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서로 경쟁상대였던 백화점과 온라인 패션 플랫폼들이 MZ세대 공략을 위해 손을 맞잡고 있습니다.
20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오프라인 매장이 없던 패션 플랫폼들이 백화점 매장으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신세계의 'W컨셉'이 대표적입니다. 신세계백화점 경기점은 지난 3월 여성 패션 플랫폼 W컨셉 매장을 열었습니다. 온라인에 입점해 있는 7000여개 패션 브랜드 중 20개를 선정해 매장에서 판매합니다.
W컨셉이 오프라인 매장을 오픈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던스트, 앳코너, 앤유 등 MZ세대에게 각광받고 있는 시즌 상품과 W컨셉 자체 브랜드인 프론트로우를 입어볼 수 있게 했습니다. 2030 고객 방문 수가 2배 늘고 애초 계획보다 30% 이상의 초과 매출이 발생할 만큼 호응을 얻고 있습니다.

서울 여의도 더현대서울은 지난해 2월 오픈과 동시에 패션 브랜드 쿠어, 디스이즈네버댓 단독 매장을 입점시켰습니다. 특히 쿠어는 지난해 10월 기준 월 매출 3억원을 기록할 만큼 탄탄한 젊은 층 팬덤을 확보한 브랜드입니다. 고품질 니트 등 시그니처 상품을 직접 입어보고자 하는 수요가 꾸준합니다.
20년 만에 리뉴얼에 나서는 현대백화점 목동점에는 60여 브랜드가 새로 들어섭니다. 이곳에서는 MMLG, 어나더오피스, 이얼즈어고 등 트렌드에 민감한 MZ세대 인기를 끌고 있는 패션 브랜드들의 첫 번째 오프라인 매장이 신규 입점을 앞두고 있습니다.
온라인 패션 브랜드 '하고엘엔에프'의 디자이너 플랫폼 하고는 지난해 롯데백화점 동탄점에 '#16'을 열었습니다. 마뗑킴 등 투자한 16개 온라인 브랜드를 한곳에 모은 매장으로, 지난 2017년 론칭 이후 오프라인에서는 처음으로 브랜드를 선보였습니다. QR코드 결제를 가능하게 해 편의성을 높였습니다.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패션 플랫폼과 브랜드의 백화점 진출은 상호 시너지를 낼 가능성이 큽니다. 백화점의 경우, 엔데믹 시기를 맞아 MZ세대에게 인기 있는 패션 브랜드를 매장에 들임으로써 이들이 매장을 방문하고 길게 체류할 이유를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패션 플랫폼들과 브랜드 역시 옷을 직접 입어볼 수 있는 오프라인 매장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습니다.
시중 백화점 관계자는 "유통에서 이커머스로의 전이는 트렌드지만 코로나 시대를 거치며 오프라인 공간에 대한 필요성도 함께 커졌다"며 "무신사나 W컨셉 같은 온라인 기반 플랫폼들의 백화점 진출은 소비자가 직접 경험해볼 수 있다는 오프라인만의 매력이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