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SK텔레콤(대표 박정호)과 카카오(대표 여민수·조수용)가 ICT 업계 최초로 ‘ESG(환경·사회적 책임·지배구조) 펀드’를 공동 조성합니다.
12일 SK텔레콤과 카카오는 ESG 펀드 조성 계획을 밝혔습니다. 각각 100억원씩 출자해 총 200억원의 ESG 펀드를 출범하고, 추가로 재무적투자자를 유치해 펀드 규모를 250억원 이상으로 확대할 방침입니다.
국내 빅테크 기업이 함께 ESG 펀드를 조성하는 사례는 이번이 처음인데요. SK텔레콤과 카카오는 지난 3월 ESG∙AI∙지식재산권 분야에서 상호 협력하고 해당 분야 기술 등 주요 자산을 사회와 나누는 업무협약(MOU)를 체결한 바 있습니다.
양사는 ESG 혁신기업들을 육성하는 마중물로 ESG 펀드를 적극 활용할 예정입니다. ESG 펀드의 투자 대상은 ICT, 융복합 산업 분야의 혁신 기술을 보유하면서도 우수한 ESG 경영환경을 갖춘 기업들이 될 전망입니다. 펀드 운용은 ESG 분야 전문투자 경험을 가진 유티씨인베스트먼트가 맡습니다.
두 기업은 양사 네트워크를 활용해 우수한 기업을 추천하고, 투자받은 기업에게 사업협력 기회를 제공하는 등 ESG 혁신기업 육성 전반에 적극 참여할 계획입니다. 각사가 운영하는 중소·벤처기업 육성 프로그램과 투자 활동도 ESG 펀드 운용과 큰 시너지를 낼 것으로 양측은 기대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MOU를 기반으로 AI 초협력에 속도를 냅니다. SK텔레콤과 카카오는 ‘코로나19 안전지수’를 알려주는 AI 솔루션 ‘세이프캐스터 API’를 공동 개발해 SK Open API 포털을 거쳐 외부에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정부기관과 민간기업들이 API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출시하도록 돕는 등 적용범위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SK텔레콤과 카카오 및 카카오의 자회사인 카카오엔터프라이즈는 ‘GLM(범용언어모델)’ 공동 개발을 추진하는 등 AI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유영상 SK텔레콤 MNO사업대표는 “ICT 생태계 발전을 위해 ESG 경영을 실천하는 기업을 적극 지원하고 함께 성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는 “카카오는 ‘약속’과 ‘책임’을 바탕으로 본질적인 ESG 경영을 실천해 나갈 예정”이라며 “이번 ESG 펀드가 ESG 혁신기업들을 발굴하고 성장시켜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