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 임채돈씨 별세, 임대근(현대해상 강북본부지원부장)씨 부친상, 19일,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17호실, 발인 21일 12시 40분, ☎ 02-2227-7560
인더뉴스 정석규 기자ㅣ▲ 임채돈씨 별세, 임대근(현대해상 강북본부지원부장)씨 부친상, 19일, 신촌세브란스병원 장례식장 17호실, 발인 21일 12시 40분, ☎ 02-2227-7560
English(中文)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 news.
정석규 기자 itnno1@inthenews.co.kr
인더뉴스 홍승표 기자ㅣ7월, 본격적인 휴가철을 맞아 항공사들의 국제선 운항 규모가 더욱 늘어납니다. 이달들어 정부가 국제선 전면 회복을 골자로 한 정상화 방안을 내놓으며 활로가 더욱 넓어졌기 때문입니다. 1일 국토부의 국제선 정상화 방안에 따르면, 인천공항의 시간당 항공기 도착편 수 제한 및 비행 금지시간이 26개월 만에 해제되는 등 국제선이 전면적으로 허용됩니다. 정상화 추진에 맞춰 국내 대형 항공사와 LCC(저비용항공사)는 증편에 나서고 있습니다. 대한항공은 유럽 노선인 인천~밀라노 노선과 인천~비엔나 노선을 28개월 만에 재개합니다. 해당 노선은 1일부터 주 3회 운항할 예정입니다. 인천~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노선과 인천~독일 프랑크푸르트 노선은 각각 오는 10일, 25일자로 기존 주 3회에서 5회로 증편해 운항합니다. 동남아 노선은 인천~베트남 다낭 노선과 인천~인도네시아 발리 노선을 각각 오는 14일과 27일부터 재개합니다. 발리 노선은 매일 운항하며, 다낭 노선은 오는 24일까지 주 4회 일정으로 운항 뒤 25일부터 주 7회로 증편됩니다. 인천~자카르타 노선은 오는 25일부터 주 5회에서 주 7회로, 인천~하노이 노선과 인천~쿠알라룸푸르 노선은 1일부터 각각 주 5회에서 주 7회, 주 3회에서 주 5회로 증편합니다. 미주 노선의 경우 인천~보스턴 노선은 주 3회에서 주 4회로, 인천~워싱턴과 인천~벤쿠버 노선은 오는 25일부터 매일 운항합니다. 동북아 노선은 김포~하네다 노선 재개를 비롯해 인천~울란바토르 노선과 인천~홍콩 노선을 매일 운항하고, 인천~삿포로 노선도 오는 17일부터 재개해 주 2회 운항할 계획입니다. 아시아나항공은 유럽 노선인 인천~바르셀로나와 인천~이스탄불 노선을 오는 23일부터 재개하고 주 2회 일정으로 운항할 예정입니다. 동남아 노선인 인천~푸켓 노선도 오는 28일 운항을 재개해 주 2회 운항합니다. 동북아 노선의 경우 인천~후쿠오카 노선을 주 3회에서 주 5회로, 인천~나리타행은 오는 15일부터 항공기를 추가 증편해 주 10회로 규모를 확대합니다. 인천~홍콩행 노선은 주 2회서 주 3회로, 오는 23일부터는 주 4회로 운항을 확대하며, 인천~울란바토르 노선 또한 주 3회, 오는 10일부터는 주 4회로 순차 증편합니다. 인천~창춘 노선도 이달부터 재개해 주 1회 일정으로 운항합니다. 미주 노선은 인천~샌프란시스코 노선을 주 4회에서 주 7회로 횟수를 늘려 매일 운항하며 인천발 시애틀, 호놀룰루행 노선은 각각 주 4회, 주 5회로 증편합니다. 호주 노선인 인천~시드니행은 주 3회에서 주 4회로 운항횟수를 늘립니다. LCC도 정부의 국제선 회복 발표 및 성수기를 고려해 6월보다 국제선 운항횟수를 늘리고 일부 LCC는 대형 항공기를 투입해 해외 여행객 유치에 돌입합니다. 진에어는 주요 동남아 노선 증편을 통해 성수기 해외 여행객 맞이에 만전을 쏟을 방침입니다. 인천~방콕, 인천~세부, 인천~코타키나발루, 인천~다낭 노선 등 동남아 모든 노선을 주 7회로 늘리고 오는 22일부터 인천~푸켓 노선과 인천~칼리보 노선도 매일 운영합니다. 또, 22일부터는 인천~괌, 인천~클락, 인천~코타키나발루 노선에 총 393석 규모의 B777-200ER을 투입해 성수기 여행객 수요에 대비할 예정입니다. 부산발 국제선의 경우 오는 8일 부산~세부 노선을 재개할 예정이며 22일부터 부산~괌, 방콕 노선은 주 7회로, 부산~다낭, 세부, 클락 노선은 주 4회로 증편합니다. 