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업스테이지(대표 김성훈)는 구글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구글 인공지능위크 2023' 행사에 참석했다고 13일 밝혔습니다.
'인공지능위크 2023'는 인공지능(AI)의 미래 방향성을 모색하는 컨퍼런스입니다. 인공지능 분야 연구개발 협력을 강화하고 우수 인력 성장을 지원합니다. 오는 13일까지 서울 강남구 그랜드인터콘티넨탈 파르나스에서 열립니다.
업스테이지는 '생성형 AI 시장의 발전과 비즈니스 기회'를 주제로 생성형 AI의 발전과 국내 현황, 아숙업(Askup)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초거대언어모델(LLM)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나 보조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는 업종 특화 대규모언어모델(ssLLM)의 필요성 및 활용 방안에 대해서도 청사진을 제시했습니다.
업스테이지 관계자는 업종 특화 대규모언어모델에 대해 "초거대 언어모델의 경우 인력, 시간, 개발비 등 막대한 자본이 투입돼야 한다는 한계지점이 있다"면서 "업종 별로 데이터를 활용해 대규모언어모델을 구축하면 비용과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가령 보험 회사에서 초거대언어모델을 만든다고 했을 경우, 보험 약관과 관련된 데이터 위주로 학습을 진행하는 방식입니다. 업종 특화 대규모언어모델을 활용하면 금융, 보험 등 특정 분야에 특화된 생성형 AI 서비스를 선보일 수 있습니다.

업스테이지는 ▲카카오톡과 라인 등 메신저를 통해 손쉽게 생성형 AI를 활용할 수 있는 아숙업 ▲생성형 AI와 검색 및 추천 기술을 활용한 초개인화 솔루션 '아숙업 서제스트' 등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습니다.
아숙업 서제스트는 초개인화된 최신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원하는 정보를 편리한 인터페이스로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업스테이지는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및 파인튜닝 노하우를 활용했다고 밝혔습니다.
업스테이지 이활석 CTO는 "앞으로도 업스테이지는 구글 등 다양한 기업들과 협력을 통해 생성 AI의 활용성을 더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함께 고민하고 책임감 있는 AI를 구축하기 위해 더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