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창 열기 인더뉴스 부·울·경

Interview 인터뷰 B·U·G News 부·울·경 뉴스

“회사 만들고 5년 동안 적자 걱정해 본 적 한 번도 없어요”

URL복사

Friday, March 01, 2024, 06:03:00

[부산에서 만난 사람] 최작기획 최은지 대표

 

부산 = 인더뉴스 문정태 기자ㅣ“마흔이 훌쩍 넘은 나이에 달랑 노트북 하나 들고 무자본 1인 창업을 했어요. 가진 게 없어서 겁도 없었나 봐요. 다행히 시작부터 일거리가 끊이지 않았고 미친 듯이 앞만 보고 달렸습니다. 그 후 2년간은 400% 이상 성장했던 것 같아요. 제가 다른 건 몰라도 일복 하나는 타고 났거든요.”

 

도무지 나이를 짐작하기 힘든 외모의 소유자인 최은지 최작기획 대표는 6년차 사업가다. 그가 고향 부산에서 회사를 창업한 건 정확하게 5년 전인 2019년 3월 1일. 15년간 몸 담았던 방송사를 박차고 나와 영상을 기획·제작하는 회사를 창립한 사람이다.

 

최은지 대표를 해운대 센텀시티 내에 있는 영상산업센터에서 만났다. 이곳은 부산 영화 영상 산업의 중심지로 KNN, CBS 등의 방송사, 영화의 전당, 부산영상위원회, 부산아시아영화학교를 비롯한 다양한 관계 기관들이 밀집해 있는데, 최 대표가 청춘을 바친 곳이기도 하다.

 

“정말로 미친 듯이 일만 했어요. 처음에는 방송작가가 무슨 일을 하는 건지도 모르고 아카데미에서 공부했고, 방송사에 지원해서 합격을 했는데요. 방송을 기획하고, 섭외하고, 촬영하고, 대본쓰는 일이 정말 재미있었어요. 서울과 달리 지역방송에서는 작가가 거의 모든 일을 다 하거든요.”

 

15년 동안 방송일을 사랑했고, 일터였던 방송사를 사랑했다. 그랬던 그가 퇴사를 한 이유 이유는 간단했다. 그곳은 더 이상 있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회사를 왜 그만뒀는지 구구절절 말하는 건 적절하지 않은 것 같아요. 방송 정상화를 위한 노조 파업이 있던 시기에 여러 일들이 있었는데, 작가로 최소한의 자존심을 지키기 위해서였다는 정도로 말할 게요.”

 

퇴사 후 몇 달을 꼬박 쉬었다. 집 밖을 거의 나가지 않았고, 거의 아무런 생각도 하지 않았고, 남들이 만들어 놓은 영상(영화·드라마)만 주구장창 봤다고. 노는 게 지겨워질 때쯤 영상제작을 하는 회사인 지금의 ‘최작기획’을 설립하게 됐다.

 

 

“사실, 방송작가로 일하는 동안 주변에서 ‘니 회사를 만들어라.’하는 말을 많이 했어요. 어차피 글 쓰는 일 외에도 많은 역할을 맡았는데, 특히 협찬 관련 일도 해봤으니 안 될 것도 없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만들었죠.”

 

1인 기업으로 출발했던 회사는 어느새 8명까지 채워졌다. 데스벨리 같은 건 남들 이야기였다. 첫해부터 지난해까지 흑자의 연속이었다. 비결이 무엇이었을까?

 

최 대표는 창업 한 달 만에 부산시와 부산정보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스타프로젝트 제작지원’ 사업에 선정돼 3000만원 지원받았다. 덕분에 작가겸 연출자로 다큐멘터리를 제작할 수 있었고 부산 MBC와 계약 후 방송 송출까지 하게 됐다고.

 

“자신감이 붙었어요. 이후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전파진흥원 등 각종 지원사업을 줄줄이 수주했고 자연스레 입소문이 났습니다. 한국케이블TV 방송대상 다큐멘터리 부문 ‘작품상’을 수상하기도 했고요, 이후로는 다른 입찰 사업에도 뛰어들었습니다. 요즘에는 경상남도, 전주, 심지어 서울의 일도 하고 있어요.”

 

최 대표는 다큐멘터리든 예능이든 유튜브든 콘텐츠의 질을 결정짓는 건 결국 기획력이라는 믿음을 갖고 있다. 15년 방송 현장에서 잔뼈 굵은 기획력과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아이디어가 최작기획의 가장 큰 강점으로 꼽고 있다.