티웨이항공은 오는 9일 인천~싱가포르 노선을 기존 주 2회에서 주 7회로 증편할 예정이며 이달 내에 인천~울란바토르 노선도 운항할 예정입니다. 두 노선에는 A330 대형기를 도입해 고객들의 여행 편의를 돕는다는 계획입니다. 아울러, 인천~나리타와 인천~오사카 노선을 오는 8일부터 매일 운항하며, 후쿠오카, 삿포로 등 주요 일본지역도 운항을 재개할 예정입니다. 동남아 노선의 경우 인천발 방콕, 다낭행 노선을 매일 운항하고 인천~칼리보 노선 또한 오는 22일 주 2회에서 주 7회로 운항규모를 늘릴 예정입니다. 이밖에 에어서울은 이달부터 인천~괌 노선을 주 4회에서 주 9회로 증편할 예정입니다. 제주항공은 이달 인천~방콕 노선을 주 7회 운영하고 오는 20일부터는 주 14회로 운항규모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에어부산은 인천~나트랑 노선을 신규 취항하고 오는 20일부터 주 4회로 증편해 운영합니다. ‘서비스 업그레이드·다양한 프로모션’ 고객 맞이 분주 국제선 운항제한 해제와 본격 여행철이 겹치며 각 항공사들은 자사의 기내 서비스 품질을 업그레이드하고 여행객들을 사로잡을 프로모션을 진행하며 고객 맞이를 위한 채비에 분주한 상황입니다. 대한항공은 이달부터 코로나19 이전 수준의 기내 서비스를 제공할 방침입니다. 기내식 메뉴를 다양화하고 기내용품도 다시 제공해 서비스를 완전 정상화할 예정입니다. 기내식의 경우 한식 메뉴를 계절별로 다양화했으며 간식 및 후식, 주류 및 음료 등도 강화합니다. 아시아나항공은 초대형 항공기인 A380을 미국 LA 노선과 태국 방콕 노선에 투입해 고객들의 여행 편의를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억눌렸던 해외여행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만큼 인기 노선에 좌석난이 있었다"며 "A380 운항으로 경험 향상 및 좌석 공급 확대로 고객 예약 편의성이 개선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A380은 인천~LA 노선의 경우 7월 23일부터 10월 29일까지 주 3회, 인천~방콕 노선은 오는 10월 29일까지 매일 운항합니다. 진에어는 오는 22일 B777 항공기 투입을 기념하는 프로모션을 열고 항공권 할인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인천~괌, 클락, 코타키나발루, 칼리보 노선을 오는 22일부터 8월 29일까지 이용하는 고객들이 카카오페이로 항공권을 결제할 시 최대 3만원의 할인 혜택을 제공합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지난 달 국제선 운항 제한을 풀며 각 항공사들은 대부분 증편과 함께 고객들을 유치하기 위한 행보에 분주한 모습"이라며 "항공 규제가 풀린 만큼 항공사들은 휴가철과 관계 없이 국제선 증편에 더욱 속도를 붙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여행업계 관계자는 "항공사들의 국제선 운항규모 확대에 힘입어 동남아 등으로의 해외여행 패키지를 찾는 고객들도 늘어나며 코로나19 때 보다는 분명히 나아진 상황"이라며 "항공사들의 국제선 증편 규모가 어떻게 되는가에 따라 해외여행을 찾는 고객들도 이와 비례해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유리문을 열고 고개를 들자 천장이 흔들린다. 정확히는, 미디어월 속 무언의 형체들이 끊임없이 나아가는 잔향이다. 시야에서 가장 멀리 닿는 부분은 온통 무채색이다. 현란한 미디어 아트를 따라가다 보면 그 끝에 무아인이 등장한다. 무신사는 3D 무아인을 통해 '기본'과 '확장성'이라는 브랜드 가치를 전한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무신사 스탠다드는 서울 강남에 두 번째 플래그십 스토어 '무신사 스탠다드 강남'을 오픈했습니다. 신분당선 신논현역 7번 출구에서 2분 거리에 위치한 강남점은 지상 1층부터 지하 2층까지, 총 976㎡(약 287평) 규모로 운영됩니다. 