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Column 칼럼

창살없는 아나운서 '스터디 감옥(?)'

URL복사

Monday, November 18, 2013, 10:11:11

[박은주의 마이크]

언젠가 한 방송사 합숙에 간 날 깜짝 놀랐다. 10명의 지원자 중 7명이 전에 함께 스터디를 해봤거나 스터디 중인 사람들이었던 것. 그만큼 나는 준비생 시절 많은 스터디에 참여해 실기 연습을 했다. 지금 내 인맥의 8할도 그 때 만난 스터디원들이다.

 

대학 졸업 후 백수상태에서 아나운서 시험 하나만 바라보며 준비를 하다 보니 무기력함과 나태함에 빠질 때가 많았다. 그래서 혼자 연습하기보다는 일부러 더 많은 스터디에 들어가 내 자신을 바쁘게 만들기 위해 애썼다. 다양한 방송사 공채의 솔직한 후기와 준비요령을 접할 수 있었고, 힘든 시간 함께 할 동료들을 만나 동기부여와 심리적 안정감도 얻었다.

 

그 때 신촌·이대·강남역을 찾아 세 개의 스터디에 참여하다보면 하루가 정말 금세 지나갔다. 아침에 집을 나와 스터디를 마친 뒤 늘 밖에서 식사를 해결하고 백화점이나 지하철 화장실 등에서 양치질을 하고서 또 다른 스터디로 향하곤 했는데 그때 쓴 일기를 보면 집에서 양치질을 하고 싶다라는 글귀가 있다. 아나운서가 된 훗날, 우연히 그 글을 읽고 울컥한 적도 있다. 준비생 시절의 나는 스스로 만든 스터디 감옥속에서 살았다고 해도 과장이 아니다.

 

이러한 노력은 헛되지 않았다. 이내 합격이라는 보상으로 돌아왔기 때문. 특히 2006MBC 필기시험 문제가 강남역 6번 출구를 나섰다라는 첫 문장에 이어 작문을 쓰는 것이었는데 이때도 나는 스터디 감옥경험을 작문 소재로 십분 활용했다. 당시 상식 시험을 망쳤지만 필기 전형을 무사히 통과할 수 있었던 것은 글에 드러난 내 노력과 열정을 심사위원께서 예쁘게 봐주신 덕이 아닐까 추측해본다. 스터디를 열심히 하자! 반드시 좋은 일이 생긴다.

 

아나운서 아카데미 과정은 시작반과 심화반으로 나뉘는데, 보통 시작반 수강을 마치고 어느 정도 기본기가 쌓인 상태에서 실기 스터디를 시작한다. 처음에는 주로 아카데미 같은 반 친구들끼리 수업 전후로 모여서 발성 연습을 한 뒤 수업 내용을 예습, 복습하는 식으로 출발한다. 그러다가 심화반을 수강하며 실력이 쌓이면 자체 커리큘럼을 짜서 훈련하면 된다. 또 점차 아카데미 내 다른 반 수강생과도 스터디를 짜보고, 수료 후에는 언론고시 카페의 스터디 모집 코너를 통해 새로운 사람들과 만나 연습해 보자.

 

그런데 요즘은 여러 곳에 지원 메일을 보내도 전혀 답이 없어서, 아나운서 스터디 들어가기가 방송국 입사 뺨치게 어렵다는 말이 자주 들린다. 학력·나이·아카데미 수료 여부·시험 경력·각오 등을 보고 나름의 심사 과정을 거쳐 스터디원을 선발하는 데다, 실력이 좋은 스터디일수록 방송 경험자를 선호하다 보니 초보 준비생일수록 스터디를 구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것이다.

