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네이버와 KT지니뮤직이 최근 웹소설 사이트인 문피아와 오디오북 플랫폼인 밀리의 서재를 각각 지분 인수하면서 콘텐츠업계에 어떤 시너지 효과가 나타날지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이달 10일 공시를 통해 자회사인 네이버웹툰이 웹소설 업체 문피아의 지분 36.08%를 1082억 원에 인수했다고 밝혔습니다. 네이버의 문피아 지분 인수는 갑자기 공개된 깜작 뉴스는 아닙니다. 네이버웹툰이 지난 8월 개최한 온라인 간담회 당시 문피아 지분 인수 사실을 어느 정도 인정했기 때문입니다.
무협으로 시작했던 문피아, 네이버 ‘글로벌 콘텐츠’ 첨병 되나
문피아의 초창기 모습을 기억하는 웹소설 팬들에게 네이버웹툰의 문피아 부분 인수 소식은 남다른 감회를 안겨줄 수 있는 뉴스이기도 합니다. 문피아는 스마트폰이 등장하기 전인 2002년 무협전문 사이트 ‘고무림’으로 처음 세상에 나왔습니다. 이후 무협과 판타지 소설을 전문으로 하다 2006년 모든 장르의 웹소설을 다루자는 의미에서 ‘문피아’로 이름을 바꿉니다.
‘고무림’에서 알 수 있듯이 문피아는 만화가게와 도서대여점을 중심으로 넓은 독자층을 가졌던 무협지 콘텐츠를 중심으로 했던 곳입니다. 실제로 문피아의 창업자인 김환철 대표는 ‘금강’이라는 필명으로 ‘금검경혼’과 ‘발해의 혼’등의 무협소설을 쓴 작가 출신입니다.
문피아는 국내에 콘텐츠 유료결제 의식이 높지 않던 2013년 8월부터 본격적인 유료화를 시도해 2015년 연매출 100억 원을 넘어서며 본격적인 성장가도를 달리기 시작합니다. 1억 뷰를 넘으며 국내 웹소설 업계 최대 히트작으로 꼽히는 ‘전지적 독자 시점’이 바로 문피아에서 연재됐던 작품입니다.
‘전독시’라고 불린 ‘전지적 독자 시점’은 네이버웹툰에서 웹툰으로 연재되기도 했습니다. 카카오와 네이버가 웹소설에 진출하는 과정에서 문피아는 비록 규모 측면에서 밀리긴 했지만 여전히 강력한 지식재산권(IP)를 보유한 플랫폼으로 평가받았습니다.

특히 누구나 연재를 시도할 수 있다는 정책 덕에 다른 웹소설 플랫폼보다 신작이 많다는 것이 장점입니다. 덕분에 문피아의 매출은 2020년 417억 원, 영업이익 73억 원을 기록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네이버웹툰은 문피아를 인수하면서 문피아의 장점인 ‘무협’ 콘텐츠를 웹툰이나 다른 콘텐츠로 전환할 가능성이 큽니다. 무협은 콘텐츠의 보편성 측면에서 매력적인 장르입니다. 여기에 영상물이나 게임물로 만들기에도 적합합니다. ‘용비불패’와 ‘열혈강호’ 등 무협을 소재로 한 한국 코믹스 작품이 게임 등으로 진화한 것이 좋은 예입니다.
또한 국내에서 웹소설은 충성독자가 많은 콘텐츠로 꼽힙니다. 지난해 한국콘텐츠진흥원이 발표한 ‘2020 웹소설 이용자 실태조사’에 따르면 웹소설을 한 번이라도 봤다는 응답자 2028명 가운데 평소 가장 많이 이용하는 디지털 콘텐츠(복수응답)는 ‘웹소설’이 73.6%로 1위를 차지했습니다. 다음으로는 ‘만화’ 55.1%, ‘음악’ 53.7%, ‘영화’ 42.8% 등의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웹소설’을 이용한 응답자들의 성별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었지만 연령을 보면 20대가 80.2%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54.7%로 가장 적게 나타났습니다. 즉 웹소설 독자층은 웹소설 이용에 적극적이며 또 젊은 독자들이 많은 만큼 마케팅 측면에서도 웹소설 플랫폼은 충분히 매력적인 지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네이버웹툰은 문피아의 고유성을 살리되 점차 네이버웹툰과 시너지를 노릴 방안을 찾아 IP사업의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보입니다. 여기에 올해 1월 네이버가 인수한 캐나다의 웹소설 플랫폼 ‘왓패드’와 맞물려 문피아의 웹소설을 번역, 왓패드를 통해 공개할 가능성도 커졌습니다. 왓패드는 북미와 유럽에 9000만 명의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는만큼 문피아의 웹소설들이 글로벌 시장으로 나갈 발판이 마련된 셈입니다.