정식 오픈을 하루 앞둔 지난달 30일 방문했습니다. 1층 매장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보이는 미디어월은 방문객의 시선을 사로잡습니다. 1층 세로형 미디어월은 14m에 달하며 지하 1층 천장으로 이어집니다. 순간을 주제로 초현실 3D 아트웍을 선보입니다. 구슬과 물방울, 철가루 같은 것들이 하나에서 두 개로, 수만 개로 늘어났다가 다시 하나가 되기를 반복합니다. 매장 분위기는 '무신사스러움'이 느껴집니다. 조명에 따라 무채색과 아이보리색으로 다르게 보일 뿐 전체적인 인테리어 무드는 차분합니다. 1층은 슬랙스를 포함해 남성 제품 전용 공간으로 꾸몄습니다. 누적 판매량이 300만장이 넘는 슬랙스는 무신사 대표 인기 제품입니다. 입구 바로 오른편에는 '익스클루시브 컬러'의 아이리시 그린 제품을 전시했습니다. 깔끔하지만 자칫 단조로울 수 있는 블랙·차콜·화이트 위주 의류로부터 색감을 환기해주는 역할도 합니다. 반소매 티셔츠와 반바지, 양말과 신발까지 짙은 초록색으로 표현했습니다. 무신사 스탠다드 매장 내 모든 제품에는 로고가 없습니다. 겉으로 드러나는 커다란 문구나 프린팅된 그림, 사진은 찾아볼 수 없습니다. '의도한 여백'입니다. 무신사 관계자는 "무신사 스탠다드 내 브랜드들은 로고를 새기거나 디자인이 화려하지 않은데 이는 무신사에 입점한 다양한 브랜드들과 충돌하지 않고 조화를 이루기 위함"이라며 "무신사의 캐주얼라인은 기본을 중시함과 동시에 기준을 지향한다"고 말했습니다. 무신사는 스탠다드 강남을 통해 소비자에게 브랜드 경험을 확장한다는 계획입니다. '라이브 피팅룸'은 그 중 핵심입니다. 지하 1층과 2층의 라이브 피팅룸에서 고객들이 무신사 스탠다드 제품으로 자신만의 스타일을 꾸미고 이를 기록으로 남길 수 있게 하려는 목적입니다. 이곳에서는 다양한 컬러를 적용할 수 있는 색조명과 함께 휴대폰 화면을 연동·미러링할 수 있는 LG 스탠바이미 디스플레이를 설치했습니다. 숏폼 콘텐츠로 개성을 드러내는 데 익숙한 젊은 세대가 인스타그램 릴스, 유튜브 쇼츠 등으로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공간을 조성했습니다. 지하 1층은 남성 제품과 언더웨어, 뷰티 및 액세서리로 채웠습니다. 친환경 요소를 고려한 '비사이클 프로젝트'도 있습니다. 사용 후 버려지는 일회성 설치물 대신 아티스트와 협업한 메인 조형물을 매장 1층과 지하 1층에 마련했습니다. '바이오 머티리얼' 아티스트 정김도원의 조형물을 체험할 수 있습니다. 지하 2층은 여성 제품뿐 아니라 온라인에서만 판매하는 키즈 및 그린(친환경) 라인도 함께 선보였습니다. 이쯤 되니 홍대점에 이어 1년 만에 강남에 2호점을 낸 배경이 궁금해졌습니다. 무신사는 10~20대에게 인기 있는 브랜드로서 홍대와 강남은 연령층 등 지역 성격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무신사에 따르면 지난해 5월 서울 마포구 홍대 인근에 문을 연 무신사 스탠다드 홍대의 연간 누적 방문객은 100만명을 넘었습니다. 월평균 9만명이 방문했고, 일일 기준 3000명 이상 다녀갔습니다. '다 무신 사랑해' 같은 위트와 실용성이 1020세대를 열광하게 했다는 점에서 의아했습니다. 무신사는 '확장' 가능성을 이야기했습니다. 무신사 관계자는 "무신사 스탠다드 강남은 한국 대표 상권인 서울 강남 지역에 무신사가 처음으로 오프라인 매장을 내놓는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며 "강남은 유동 인구가 많고 오피스 지역이라 브랜드 타깃 소비자를 확장한다는 측면에서 전략적인 공간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무신사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출발했습니다. 2001년 '무지하게 신발 사진이 많은 곳'이라는 이름으로 시작해 무신사닷컴·무신사매거진 등을 거쳐 2008년 무신사 스토어를 열었고, 지난해 홍대에 첫 오프라인 매장을 열었습니다. 지난해 책정된 무신사의 기업가치는 2조5000억원대 수준입니다. 무신사의 연이은 오프라인 진출이 업계에서 큰 주목을 받는 이유입니다.
