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뉴스 양귀남 기자ㅣ코스닥 상장사 강스템바이오텍이 주주들을 상대로 한 대규모 자금 모집을 앞두고 또다시 장밋빛 전망을 제시했다. 임상을 진행 중인 파이프라인의 품목허가와 조기 기술수출(LO), 매출 발생 등이 기대된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과거에도 대규모 자금 유치를 위해 제시한 각종 청사진이 현실화되지 않아 이번에도 악습이 반복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2012년부터 개발을 이어오던 퓨어스템-에이디는 2018년 실패 이후 재임상 진행이 기존보다 지연됐고, 상장 당시 주요 파이프라인으로 제시했던 퓨어스템-시디는 사실상 연구 중단 상태다. 이렇다 보니 회사 경영진에 대한 주주와 시장의 신뢰도는 크게 추락한 상태다. 주가 역시 5년째 장기 하락 추세다.
잇단 임상 실패·지연..유증 앞두고 “이번엔 다르다” 반복
12일 금융투자업계 및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강스템바이오텍은 지난 7일 기업설명회를 개최하고 퓨어스템-에이디주 3상 임상경과에 대한 청사진을 발표했다. 퓨어스템-에이디주의 품목허가가 내년 중 이뤄지고 연매출 2000억원을 기록할 수 있을 것이란 내용이다. 또한 퓨어스템-오에이 키트주에 대해서는 “1상 결과로 글로벌 빅파마와의 LO 가능성이 고조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강스템바이오텍의 신약 개발 계획이 또다시 공수표에 그치는 것 아니냐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회사는 상장 이후 대규모 자금 조달 전후로 지속적으로 퓨어스템-에이디주에 대한 성공을 자신했지만, 사실상의 성과는 전무했기 때문이다.
강스템바이오텍은 지난 2015년 상장 당시부터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퓨어스템-에이디주’를 주요 파이프라인으로 내세웠다. 이후 2018년 임상 3상에 돌입하며 각종 청사진을 제시했다.
회사는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의 임상 3상 시작 직후 주주배정 유상증자를 통해 359억원을 조달했다. 당시 바이오 업계 침체에서도 높은 기대감 속에 청약률 108%를 기록했다. 주주들이 회사측의 신약 개발에 대한 자신감에 부응해 자금을 투입한 것.
강스템바이오텍은 연이어 임상 3상 결과가 나온 후 발표 직전인 2019년 7월 기관들에게 유상증자를 진행해 480억원을 조달했다. 임상 3상 시작부터 결과 발표 전까지 시장에서 총 839억원을 조달한 것.
당시 강경선 강스템바이오텍 의장은 “2년안에 퓨어스템-에이디주 제품 출시를 예상하고 있다”며 “연간 1500억원 이상의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히며 성공을 자신했다. 하지만 임상 3상은 실패로 돌아갔고 주가는 속절없는 하락세를 이어갔다.
이후 2021년 강스템바이오텍은 재차 임상 3상에 도전해 2023년 8월 임상 종료 및 2024년 제품 허가를 목표로 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임상종료 예상 시점은 또다시 내년 2분기로 미뤄진 상태다. 회사는 재차 임상 3상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며 주주들에게 자금 지원을 호소하고 있다.
강스템바이오텍은 지난 2021년에도 주주배정 유증을 통해 390억원을 조달했다. 최근 진행 중인 357억원 규모의 주주배정 유증을 더하면 상장 이래 주주들로부터 1100억원이 넘는 돈을 지원받게 된다. 다만 회사측이 제시한 청사진이 계속해서 지켜지지 않다 보니 최근 유증에 대한 회의적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회사를 믿고 투자한 주주들에게 지속적으로 손을 벌리면서 사실상 신뢰도가 많이 하락한 상태라고 봐야 한다”며 “이제는 장밋빛 미래 제시가 아닌 성과로 보여줘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지켜지지 않는 ‘장밋빛 미래’..추락하는 신뢰도
회사측이 상장 당시 제시했던 파이프라인 계획과 매출 전망을 살펴봐도 모두 현실과 거리가 멀다. 당시 주요 파이프라인으로 제시했던 퓨어스템-시디는 현재 연구 진행이 불명확한 상태고, 줄기세포치료제 사업부문 매출은 0원인 상황이다.
강스템바이오텍은 지난 2015년 상장 당시 퓨어스템-에이디와 더불어 크론병 치료제인 퓨어스템-시디를 주요 파이프라인으로 제시했다. 증권신고서에 따르면 2015년 임상 1/2a상 중이었고 출시는 2019년으로 예정돼 있었다.
회사는 이어 2019년 퓨어스템-시디의 시장 점유율을 3.5%, 매출액을 41억원으로 제시했다. 하지만 최근 퓨어스템-시디는 회사가 추진하는 주요 파이프라인에서 제외된 모양새다. 연구 관련 소식도 지난 2021년 이후 찾아보기 힘든 상황이다.
이렇다 보니 회사가 제시했던 줄기세포치료제 매출액 전망치도 현실과 괴리가 크다. 올해 반기 기준 강스템바이오텍의 줄기세포치료제 매출액은 0원을 기록했다. 강스템바이오텍은 상장 당시 2019년 줄기세포치료제 매출액 전망치를 150억원으로 제시한 바 있다.
여기에 다른 사업들을 포함해 강스템바이오텍은 2019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286억원, 136억원을 기록할 것이란 전망을 제시했다. 하지만 이 수치에 근접하지 못했음은 물론, 상장 이래 아직까지 한차례도 흑자를 기록하지 못하고 있다.
적자가 이어지다 보니 회사 재무 상태도 열악하다. 지속적으로 주주들에게 도움을 받아 오며 위기를 넘기고 있지만 결손금은 1486억원에 달하고 자본총계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강스템바이오텍 관계자는 “퓨어스템-시디주는 임상 1상을 종료한 상황으로 효율적인 연구개발을 위한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다른 파이프라인 개발을 우선적으로 진행하고 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