KT지니뮤직, 밀리의 서재 통해 ‘오디오 콘텐츠’ 미래 노린다
네이버웹툰의 문피아 부분 인수와 함께 KT그룹 내 대표적인 미디어 그룹사인 지니뮤직의 밀리의 서재 부분 인수 역시 콘텐츠 업계에서는 주목하고 있는 인수 합병소식입니다.
지난 10일 지니뮤직은 464억 원을 투자해 밀리의 서재 구주 인수 및 신규 유상증자를 통해 밀리의 서재 지분의 38.6%를 확보했습니다.
밀리의 서재는 전자책 구독서비스 플랫폼입니다. 지난 2017년 10월 국내 최초로 전자책 월정기 구독서비스를 출시했고 이어 오디오북을 비롯해 오리지널 콘텐츠인 ‘밀리 오리지널’ 등을 선보이며 구독경제 서비스 플랫폼으로 주목을 받았습니다.
밀리의 서재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누적 구독자 수 380만 명, 10만 권의 콘텐츠를 보유한 국내 최대 규모의 독서 플랫폼으로 성장했습니다. 밀리의 서재는 특히 서비스 초반 ‘빅모델’ 효과를 본 업체로도 유명합니다. 2018년 초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에 출연했던 이병헌과 변효한을 모델로 기용해 인지도를 단번에 끌어올렸습니다.
지니뮤직이 밀리의 서재를 인수한 이유는 밀리의 서재가 보유한 도서를 바탕으로 한 오디오 콘텐츠의 가능성을 높이 평가해서입니다. 지니뮤직은 음악 스트리밍 시장이 포화상태에 달하면서 사업의 방향성을 ‘국내 최고의 AI 오디오 플랫폼 기업’으로 전환했습니다.
‘AI 오디오 플랫폼’이란 음원 서비스와 오디오북, 오디오 예능 등 오디오 콘텐츠를 AI 기술과 결합한 새로운 서비스입니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지난 2019년 25조 5530억 원이던 음원 제외 오디오 콘텐츠 시장이 오는 2030년에는 87조 4600억 원으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시장조사 업체 그랜드뷰리서치는 글로벌 오디오북 시장의 규모가 2019년 3조 1000억 원이며 오는 2027년까지 연평균 24.4%의 성장을 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밀리의 서재는 현재 3000여 권의 오디오북을 보유하고 있으며 보유한 전자책을 활용해 매월 1000여 권 이상의 오디오북 제작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지난해 매출액 192억 원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75% 증가했습니다.
지니뮤직은 KT의 그룹사인 만큼 KT라는 통신회사와 협업이 수월한 기업입니다. 특히 KT의 인공지능 스피커인 기가지니를 비롯해 갤럭시 워치, 애플 워치, GV80 등 스마트기기와 자동차 등에 커넥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니뮤직은 밀리의 서재가 보유한 오디오북 콘텐츠를 활용해 여러 부가 서비스를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서영택 밀리의 서재 대표가 인수 공시 이후 “밀리의 서재와 KT는 올해 초부터 8개월 가까이 서로의 잠재적인 성장 동력을 극대화하고 콘텐츠 시장 전반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올 방법을 고민한 끝에 양사의 전략적 가치를 기대하며 한 식구가 되는 데 뜻을 모았다“고 밝힌 이유이기도 합니다.
네이버와 지니뮤직 등 ICT를 기반으로 콘텐츠업계로 진출하는 대기업들이 웹피아와 밀리의 서재 등의 인수를 통해 기대한만큼 시너지를 낼 수 있을지는 아직 예단하기 어렵습니다. 콘텐츠 기업의 특성상 기업 문화가 개별 업체별로 상이하고 인수·합병 과정에서 인력 조정 등에 따른 내부 갈등이 불거질 가능성도 작지 않습니다.
이 외에도 네이버웹툰은 웹소설의 대중화를 위해 국내에서 B급 문학이라는 꼬리표를 뗄 수 있는 홍보 전략이 필요해 보입니다. 지니뮤직 역시 오디오북 콘텐츠의 활성화를 위해 갈수록 독서율이 떨어지는 한국 상황에서 ‘책’이라는 오리지널 콘텐츠에 대한 관심을 어떻게 지속시켜 나갈지 고민이 필요한 지점입니다. 문체부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성인 10명 중 4명 이상은 책을 1권도 읽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