인더뉴스 장승윤 기자ㅣ반려동물 가구 300만 시대를 맞아 프렌차이즈 커피전문점들이 관련 친화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개인 및 소규모 위주로 애견카페 등을 운영했던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프렌차이즈 커피전문점들도 '펫 프렌들리' 매장을 속속 선보이고 있습니다. 포화상태인 커피전문점 시장에서 특화 매장으로 차별화를 도모하려는 시도로 읽힙니다. 통계청 '2020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국내에서 약 313만 가구가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습니다. 전체 가구(2093만)의 약 15%에 해당합니다. 스타벅스코리아는 국내 프렌차이즈 카페 중 가장 큰 규모인 약 330㎡(100평) 면적의 펫 파크를 조성한 매장을 선보였습니다. 올해 초 경기도 남양주시에 오픈한 더북한강R점입니다. 국내 스타벅스 매장 최초로 반려동물과 함께할 수 있는 공간인 야외 펫 파크는 강아지 운동장과 강아지를 묶어둘 수 있는 대기공간(도그 파킹)등이 있어 반려동물과 함께 찾는 고객들이 많다는 평가입니다. 반려견과 함께 펫파크를 방문한 20대 여성은 "반려동물을 위한 공간이나 곳곳에 비치된 배변봉투와 손소독제, 배변전용 쓰레기통 등에서 세심한 배려가 보여 반가웠다"며 "다만 멋진 북한강변의 풍경을 감상할 수 있는 매장이나 정작 반려동물은 내부에 같이 입장할 수 없어 아쉬웠다"고 말했습니다. 매장 1층과 2층에서는 반려동물용 사료그릇, 패밀리 가방 세트 등 스타벅스 MD 상품을 판매합니다. 한쪽에는 반려동물 동반 고객의 음료 주문·픽업을 위한 대기공간을 만들었습니다. 스타벅스는 더북한강R점에서 반려동물 관련 다양한 캠페인을 진행해 올바른 반려동물 양육 문화를 확산한다는 취지입니다. 스타벅스코리아 관계자는 "더북한강R점은 펫 파크와 함께 루프탑 포토존, 리저브 및 티바나 음료 경험 등 다양한 경험을 전달하는 복합적인 매장"이라며 "앞으로도 도심에서 경험하지 못한 특화된 요소를 반영해 지역과 주변 환경에 어울리는 매장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커피빈코리아는 경기 하남의 위례2차 아이파크점을 시작으로 최근 제주애월DT점까지 전국에 12개의 펫 프렌들리 매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애견 전용 방석과 식기를 대여해주고 펫 밀크로 만든 반려동물 전용 음료 '퍼푸치노'를 판매합니다. 펫존에는 댕냥이 식수와 탈취제 등을 갖췄습니다. 업계 최초로 펫 회원제 서비스도 내놨습니다. 앱에서 '펫민번호'를 발급받고 펫 전용 메뉴 구매하면 스탬프 적립 등의 혜택을 제공합니다. 지난해 10월 펫 멤버스 도입 후 견주들로부터 호응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커피빈에 따르면 올 상반기 퍼푸치노 월평균 주문량은 지난해 하반기 대비 두 배가량 늘었습니다. 할리스 역시 특화 전략 중 하나로 펫 프렌들리 매장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지난해 제주도에 첫 직영점 '제주연북로점'을 열고 야외에 반려동물과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을 구성했습니다. 앞서 2020년에는 반려견과 산책 인구가 많은 공덕역 인근에 경의선숲길점을 오픈했습니다. 투썸플레이스는 화성시 정남면에 '투썸플레이스 보통리점'을, 이디야커피는 춘천시 신북읍에 '이디야커피 춘천소양강점'을 열고 야외 및 정원에 반려동물 동반이 가능하게 했습니다. 다만 해당 지점들은 가맹점이 자체 운영하는 사례로 본사에서 운영하는 펫 특화 매장은 현재 없다는 설명입니다. 커피 프렌차이즈업계 관계자는 "최근 엔데믹과 계절적 영향으로 아웃도어 활동을 즐기거나 반려동물을 비롯해 가족·연인과 함께 교외의 특별한 공간을 찾는 이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다"며 "이에 따라 새로운 경험을 전달하고자 하는 카페 역시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습니다.
