었다”며 “정 명예회장은 제품에 집중했고 모든 차량이 뛰어난 품질과 안전성을 갖추도록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고 회고했습니다.

◆ 도전과 품질에 대한 열정으로 글로벌 자동차 산업 족적
현대차그룹을 세계 자동차 역사상 유례없는 짧은 기간에 글로벌 톱 5로 올려놓은 정몽구 명예회장은 대한민국 재계를 대표하는 경영인으로서, 대한민국 경제와 자동차 산업의 발전을 이끌어 왔습니다.
기아 인수를 주도해 인수 첫 해만에 흑자로 전환시켰으며 품질과 기술 자립에 대한 열정으로 국내 최초이자 유일한 자동차 전문그룹을 출범시키고 자동차를 중심으로 자동차 부품산업과 소재산업을 성장시켰습니다.
‘품질경영’으로 대표되는 경영철학이 대변하듯 정몽구 명예회장은 최고의 품질을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최선의 가치라고 강조해 왔습니다. 그 결과 현대차와 기아는 글로벌 품질평가 기관으로부터 호평을 받으며 품질과 신뢰성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규모의 연구개발센터도 조성해 기업 본연의 경쟁력을 확충했는데요. 특히 높은 품질을 바탕으로 미국시장에서 실시한 ‘10년 10만 마일’ 보증 카드는 현대차·기아가 글로벌 강자로 성장하는 토대가 됐습니다.
또한 서플라이 체인 혁신을 매개로 협력업체의 글로벌 성장도 촉진했습니다. 현대차와 기아의 협력업체 해외 동반진출은 정몽구 명예회장의 동반성장 의지의 결과물이었습니다. 부품업체들의 경쟁력 확대는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의 선순환형 생태계로 이어졌습니다.
‘산업의 쌀’로 불리는 철강을 생산하는 일관제철소를 건설, 국내 소재산업 도약도 이끌었습니다. 일관제철소는 현대차그룹 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는 동시에 세계 최초로 자원순환형 사업구조를 갖춰 기업의 환경에 대한 책임과 지속가능 경영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는 평가입니다.
무엇보다 정몽구 명예회장은 미래를 향해 끊임없이 도전하며 남들과 다른 시각으로 기회를 포착, 묵직하게 돌파하는 도전가로 평가됩니다.
현재 현대차가 두각을 나타내는 수소 사업도 본질을 꿰뚫어 보는 정몽구 명예회장의 혜안이 돋보이는 결정입니다. 수소 에너지의 가능성을 중요하게 인식한 정몽구 명예회장은 다른 업체들이 포기하는 순간에도 수소전기차 개발을 독려해 세계 최초로 수소전기차 양산을 성공시켰습니다.
정몽구 명예회장은 이와 같은 혁신 리더십과 경영철학을 인정받아 ▲2004년 ‘비즈니스 위크(Business Week)’ 최고 경영자상 ▲2005년 ‘오토모티브뉴스(Automotive News)’ 자동차 부문 아시아 최고 CEO ▲2009년 미국 ‘코리아 소사이어티(Korea Society)’ 밴 플리트상 ▲2012년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avard Business Review)’ 세계 100대 최고 경영자상 등을 수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