 

이럴 때는 메일 제목부터 달라야 한다. ‘스터디 신청합니다.’, ‘카페에서 보고 연락드려요.’ 식의 형식적인 문장이 아니라 스터디원으로 반드시 저를 선택하세요!’, 또는 저와 함께하시면 합격하는 속도는 빠름~ 빠름~ 빠름~!’, ‘낯선 스터디에서 합격의 향기를 느꼈다!’, ‘2014KBS 아나운서, 바로 우리들입니다.’와 같은 제목으로 남다르게 어필해 보는 것은 어떨까?

 

메일 내용 역시 초보라 아무 것도 모르지만 괜찮다면 연락주세요.”라는 소극적인 글보다는 제가 아직 초보지만 최고급 카메라를 보유하고 있어 분명 스터디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제가 귀명창입니다. 다른 사람 오디오 모니터 귀신같이 해요처럼 자신있게 자신의 장점을 내세우는 편이 좋다.

 

자신이 직접 모집 글을 올리고 스터디원을 모으는 것도 좋은 방법. 스터디마다 거듭 퇴짜를 맞고 애간장을 태우던 처지에서 하루 아침에 스터디원을 재고 고르는 입장으로 상황 대 역전이 가능하다. 다만 실력 좋은 준비생들이 스터디에 실망하고 바로 나가는 일이 없도록 스터디 리더로서 일정, 장소예약, 커리큘럼, 결석과 지각 관리를 철저하게 해야 한다. 아나운서 실기 스터디의 구체적인 커리큘럼과 시행방법, 주의점에 관해서는 다음 편에서 자세하게 다뤄보도록 한다.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박은주 기자 mirip@inthenews.co.kr

배너

LG전자-SK이노베이션, AI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 수주 확대 나선다

LG전자-SK이노베이션, AI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 수주 확대 나선다

2025.09.18 10:35:34

인더뉴스 이종현 기자ㅣLG전자가 SK이노베이션과 공동으로 급성장하는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와 발열을 줄이는 고효율 HVAC(냉난방공조) 솔루션 수주 확대에 나섭니다. LG전자[066570]는 17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SK이노베이션[096770]과 'AI 데이터센터 에너지-냉각 통합 솔루션 공동개발 및 사업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8일 밝혔습니다. LG전자는 칠러와 팬 월 유닛(FWU) 등 공기 냉각 솔루션과 냉각수 분배 장치(CDU)인 액체 냉각 솔루션을 공급해 AI 데이터센터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냉각 솔루션 기술 실증 및 고도화할 예정입니다. SK이노베이션은 전력 공급 및 운영 최적화를 담당하며 ▲AI 기반 데이터센터 에너지 관리 시스템(DCMS) ▲보조전원(ESS 및 연료전지) 설계 ▲전력 피크 저감 솔루션 등을 제공합니다. 양사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과 AI 기반의 실시간 에너지 분석을 통해 자동으로 냉각 시스템을 제어하는 차세대 솔루션도 공동 개발합니다. LG전자와 SK이노베이션은 폐열을 활용한 HVAC 솔루션과 ESS를 활용한 전력 피크 관리 등 에너지 서비스(EaaS) 분야도 협업합니다. 연료전지를 발전원으로 하고 폐열을 활용해 AI 데이터센터를 냉각하는 방식을 검토합니다. 이를 통해 탄소 배출과 에너지 사용 절감을 위한 레퍼런스를 확보하고 냉각·에너지 솔루션에 서비스까지 패키지로 제공하는 에너지 서비스 사업을 글로벌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김무환 SK이노베이션 에너지솔루션 사업단장은 "이번 협약으로 양사의 최적화된 기술력을 통합해 고객에게 검증된 데이터센터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턴키(Turn-key) 사업자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라며 "앞으로도 전략적 협력을 토대로 다가오는 AI 시대에 발맞춰 에너지 산업 전반의 경쟁력 제고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재성 LG전자 ES사업본부장은 "이번 협약을 통해 데이터센터 냉각 솔루션뿐만 아니라 에너지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통합 솔루션에 이르기까지 양사의 기술 시너지를 바탕으로 글로벌 AI 데이터센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