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번개표’ 브랜드로 유명한 조명업체 금호전기의 주가가 끝모를 하락세를 이어가며 39년 만의 최저주가(수정주가 기준) 수준으로 추락했다. 영업 부진으로 만성적자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2년전 새 주인이 들어온 이후부터 수시로 발행한 대규모 전환사채(CB)가 직격탄으로 작용하는 모습이다. 27일 금융투자업계 및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금호전기 주가는 지난달 말 고점 대비 55.3% 하락했다. 2000원 초반대를 유지하던 주가가 돌연 3300원까지 치솟은 뒤 곧바로 1400원대까지 수직낙하한 것. 올해 초 고점에 비해서는 65.1% 폭락한 상태다. 이 과정에서 한때(지난달 하순경) 4거래일 만에 주가가 50% 가량 폭등해 잠시 시장의 이목을 끌었지만, 곧이어 매도 물량이 쏟아지면서 한달도 지나지 않아 주가가 반토막 아래로 내리꽂았다. 당시 뚜렷한 이슈없이 ‘폭염 수혜’라는 식의 이유로 폭등하면서 주가 흐름이 석연치 않다는 지적이 일었다. 특히 주가 급등 무렵 총 348만여주의 CB 전환이 이뤄졌고 이후 기타법인 등을 통해 매물이 쏟아지며 급격한 하락곡선을 그리자 엑시트(투자금 회수)를 위한 인위적 단기 주가부양이 아니었냐는 의혹이 불거졌다. 최근 금호전기의 주가 폭락세는 2년 전 새 주인이 들어온 후 찍어낸 대규모 CB 물량의 영향이 크다. 현 대주주인 신주홀딩스는 사세가 기울던 지난 2020년 1월 창업주 일가로부터 지분 14.32%를 110억원에 인수한 뒤 수시로 대규모 CB를 발행하며 총 764억원의 외부 자금을 조달해 왔다. 여전히 적자가 이어지는 가운데서도 새 주인은 조달한 자금을 적극적으로 외부 출자에 밀어넣고 있어 재무 개선은 요원한 실정이다. 이렇다 보니 금호전기의 잠재 주식수는 급격히 증가하며 주가에 부담 요인이 되고 있다. 이날 기준 미상환 CB의 전환가능 주식수는 약 2616만주로, 현재 금호전기의 총 상장주식수(약 2434만주)를 뛰어넘는 규모다. 더욱이 주가가 가파르게 하락하다보니 전환가액 하향 조정이 줄을 잇고 있다. 회사는 올 들어서만 16차례의 전환가액 조정 공시를 냈다. 전환가액이 낮춰지면 그만큼 새롭게 발행해야 하는 주식수가 늘어나 1주당 가치가 떨어지게 된다. 10차례의 CB 모두 최저 전환가액이 액면가인 500원이기 때문에 현재 기준 전환가능 주식수 2616만 6593주가 최대 약 1억주 수준까지 증가할 수 있다. 2019년 말 총 1026만여주였던 금호전기의 총 주식수는 이후 빠르게 증가해 현재 두 배 이상인 2434만여주로 늘어난 상태다. 이미 해당 CB들은 전환청구 기간이 도래한 지난해부터 꾸준히 전환되면서 주가에 부담을 주고 있다. 이미 약 260억원 규모의 CB가 전환청구됐고 내년 초까지 모든 전환사채의 전환청구 기간이 도래하면 아직도 500억원 가량의 잔여 물량이 남아있는 상태다. 이는 현재 금호전기의 시가총액보다 큰 규모다. 주가 하락으로 CB 상환 부담도 커지고 있다. 1~5회차 CB는 이미 발행한지 1년이 지나 조기상환이 가능한 상태다. CB 투자자가 상환을 청구할 경우 해당 금액을 내줘야 하기 때문에 현금난에 시달리고 있는 회사로서는 부담이 큰 상황이다. 6~9회차 물량도 올해 안에 상환청구가 가능해진다. 하지만 오랜 기간 만성적자가 이어지면서 회사의 재정 상태는 매우 열악하다. 누적된 결손금으로 1분기말 별도 기준 자본총계가 자본금보다 작아져 자본잠식 상태에 접어들었다. 매출액 규모도 2016년 4500억원 수준을 기록했지만 지속적으로 감소해 지난해에는 416억원까지 쪼그라들었다. 이렇다 보니 외부감사기관이 감사보고서를 통해, 영업활동으로 인한 대규모 현금 유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계속기업으로서의 존속능력에 의문을 제기할 만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지적하기에 이르렀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새 주인이 들어선 후 계속된 자금 조달에도 불구하고 재무구조 개선, 신사업 추진 어느 것도 원활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투자자 입장에서는 회사 경영에 의문을 갖기에 충분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