 

앞으로 꼭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지 물었더니 다소 뜻밖의 대답이 돌아왔다.

 

“전 항상 하고 싶은 일이 참 많지만 버킷리스트 1번은 책을 쓰는 겁니다. 글 쓰는 일이 직업이다보니 막상 두려움이 있는 것 같아요. 책 제목만 5개쯤 만들어 놓은 것 같아요, 스릴러 소설이 될지 에세이가 될지 자기개발서가 될지 모르지만 언젠가 꼭 제 이름으로 책을 쓰고 싶어요.”

 

■ 다음은 최은지 대표와 일문일답.

 

- “회사 설립일이 3월 1일이던데, 특별한 의미가 있나요?”

 

= “물론이죠. 일부러 그 날로 잡았어요. 이미 눈치를 채신 것 같은데, 세상을 향해 독립을 선언한다는 뜻을 담은 거에요.” 

 

- “최작기획은 영상제작이 주업이죠? 홈페이지를 둘러보니 그것 말고도 여러 분야가 있던데, 정확하게 무얼 하는 회사인가요?”

 

= “주로 방송 프로그램이나 기업홍보물, 광고나 유튜브 영상을 만들고 SNS마케팅을 하고 있습니다. 방송사 외에도 대학교나 관공서, 박물관 등과 일하고 있고 최근에는 행사 기획과 실행도 하고 있습니다. 기획부터 촬영, 편집, 홍보, 마케팅까지 언뜻 여러 가지 분야 같지만 결국은 콘텐츠를 만드는 일이에요.”

 

- “작가를 하는 동안 혹은 사업을 하면서 재미있었던 일은 뭐에요?”

 

= 방송사를 그만뒀는데, 나도 모르게 몸값이 두 배 이상 뛰었어요. 그냥 오로지 쉬고만 있을 뿐이었는데, 제 빈 자리가 꽤 컸나봐요. 이곳 저곳에서 같이 일하자고 제안이 오는데 어느새 제 몸값이 두 배를 넘어서더라고요. 제가 꽤 능력이 있나봐요? 후훗

 

그리고, 이 일이 늘 재미있었던 것 같아요. 때론 위험한 촬영 현장을 뛰어다니고 밤새워 편집하고 마감에 쫓기면서도 항상 새로운 사람들을 만나서 새로운 구상을 하고 새로운 콘텐츠를 만드는 이 일이 설레고 즐거워요. 어쩌면 힘들어도 계속 쏟아붓게 만드는 열정의 원천인 것 같아요. 뭐, 재밌으니까~”

 

- “좀 더 짜릿한 경험 같은 건 없었어요?”

 

= “제일 짜릿했던 순간은 아마도 스텝스크롤에 ‘구성작가’로 이름이 올라가던 첫 방송이었던 것 같아요. 지금도 힘들고 지칠 때마다 가끔 그 순간을 꺼내보곤 하는데요. 그래서 전 멋진 영화나 방송을 볼 때 가급적 마지막 스텝스크롤까지 꼭 지켜봐요. 제작자들에 대한 나름의 의리랄까, 존경이랄까.”

 

- “사업을 하는 동안에는요?”

 

= “물론 사업하면서는 짜릿한 순간이 더 많았는데, 저희 회사 단독으로 입찰 PT를 했던 때였어요. 한 차례 떨어지고 다음 해에 재입찰을 도전했는데 경쟁상대가 전부 쟁쟁한 서울업체들이더군요. 나름 열심히 발표를 했는데 어찌나 지적사항이 많던지 영락없이 떨어졌다 싶었습니다. 속상해서 동료들이랑 밤새 술을 마셨는데 웬걸 다음날 오전 1위로 수주했다는 연락이 온 거에요. 위로주가 축하주로 변하는 순간이었어요.”

 

- “힘들게 하는 사람들도 적지 않았을 것 같은데..”

 

= “많죠. 방송사 다닐 때도 있었고, 회사를 만들고 나서도 많았어요. 일일이 거론하고 싶지는 않아요. 제가 늘 하는 말이 있어요 마더 데레사도 누군가 분명 뒤에서 욕하는 사람이 있었을거라고. 정신 건강을 위해 가급적 신경 끄고 삽니다. 하하. 맞는 사람들과 일하면 되니까요. 아무튼, 사람들을 만나야 일이 생기잖아요? 그러면 만나야죠.”

