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삼성전자[005930]의 중국 시안 반도체 사업장이 코로나19로 인한 사실상 감산에 들어갔습니다.
29일 삼성전자는 뉴스룸을 통해 “중국 시안 반도체 사업장은 코로나19의 확산세가 지속됨에 따라 생산라인의 탄력적 조정을 진행 중이다”라고 밝혔습니다.
반도체 팹(공장)은 24시간 운영하는 특성상 생산라인의 탄력적 조정이라는 표현 자체가 통상 생산량 축소와 같은 의미로 통용됩니다.
중국 정부는 지난 22일 코로나19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시안을 봉쇄했습니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도 불가피하게 생산라인의 조정에 들어갔다는 분석입니다.
삼성전자의 시안 사업장은 낸드플래시 생산 팹으로 삼성전자의 유일한 해외 메모리 공장입니다. 1공장은 지난 2014년부터 가동됐고, 2공장은 2018년 1단계 투자를 시작해 지난해 3월부터 제품을 생산했습니다. 시안 사업장은 삼성전자 전체 낸드플래시 생산량의 42.5%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 세계 낸드플래시 생산량의 15.3% 비중을 자랑할 정도로 큰 사업장 입니다.
반도체 업계에서는 낸드플래시 점유율 세계 1위인 삼성전자가 생산량을 줄임에 따라 낸드플래시 가격 하락 우려가 다소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임직원의 안전과 건강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회사의 경영방침에 따른 것”이라며 “글로벌 생산라인 연계를 포함한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해 고객 서비스에도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Samsung Electronics adjusts production of semiconductor plant in Xi'an, Chin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