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SK텔레콤[017670]은 장소와 시간에 구애 받지 않는 스마트워크 도입에 맞춰 경기도교육청에 5G 국가망을 구축 완료했다고 1일 밝혀씁니다.
'5G 국가망'은 5G를 활용하여 현장에서도 업무를 할 수 있도록 보안을 강화한 5G 전용망입니다. 와이파이나 무선으로 교육청 행정망에 접속이 불가능했으나 5G 국가망 개통으로 언제 어디서나 공공 업무를 할 수 있습니다.
경기도교육청은 스마트워크가 안정적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5G를 전국 교육행정기관 중 처음으로 도입했습니다. 지난 7, 8월 시범 운영을 거쳐 9월부터는 전 부서로 확대할 예정입니다.
5G가 도입되고나면 노트북을 활용한 모바일 근무 환경을 통해 출장지 또는 이동하는 차 안에서도 업무처리가 가능합니다.
SKT는 노트북용 초경량 모뎀의 무선신호에 한해서 행정망에 접속할 수 있도록 사전 등록된 업무용 노트북 신호를 별도로 처리하는 전용장치(모바일 게이트웨이)를 구축했습니다. 또한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술을 적용해 일반인이 사용하는 5G 데이터 신호와 분리했습니다.

교육청에 5G 기지국을 추가 구축해 최적화를 진행했습니다. 양자암호 기술과 차세대 외부 접속 솔루션(SDP) 등 보안기술을 적용했습니다.
클라우드PC 시스템도 함께 제공합니다. SK브로드밴드가 독자 개발한 가상 데스크탑 솔루션 '클라우드 X'를 통해 언제 어디서든 안전하게 동일한 PC 환경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노트북 반출입 시스템을 구축해 사전 허락되지 않은 노트북을 청사외부에서 사용시 행정망 접근이 차단됩니다. 직원들의 데이터 사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모뎀 분실이나 허용되지 않은 접근을 즉시 차단할 수 있게 관리시스템을 제공합니다.
SKT는 이번 경기도교육청의 성공적 도입을 기반으로 타 공공기관과 지자체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신용식 SKT 엔터프라이즈 CIC CO장은 "행정부처에서 보안 위험을 줄이면서 업무 효율성을 올리고자 하는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면서 "타사 대비 우월한 품질의 네트웍/보안 기술을 토대로 보다 많은 공공기관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