 

- “사업하면서 후회할 때도 있었겠네요?”

 

= “당연히 있죠. 왜 이렇게 늦게 사업을 시작했을까. 체질에 맞아요. 더 빨리 시작했으면 더 좋았겠다 싶어요.”

 

- “자신을 한 줄로 정리하자면?”

 

= “천상 방송쟁이.”

 

 

■ 최작기획의 대표 작품들

 

- 다큐멘터리 <인류가 만든 재난. 빌딩풍이 분다>

- (2021 한국케이블TV. 지역 채널 특집 다큐멘터리 부문 대상 수상)

- 부산MBC 메디테인먼트 <수상한 진료실>

- SK 브로드밴드 <부산에 반하다>

- KCA 제작지원작 다큐멘터리 <뉴노멀시대, 바이오를 아시나요?>

- 한국언론진흥재단 지원작 다큐멘터리 <부산항8부두, 주피터 프로젝트>

- 제 29회, 제 30회 영도다리축제

- 기장임랑 썸머 페스티벌 어린이 동요대회

- 2023 산청세계전통의약항노화엑스포 SNS홍보 및 영상제작

- 2023 하동세계차엑스포 SNS홍보

- 연암공과대학교, 부산디지털대학교, 국립해양박물관, 산청박물관 SNS 연간 운영 및 영상제작

- 과천국립과학관, 해양수산개발원, 기장군, 진구의회, 동구의회 유튜브 영상 제작

- 동구청, 기장군청, 강서구청, 해운대구청 캠페인 제작 외 다수

English(中文·日本語) news is the result of applying Google Translate. <iN THE NEWS> is not responsible for the content of English(中文·日本語) news.

배너

문정태 기자 hopem1@inthenews.co.kr

배너

대한항공, 인천공항 제2터미널 ‘럭셔리 라운지’ 공개…18일 정식 개장

대한항공, 인천공항 제2터미널 ‘럭셔리 라운지’ 공개…18일 정식 개장

2025.08.14 17:35:24

인더뉴스 김용운 기자ㅣ대한항공이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면세구역 라운지를 대대적으로 재단장하고 오는 18일부터 정식 운영에 돌입합니다. 14일 대한항공이 공개한 '마일러 클럽'과 '프레스티지(동편) 라운지'는 고급 호텔 수준의 인테리어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결합한 것이 특징입니다. 대한항공은 골드·차콜·블랙·아이보리 톤을 기본으로 한 공간에 한옥 기둥 등 전통 요소를 접목했고, 메탈·원목·대리석을 활용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구현했습니다. 특히 업계 최초로 ‘라이브 스테이션’을 도입해 그랜드 하얏트 인천 셰프가 직접 조리한 요리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메뉴는 분기별로 교체하며, 피자·크루아상·스테이크·김밥·떡국 등 제철 재료를 활용한 다양한 음식을 선보입니다. 이외에도 한식·양식·베이커리·샐러드바·누들바·주류바와 바리스타 커피 서비스, 바텐더 칵테일도 제공합니다. 라운지 내에는 웰니스 존, 테크 존, 미팅룸, 샤워실 등 복합 편의 시설도 마련했습니다. 대한항공은 먼저 리뉴얼을 마친 라운지를 오픈하는 동시에 인천국제공항 내 다른 라운지 개편을 후속으로 진행합니다. 대상은 일등석 라운지, 프레스티지 동편(좌측) 라운지, 프레스티지 서편 라운지이며 내년 상반기부터 순차적으로 선보일 예정입니다. 일등석 고객들은 공사 기간 동안 한시적으로 마일러 클럽을 이용하게 됩니다. 라운지는 보통 항공기 탑승 전 프리미엄 고객들이 휴식할 수 있게 제공하는 공간으로 알려져 있지만, 대한항공은 라운지에서부터 새로운 여행 경험을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컨셉의 공간을 구성 할 계획입니다. 리뉴얼이 모두 마무리되면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에서 운영하는 대한항공 라운지는 총 6곳으로 확대되며, 총 면적은 5105㎡에서 1만2270㎡로 2.5배 가까이 넓어집니다. 라운지 총 좌석수는 898석에서 1566석으로 늘어납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새롭게 탈바꿈한 라운지는 대한항공 허브 라운지의 중심이 될 것"이라며 "프리미엄 서비스를 강화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겠다"고 말했습니다.




배너