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연초부터 가파른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코스피가 언제쯤 바닥을 형성할지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증권사들은 2월에 코스피가 바닥을 확인할 것이라는 예상에 대체로 동의하면서도 완연한 추세 반등은 봄 이후에나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3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1월 한달 간 10% 넘게 폭락하며 2600선을 이탈하기도 했다. 짧은 기간 동안 미국의 긴축 불확실성과 금리인상 우려, LG에너지솔루션 상장에 따른 수급 불안, 러시아-우크라이나 갈등 등으로 적잖은 충격을 받은 모양새다.
하지만 코스피 지수에 영향을 준 외부 요인들이 2월 들어 해소되면서 코스피 지수도 바닥을 확인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김수연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FOMC와 LG에너지솔루션 상장 이슈가 마무리되면 시장이 안정될 것”이라며 “코스피는 3개월 고점 대비 수익률이 10% 감소한 지점에서 임계점을 형성했는데 현재 그 임계치에 도달한 상태”라고 설명했다.
하인환 KB증권 연구원도 “FOMC결과 확인과 IPO수급 우려 해소 등은 1월 말에서 2월 초면 해소될 것”이라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갈등도 조만간 우려의 정점에 이르면서 2월 중으로 바닥 확인을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현대차증권은 코스피지수의 12개월 선행 PER이 9.71배로 최근 5년 평균을 하회하는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과거 코스피의 조정이 반드시 추세 하락으로 이어지지 않았다는 점을 바탕으로 2월에 코스피 지수의 밸류에이션 매력이 부각될 것이란 설명이다.

다만, 바닥 확인 후 코스피 지수의 추세 반등에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봄 이후에 반등 추세가 형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3월까지는 보수적으로 접근할 것을 조언했다.
하 연구원은 “추세 반등을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인플레이션 우려 해소가 필요하다”며 “미국의 코로나19 정점 확인 등을 고려했을 때 봄 이후에 인플레이션 우려가 완화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재윤 SK증권 연구원은 “LG에너지솔루션의 MSCI, 코스피200 조기편입 일정 감안 시, 대형 IPO발 수급 변동성이 2월말까지 나타날 수 있다”며 “매파적으로 돌아선 연준의 스탠스도 고려할 시 3월 FOMC 전까지는 주식시장에 대해 보수적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이익 추정치가 개선되는 저밸류 중심의 대응이 유효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