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지영 기자ㅣ모바일 금융 플랫폼 토스는 자사의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의 ‘ICT규제샌드박스’ 사업에 선정됐다고 9일 밝혔습니다.
이번 선정으로 토스는 다양한 공공 민간 부문의 전자문서를 토스의 ‘내문서함’ 서비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게 됩니다. 특히 ‘내 문서함’은 공공기관, 금융회사, 병원 등 다양한 제휴기관이 종이 우편으로 발송하던 문서를 토스앱을 통해 고지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현재 국세청, 여성가족부 등 정부부처와, 국민연금공단, 대한산업보건협회 등 정부부처와 공공기관 37곳, 지자체 및 민간 금융 기관 395곳 등 총 430여개 기관이 전자문서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토스는 전자문서 사용 기관과 제휴확대를 통해 세금납부 고지서 등 주요 생활 고지서와 금융 기관의 대출만기 안내문 등 다양한 전자문서를 토스 고객 대상으로 제공하고, 전자고지 활성화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올해 3월 ‘내문서함’ 서비스를 처음 선보인 토스는 그 동안 행안부 질병청 등 행정기관과의 제휴를 통해 ▲대국민 안내인 백신 예약 안내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알림 서비스 ▲코로나 예방접종증명서 발급 ▲주민등록표 등본 발급 및 제출 등 서비스 제공 영역을 확장해왔습니다.
‘내문서함’ 서비스를 총괄하고 있는 토스의 박홍비 PO(프로덕트오너)는 “이번 ‘ICT샌드박스 선정’은 일시에 수백개 기관의 전자문서를 토스로 확인할 수 있는 법리적 근거를 마련한 것으로 2000만 토스 유저에게 ‘서류 업 없는 일상 속 혁신을 통해 금융부터 생활 영역까지의 불편함 없는 생활을 선사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토스는 이번 선정을 위해 지난 6월 과기부로부터 ‘공인전자문서중계자’ 인증을 받았습니다. ‘공인전자문서중계자’는 기술 및 설비의 엄격한 심사를 거쳐 선정되며, 토스, 네이버, 카카오페이, KT 등 9개 기관이 인증을 받았습니다.
공인전자문서중계자를 통한 전자문서 고지 발송건은 매년 급증하는 추세입니다. 2020년 전자문서 발송 건은 약 4300만 건으로, 2019년 1380만건 대비 2배 이상 증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