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코스피가 이틀 연속 약보합으로 마감했다.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관망심리가 작용하면서 뚜렷한 수급이 부재했다. 주도 업종이 부재한 가운데 저PBR 업종의 강세가 이어지며 종목별 장세가 지속됐다. 주주환원 정책을 앞세운 기아는 현대차를 제치고 시총 5위에 올라섰다.
31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07% 내린 2497.09에 거래를 마쳤다. 0.44% 하락 출발한 지수는 장중 0.15% 오르며 2500선을 회복했지만 기관 매도세에 상승분을 반납한 뒤 약보합 마감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강도는 약해졌지만 여전히 일부 저PBR 업종들의 강세가 전개됐다"며 "FOMC를 앞두고 관망심리가 짙어지며 뚜렷한 방향성 없이 약보합권에서 등락을 반복했다"고 말했다.
연방준비제도는 올해 첫 통화 정책회의인 이번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추정된다. 증권가에서는 연준이 이번 회의에서 올봄 금리 인하에 대한 힌트를 줄 것인지에 대해서 주목하고 있다. 간밤 뉴욕증시도 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혼조세를 보였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0.06% 내린 4924.97로 거래를 마쳤고 나스닥지수도 전장보다 0.76% 내렸다. 반면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33.86포인트 상승 마감했다.
수급적으로는 개인이 801억원, 기관이 45억원 순매도했고, 외국인이 859억원 순매수했다.
업종별로는 혼조세를 보이는 가운데 저PBR 업종으로 평가받는 보험·유통·지주사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삼성생명 5.3%, DB손해보험 4.3%, 현대해상 3.8% 등 보험 관련주가 4% 가까이 올랐다. 유통주도 빨간불을 켰다. 롯데쇼핑 2.8%, 현대백화점 2.6% 상승 마감했다.
지주사의 상승세도 두드러졌다. 삼성물산 6.4%, LG 5.5%, SK 5.1%, GS 4.2%, CJ 3.6%, 롯데지주 2.6% 상승 마감했다. 이 밖에도 운수장비, 전기가스업, 의약품, 기계, 통신업, 운수창고 등이 빨간불을 켰다.
반면, 인터넷주는 약세를 보였다. 네이버 4.3%, 카카오 3.3% 하락 마감했다. 의료정밀이 4% 가까이 하락했고, 반도체 관련주가 약세를 보이며 전기·전자도 1% 넘게 빠졌다. 화학, 제조업, 종이·목재 등이 파란불을 켰다.
시가총액 상위 10개사는 혼조세를 보이는 가운데 기아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차익 실현 매물에 전일 1.9% 빠졌던 기아는 5% 상승 마감하며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현대차도 2.4% 상승 마감했다. 기아는 이날 시총 41조3703억원을 기록하며 현대차를 제치고 시총 5위로 올라섰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LG화학이 빨간불을 켰다.
삼성전자는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가 몰리며 2.1% 하락했다. SK하이닉스도 1.6% 하락했고 포스코홀딩스가 파란불을 켰다.
이날 거래량은 4억4382만7000주, 거래대금은 8조7000억원을 기록했다. 상한가 3개를 포함해 353개 종목이 상승했고 하한가 1개를 포함해 527개 종목이 하락했다. 보합에 머무른 종목은 57개였다.
한편, 코스닥은 2.4% 내린 799.24를 기록했다. 간밤 AMD의 올해 1분기 실적이 부진할 것이란 전망에 퀄리타스반도체 9.2%, 제주반도체 8.9%, 가온칩스 8.3% 등 반도체 관련주가 3.9% 하락 마감했다. 애플의 올해 스마트폰 출하량 감소 전망에 IT하드웨어 업종도 3.3%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