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뉴스 권용희 기자ㅣ코스피가 사흘만에 급반등하며 2500선을 회복했다. 대표적인 저PBR 업종으로 꼽히는 보험, 증권, 지주사에 매수세가 몰리며 상승을 견인했다. 현대차는 7% 가까이 오르며 시총 5위를 탈환했다.
1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82% 오른 2542.46에 거래를 마쳤다. 약보합으로 출발한 지수는 장 내내 상승폭을 키워나갔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금융당국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기대감이 더욱 증폭되며 자동차, 금융, 지주사 종목들의 차별적인 강세가 지수 상방압력을 높이는 모습을 보였다"며 "정부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한국의 저평가 매력을 부각시키며 상승했다"고 덧붙였다.
국내 증시에 미국 금리 동결 소식이 미치는 영향은 미미했다. 간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는 미국 기준금리를 5.25~5.50%로 동결했다고 밝혔다.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은 조기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서 선을 그었다. 그는 "FOMC가 3월 회의 때 (금리를 인하할 만큼) 확신에 도달할 것으로 생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미국 증시는 파월 의장 발언에 급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각각 전장보다 0.82%, 1.61% 하락했다. 나스닥지수도 전장보다 2.23% 하락 마감했다.
이 연구원은 "1월 FOMC는 국내 증시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했다"며 "오히려 외국인이 선물 시장에서 6000억원 넘게 순매수에 나서기도 했다"고 말했다.
수급적으로는 외국인이 1조389억원, 기관이 2261억원 순매수했고 개인이 1조2082억원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상승우위의 흐름인 가운데 보험 관련주가 8.3% 오르며 강세가 두드러졌다. 흥국화재가 상한가를 기록했고, 한화손해보험이 17.4% 올랐다. 한화생명 10.5%, 삼성생명 9.6%, 삼성화재 9.6%, 동양생명 9.1%, 현대해상 4.5%, DB손해보험 4.5% 상승 마감했다.
대표적인 저PBR 업종으로 꼽히는 지주사도 빨간불을 켰다. F&F홀딩스는 상한가를 기록했고, 롯데지주 7.5%, 두산 7.5%, CJ 7.4%, LG 7.4%, SK 7.3%, GS 7.3% 상승 마감했다.
증권, 유통업의 강세도 이어졌다. 키움증권 11.2%, 유안타증권 8%, DB금융투자 6.9%, 교보증권 5.9%, 삼성증권 5% 등 증권주가 5.7% 상승 마감했다. 유통업도 4.5% 상승 마감했다. 현대백화점 7.9%, 현대홈쇼핑 6.7%, 롯데쇼핑 4.6% 올랐다.
한국가스공사 4.1%, 지역난방공사 4.2%, 한국전력 3.1% 등 유틸리티주도 상승 마감했다. 이외에도 운수장비, 통신업, 비금속광물, 철강·금속, 화학, 종이·목재, 건설업, 화학 등이 빨간불을 켰다.
반면 의약품 관련주는 0.7% 하락 마감했다. 한올바이오파마 6.3%, 삼일제약 3.2%, 종근당 2.7% 등의 하락률을 기록했다. 기계도 파란불을 켰다.
시가총액 상위 10개사는 상승세를 보이는 가운데 현대차의 강세가 두드러졌다. 현대차는 6.9% 오르며 시총 5위를 되찾았다. 전일 5% 상승 마감하며 현대차 시총을 제친 기아는 이날도 3.3% 오르며 신고가 행진을 이어갔다. 이날 현대차 시총은 43조9985억원, 기아는 42조7372억원을 기록했다.
포스코홀딩스가 2.6% 상승했고, 삼성전자, LG에너지솔루션, 네이버가 빨간불을 켰다. 반면 SK하이닉스는 1.5% 하락 마감했고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LG화학이 파란불을 켰다.
이날 거래량은 7억4131만9000주, 거래대금은 13조2902억원을 기록했다. 상한가 3개를 포함해 670개 종목이 상승했고 하한가 없이 242개 종목이 하락했다. 보합에 머무른 종목은 25개였다.
한편, 코스닥은 0.06% 내린 798.73을 기록했다. 전일에 이어 반도체 관련주의 약세가 두드러졌다. 에이직랜드 7.8%, ISC 7%, 유진테크 6.2% 하락 마감했다.
이날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이차전지 전문기업 이닉스는 첫날 공모가(1만4000원)보다 165% 상승한 3만7100원에 마감했다. 장 후반 한때 5만1700원까지 치솟았지만, 갑작스러운 매도 물량이 쏟아지며 순식간에 3만원대로 내려오는 등 극심한 변동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